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탈북민 들은 어떤 생각인지 궁금하서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일부"단체죠그런 단체가 모든 탈북자 분들의 의견을 대표하는 것은 아닙니다이름 정도야 신고할 때 얼마든지 조작할 수 있으니'한국 건강관리 협회(소속 인원 중 의사 없음)'같은 단체도 돈만 있으면 만들 수 있어요이재명의 공약 중에서도소상공인 활성화는 지지하지만 5극 3특은 동의하지 않는다 같은 식으로각각 공약마다 다른 입장일 수 도 있고힘들게 탈북 했으니 평화로운게 좋다는 입장도어서 북한이 망해서 가족과 다시 만나고 싶다는 입장도 각각 합리적인 판단입니다사람은 사람마다 다르니까요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중세국어에서 짝대기 같은 거 뭔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ㅅ와 ㅂ사이에 있는 것을 물어보시는 거라면 그건 아래아 입니다아마 아래아=점이라고 생각해서 못 알아 보신 듯 한데작대기 인 것은 쉽게 말해서 폰트 차이 입니다사족챗GPT의 목적은 "그럴듯한 대화" 입니다"정확한 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이상한 말을 하거나 못알아 듣는 경우가 있습니다 쳇GPT가 하는 말을 다 믿으시면 큰일나요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스틱스 강이 명계의 경계로 자리매김하는 것은 어떤 신화적 사건과 관련이 있나?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스틱스강은 신화속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연지형이지만그 근원에 대한 전승은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왜 신들이 올림포스에 사는지에 대해서 전승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그냥 "자연스럽게 있는 지형"에 특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19세기 러시아 문학 작품을 보면 유난히 습하고 어두운 날씨에 대한 묘사가 많이 나어는데요. 이유가 무엇인가요? 러시아 날씨의 특징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둘 다 입니다19세기 러시아라는 나라의 상태가 매우 처참했기 때문에문학도 그것을 반영해서 우울한 배경인 작품이 많고러시아는 거대한 나라이기 때문에 지역마다 기후차이가 심하지만대부분 지역이 추운 지역입니다기분적으로도 기후적으로도 추운지역이니 문학도 그렇게 되는 것이죠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사람들의 삶은 주는대로 받거나 받는대로 다시 돌려준다고 하는데, 좋은것도 있고 그렇지 않는것도 있는데, 사필귀정이란 말은 어떻게 해서 생겨난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사필귀정은 모든 일은 반드시 올바르게 될 것이란 뜻의 사자성어로보기드문 순수 한국산 성어 입니다. 그래서 다른 나라에서는 쓰이지 않죠고려시대의 유림 학자들이 만든 것이라서 특정한 책이나 고사에서 나온 것은 아닙니다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