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TV를 너무 많이 보고 숙제를 미루는데 어떤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을까요?
텔레비전 시청을 너무 많이 하고 숙제를 미루는 아이로 인해서 걱정이 되겠습니다.아이와 의논을 해서 숙제를 다 하고 나서 텔레비전을 볼 수 있다고 확실하게 짚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전자 미디어에 오랫동안 노출되면 뇌발달, 눈건강, 일상생활, 학습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따라서 아이로 하여금 텔레비전 외에 다른 쪽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이 부분은 부모님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집 안에 있을 때는 보드게임이나 말놀이와 같이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를 하며 시간을 보내고,가족이 함께 운동을 하거나 산책을 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주말이나 휴일에는 가족과 함께 여행, 공연관람, 각종체험활동,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여가를 즐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Q. 매일 잠자리에 드는 걸 거부하며 늦게 자는 아이, 어떻게 규칙을 정할 수 있을까요?
매일 잠자리에 드는 것을 거부하는 초등학교 3학년 아이로 인해서 걱정이 되겠습니다. 이런 경우 일정한 수면 패턴을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일정한 장소, 일정한 시간이 되면 잘 준비를 하십시오.잠을 자려고 누워서는 책을 한 권 읽어주는게 좋습니다.또한 환경적인 요인을 살펴보는 것도 중요합니다.모든 준비가 다 되었다면 집안에 있는 모든 전등을 소등하고 암막커튼 등을 이용해서 빛을 차단하는게 수면을 취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그리고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휴대폰, 태블릿과 같은 기기는 다른 곳에 두는 것이 좋겠습니다.매일 반복하다보면 아이도 익숙해질 것입니다.전문가에 따르면 밤10시~새벽2시 사이에 성장 호르몬이 왕성하게 분비된다고 합니다.따라서 이 시간 이전에는 깊은 잠에 들어가야 키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잠자는 방의 실내 온도(20~22℃) 및 습도(50~60%)를 유지하는 것이 좋고,방 안의 산소 공급을 위해서 공기청정기를 틀어 놓는 것도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Q. 매일 저녁 같은 시간에 자지 않고 놀고 싶어 하는 아이, 어떻게 일정을 조정해야 할까요?
3세 아이가 밤에 자지 않고 계속 놀고 싶어 하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이런 경우 일정한 수면 패턴을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매일 일정한 장소에서 일정한 시간이 되면 잘 준비를 하십시오.잠을 자려고 누워서는 책을 한권 읽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모든 준비가 다 되었다면 집안에 있는 모든 전등을 소등하고 암막커튼 등을 이용해서 빛을 차단하는게 수면 유도에 효과적입니다.그리고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휴대폰, 태블릿과 같은 기기는 다른 곳에 두는 것이 좋겠습니다.매일 반복하다보면 아이도 익숙해질 것입니다.전문가에 따르면 밤10시~새벽2시 사이에 성장 호르몬이 왕성하게 분비된다고 합니다.따라서 이 시간 이전에는 깊은 잠에 들어가야 키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잠자는 방의 실내 온도(20~22℃) 및 습도(50~60%)를 유지하는 것이 좋고,방 안의 산소 공급을 위해서 공기청정기를 틀어놓는 것도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Q. 아이가 자신감을 갖고 친구를 사귀도록 돕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아이가 자신감을 갖고 친구를 사귈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아이가 자존감이 높아질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에게 자율성을 주고 적절한 칭찬이 아이에게 자신감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긍정적인 대화 촉진, 사회적 기술 가르치기, 자신감 심어주기, 건강한 관계 예시 보여주기(부-모 관계, 지인과 관계 등), 문제 해결 지원(적절하게 조언해주고 자녀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격려) 등이 있습니다.일상생활에서 부모가 다른사람과 소통하는 기술을 보여주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자존감을 높여주기 위해서는 일상생활에서 따듯한 스킨십을 해줍니다.부모가 먼저 모범이 되어주어야 하며, 아이에게 자율성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좋은 모습을 보일 때는 아낌없이 칭찬해주고 가능하면 '안돼'라는 말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부모가 아이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고 잘못된 행동을 야단치게 되면 아이의 자존감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부모의 잦은 화내는 모습을 보고 자란 아이는 부모에게 사랑받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자존감이 낮은 아이로 자랄 확률이 높습니다.
Q. 아이가 친구와의 갈등 후 관계를 회복하도록 돕는 방법은 어떤게 있나요?
친구와의 갈등 후에 관계 회복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평소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좋은 본보기가 되어주면 좋겠습니다. 부모님께서 잘 판단하겠지만 휴대폰은 사주는 시기가 늦으면 늦을수록 좋다고 합니다.아이들은 성인에 비해 자기 조절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전자미디어에 오랜 시간 노출되다 보면 뇌발달, 눈건강, 일상생활, 학습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애플의 창업자 스티브 잡스 또한 아이가 중학생이 됐을 때야 휴대폰을 사줬다는 말이 있더라고요.아이들이 휴대폰에 시선이 고정되어 있을 때 집중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아이의 뇌는 멈춰 있다고 하더라고요.아이와 통화를 하기 위해서 휴대폰을 사줘야 한다면 2G폰이나 키즈폰을 사주는게 어떨까 싶습니다.아이에게 스마트폰을 사줬는데 약속이 잘 지켜지지 않는다면 어플로 관리를 해줄 수도 있습니다.구글 '패밀리링크'를 통해 아이의 휴대폰 사용시간, 사용 어플 제한, 위치정보 공유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