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식사 시간에 장난이 심한 아이의 경우에는?
식사 시간에 장난이 심한 아이를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들에게 식사예절은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식습관 개선을 위한 교육을 해주는게 좋겠습니다.따라서 먼저 아이와 영양교육 관련 그림책이나 동영상을 이용해서 교육을 실시한 다음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나눕니다.식습관 개선을 위한 그림책은 식습관 시리즈(천개의 바람), 사계절은 맛있어, 백설공주는 먹는 것도 달라, 남길까? 먹을까?, 푸메, 꾸메와 함께 식당에 가요(상상스쿨) 등이 있습니다.그렇게 하면 이전보다는 동기부여가 될 것입니다.
Q. 유치원 실습 중 부분 수업을 뭐 해야 할까요?
유치원 실습 중에 부분수업을 어떤 걸로 하면 좋을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크게 실습생이 할 수 있는 활동은신체활동, 게임, 새노래, 동화, 미술활동 등이 있겠습니다. 연구수업 때는 이야기나누기와 사후활동 하나 정도겠습니다. 보통 2월에는 즐거웠던 우리반, 졸업 등이 생활주제인 경우가 많습니다.아래 사이트에 들어가서 주제별/영역별로 조회해볼 수 있습니다. https://www.kidkids.net/https://www.nurinori.com/index.dohttps://www.i-nuri.go.kr/main/module/dataManage/index.do?cate_menu_idx=1&menu_idx=109
Q. 영상을 많이 보면, 과장되게 말하는 증상도 생길 수 있나요?
아이가 영상을 많이 볼 때 어떤 증상이 보이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미디어에 오랜 시간 노출되다 보면 뇌발달, 눈건강, 일상생활,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아이들 같은 경우에는 영상에 과도하게 노출되다보면 현실과 가상의 세계를 구분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들이 일상생활에서 적절하게 관리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되도록 아이가 영상 외에 다른 쪽으로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이 부분은 부모님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집 안에 있을 때는 보드게임이나 말놀이와 같이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를 하며 시간을 보내고, 가족이 함께 운동을 하거나 산책을 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