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새로운 음식을 잘 먹지 않는 아이, 어떤 방법으로 식습관을 개선할 수 있을까요?
아이가 새로운 음식을 잘 먹지 않으려고 해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식습관 개선을 위한 교육을 해주는게 좋겠습니다.따라서 먼저 아이와 영양교육 관련 그림책이나 동영상을 이용해서 교육을 실시한 다음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나눕니다.식습관 개선을 위한 그림책은 식습관 시리즈(천개의 바람), 사계절은 맛있어, 백설공주는 먹는 것도 달라, 남길까? 먹을까?, 푸메, 꾸메와 함께 식당에 가요(상상스쿨) 등이 있습니다.그렇게 하면 이전보다는 동기부여가 될 것입니다.그리고 야채나 과일, 다양한 재료 등을 이용해서 요리활동을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요즘은 시중에 파는 새싹채소, 버섯, 콩나물기르기 키트 등을 구할 수 있습니다.
Q. TV나 스마트폰을 너무 많이 보는 아이,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요?
아이가 미디어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져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성인이 개입해서 적절하게 관리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전자미디어에 오랜 시간 노출되다 보면 뇌발달, 눈건강, 일상생활,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아이가 휴대폰 외에 다른 쪽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합니다.이 부분은 양육자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집 안에 있을 때는 보드게임이나 말놀이와 같이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를 하며 시간을 보내고,가족이 함께 운동을 하거나 산책을 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주말이나 휴일에는 가족과 함께 여행, 공연관람, 각종체험활동,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여가를 즐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Q. 자신감이 부족해 보이는 아이, 어떻게 격려할 수 있을까요?
6세 아이가 자신감이 부족해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요즘은 아이들의 자신감을 키워주기 위해 스피치학원, 웅변학원, 태권도 등을 보내기도 하는데 어느정도 효과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자신감은 자존감과 관련이 있습니다.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주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따듯한 스킨십을 해줍니다.부모가 먼저 모범이 되어주어야 하며, 아이에게 자율성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좋은 모습을 보일 때는 아낌없이 칭찬해주고 가능하면 '안돼'라는 말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부모가 아이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고 잘못된 행동을 야단치게 되면 아이의 자존감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부모의 잦은 화내는 모습을 보고 자란 아이는 부모에게 사랑받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자존감이 낮은 아이로 자랄 확률이 높습니다.
Q. 아이가 친구들과 다투는 일이 많은데 어떻게 대처해야할까요?
친구들과 자주 다투는 아이를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이러한 상황에서 부모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좋은 모델링이 되어주면 좋겠습니다.긍정적인 대화 촉진, 사회적 기술 가르치기, 자신감 심어주기, 건강한 관계 예시 보여주기(부-모 관계, 지인과 관계 등), 문제 해결 지원(적절하게 조언해주고 자녀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격려) 등이 있습니다.일상생활에서 부모가 다른사람과 소통하는 기술을 보여주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