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병원치료목적으로 실비보험을 넣고 있는데, 추가로 간병보험을 넣는것이 더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일반적으로 가족들 병원치료목적으로 병원비 충당을 위해서 실비보험을 넣고, 한번씩 감기로 병원을 가게 되면 가볍게 치료하거나 입원을 하게 되는데, 별도로 대비해서 간병보험을 넣는것이 더 좋은지 궁금합니다.: 실비보험은 의료비를 지원하는 보험이고, 간병보험은 특정상황이 되었을 때 간병인 또는 간병비를 보장하는 보험으로, 경제적으로 상황이 된다면, 가입을 해서 나쁠 것은 없습니다.
Q. 요즘에 간병보험에 대한 광고도 나오고 보험회사에서도 설계사등을 통해서 이야기를 많이 하는데, 어떤 보험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간병보험은 중증환자가 생겼을 때 장기요양등급 기준에 따라 간병인 지원 또는 간병비가 보장되는 보험으로, 장기요양 등급은 신체기능, 인지기능, 행동변화, 간호처리, 재활 등 다양한 검사를 통해 신체기능에 이상이 있어 재활이 필요한 상태라면 받을 수 있으며,상기와 같이 간병이 필요한 경우 간병인을 보험사가 직접 보내주는 간병인 보험과,간병인을 스스로 선택하고 가입한 간병비 금액을 받는 간병비 보험이 있습니다. 즉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일정 상태가 되어 간병인이 필요한 상황에서 다른 가족에게 경제적 부담을 주기 부담스러운 경우에 가입을 하게 됩니다.
Q. 간병보험도 소멸형과 환급형으로 가입이 가능한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간병보험의 경우에도 소멸형과 환급형으로 가입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이는 보험사의 상품별로 다르나, 간병보험의 경우에도 환급형, 순수보장형이 판매되고 있어, 가입이 가능합니다. 다만, 환급형의 경우 환급되다보니 상대적으로 보험료가 높으나, 일정기간 가입을 해야 환급하는등의 조건이 있어 중도 해지시 환급금이 적거나 없을 수도 있습니다.
Q. 보험의 경우 보험수익자를 누구로 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보험가입시 보험상품에 대한 특성도 중요하지만, 보험종류에 따라서 보험수익자도 잘 정해야 하는데보험수익자를 보통 어떤 사람으로 정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요?: 보험수익자는 해당 보험계약의 피보험자에게 보험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보험금을 받는 사람으로, 보험계약자가 별도로 지정할 수 있으며, 별도로 지정하지 않을 경우, 사망외 보험금은 피보험자가 사망보험금은 피보험자의 법적상속인이 됩니다. 따라서, 보험게약자와 피보험자가 동일하다면, 본인이 해당 보험의 보험금을 받기 원하는 사람으로 지정하면 되나, 통상 보험사에서는 배우자, 직계 (부모, 자녀)로 지정을 하게 됩니다. 이는 모럴 리스크로 인한 것으로, 별로도로 지정하게 되는 경우 사망외 보험금은 피보험자로, 사망보험금은 본인 사망후 유족의 생계에 도움이 되고자 가입하는 것으로 통상 배우자 또는 자녀중 1인으로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