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정서 발달을 돕는 일상적인 방법이있을까요
아이의 정서발달을 돕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어떻게 보면 아이와의 공유하는 시간을 늘이는 것이 좋겠습니다.아이와 서로 교감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아이의 정서적 안정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집 안에 있을 때는 보드게임이나 말놀이와 같이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를 하며 시간을 보내고,가족이 함께 운동을 하거나 산책을 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주말이나 휴일에는 가족과 함께 여행, 공연관람, 각종체험활동,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여가를 즐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꾸준하게 책읽기를 하는 것은 아이의 정서, 언어발달에 효과적입니다.
Q. 채소를 잘 먹지 않는 아이 건강한 식습관을 기르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초등학교 2학년 아이가 채소를 잘 먹지 않으니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아이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해 교육을 해주는게 좋겠습니다. 어린 시절에 먹어본 경험이 향후 식습관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따라서 먼저 아이와 영양교육 관련 그림책이나 동영상을 이용해서 교육을 실시한 다음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나눕니다.식습관 개선을 위한 그림책은 식습관 시리즈(천개의 바람), 사계절은 맛있어, 백설공주는 먹는 것도 달라, 남길까? 먹을까?, 푸메, 꾸메와 함께 식당에 가요(상상스쿨) 등이 있습니다.그렇게 하면 이전보다는 동기부여가 될 것입니다.그리고 야채나 과일, 다양한 재료 등을 이용해서 요리활동을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요즘은 시중에 파는 새싹채소, 버섯, 콩나물기르기 키트 등을 구할 수 있습니다.아이와 함께 채소를 재배하는 것으로도 식습관 개선에 효과가 있습니다.
Q. 친구 사이에서 리더쉽을 발휘하지 못하는 아이,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친구 사이에서 리더십을 발휘하지 못하는 아이를 어떻게 도와줄 수 있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우선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기 위해서 웅변학원, 스피치학원을 다니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그리고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주기 위해 도움을 주면 좋겠습니다.일상생활에서 따듯한 스킨십을 해줍니다.부모가 먼저 모범이 되어주어야 하며, 아이에게 자율성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좋은 모습을 보일 때는 아낌없이 칭찬해주고 가능하면 '안돼'라는 말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부모가 아이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고 잘못된 행동을 야단치게 되면 아이의 자존감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부모의 잦은 화내는 모습을 보고 자란 아이는 부모에게 사랑받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자존감이 낮은 아이로 자랄 확률이 높습니다.
Q. 아이랑 저녁에 놀아줄수 있는 보드 게임 있나요?
초등학교 4학년 아이와 집에서 함께 할 수 있는 보드게임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가족이 함께 할 수 있는 보드게임은도미노게임, 사다리게임, 호텔왕게임, 모두의마블, 할리갈리 종치기게임, 복불복게임, 젠가게임 등이 있습니다. 그 외에 집에서 할 수 있는 놀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가정에서 할 수 있는 놀이는 실내라는 특성 때문에 어느정도 한계는 있습니다.도구 없이 할 수 있는 말놀이(끝말잇기, ○○에 가면, 리 리 리 자로 시작하는 말 듬)이 있으며 아이들의 사고력, 기억력, 어휘력에 도움이 됩니다.그리고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보드게임이 있습니다.도구를 활용한 라켓볼, 캐치볼(공이 달라붙는 형식), 림보게임, 실내볼링, 컬링, 밸런스보드놀이, 트램폴린 등이 있습니다.
Q. 언어능력이 조금 떨어지는 아이, 어떤 방법으로 도와주는 것이 좋을까요?
또래에 비해서 언어능력이 부족한 아이를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은아이와 꾸준히 대화를 나누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는 성인과의 대화를 통해서 문해력, 이해력을 키워나간다고 합니다. 그리고 아이가 독서하는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요즘은 아이의 공부, 독서 습관을 길러주기 위해서 텔레비전을 없애는 가정도 있다고 합니다.대신 그 공간을 책상과 책꽂이로 채워 서재화시킨다고 합니다.아이가 공부를 할 때 아이 옆에 앉아서 책을 읽으면서아이가 힘들어하는 것을 도와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아이에게 책을 읽어주고 아이와 함께 동일한 책을 읽고 나눔을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아이와 책을 읽고 나서 뒷이야기를 꾸며보거나 주인공과 같은 상황에 처했을 때 어떻게 할 것인지,주인공에게 하고 싶은 말은 무엇인지 등의 대화를 나누면 좀 더 생각의 깊이를 더할 수 있답니다.이런 활동들을 통해서 아이의 사고력 확장, 어휘력, 집중력 등이 향상 될 수 있습니다.주말이나 휴일에는 도서관에 가서 책도 읽고 대출을 하는 것도 책읽기에 도움이 된답니다.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가 책 읽기를 생활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만약 언어능력이 부족해서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아이를 위해서라도 전문가와 상담을 받아보는걸 권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