Q. 투잡의 경우 기존 직장 기준으로 퇴직금 수령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퇴직금은 퇴직 직전 3개월 동안 지급된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되므로, 월급이 100만 원으로 줄어든 뒤 퇴직할 경우 줄어든 금액 기준으로 퇴직금이 산정됩니다.따라서 소득 조정 후 퇴사하면 5년의 근속기간이 있더라도 퇴직금 총액은 불리해질 수 있습니다.겸업 직장은 별도의 사용자가 있으므로, 두 직장의 퇴직금은 각각 별도로 계산되며 병합되지 않습니다.불이익을 최소화하려면 월급이 줄어들기 전 평균임금이 유지된 상태에서 퇴사하는 시점을 조율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Q. 알바 급여일 한달 뒤에 주는거 정상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근로기준법 제43조에 따라 임금은 정기적으로 일정한 날짜에 지급해야 하며, 통상적으로 다음 달 10일 전후에 지급하는 것은 관행상 허용되고 있습니다.즉, 6월 근무분을 7월 중에 지급하는 것은 법 위반은 아니지만, 명확한 급여 지급일(예: 매월 10일 등)이 정해져 있고 이를 일방적으로 어길 경우 지연 지급은 임금체불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사장님이 지급일을 제멋대로 바꾸고 예고 없이 지연한다면 노동청에 임금체불 진정을 넣는 것이 가능합니다.먼저 급여 지급일을 정확히 확인하시고, 반복적인 지연이 있다면 증빙(대화내역, 통장 등)을 확보해 대응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Q. 이번 대선의 공약인 주 4.5일에 대해서 알려주실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제도의 도입 배경에는 코로나19 이후 유연근무 확산, OECD 국가들의 노동시간 단축 추세, MZ세대의 워라밸 추구 등이 있습니다. 도입 시 장점으로는 직장인의 삶의 질 향상과 생산성 기반 근무문화 정착 등이 있으며, 단점으로는 일부 업종의 운영 현실과 괴리, 임금 감소 우려 등이 있습니다. 현재는 논의 초기 단계로, 모든 업종에 일괄 적용되기보다는 공공기관 및 일부 사무직 위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급여에 대한 부분은 아직 결정된 바 없으며, '동일 임금 보장'이 조건으로 논의 중입니다.
Q. 알바 돈 받는 통장 만들라고 하는데 어떤걸 만들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알바 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실명 확인이 가능한 ‘은행 입출금 통장’(보통예금 통장)이 필요합니다.카카오페이 미니카드, 토스뱅크카드 등은 일부 급여 이체 시스템에서 통장이 아닌 선불·간편결제 계좌로 인식되어 입금이 제한될 수 있어,국민, 농협, 우리, 신한, 하나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 통장을 개설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만 18세면 혼자서도 계좌 개설이 가능하니, 신분증(주민등록증 또는 청소년증) 지참하고 가까운 은행 창구에 방문하시면 바로 개설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