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아이는 우리의 미래이며 꿈입니다!!
아이는 우리의 미래이며 꿈입니다!!
송신애 전문가
누리유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유아교육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아이가 자신의 생각을 자신감 있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이가 자신의 생각을 자신감을 갖고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가 다른 사람 앞에서 자신의 의견을 자신감 있게 표현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아이는 이러한 부모의 모습을 보고 배우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주기 위해서 신경을 쓰는 것도 필요합니다. 일상생활에서 따듯한 스킨십을 해줍니다.부모가 먼저 모범이 되어주어야 하며, 아이에게 자율성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좋은 모습을 보일 때는 아낌없이 칭찬해주고 가능하면 '안돼'라는 말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부모가 아이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고 잘못된 행동을 야단치게 되면 아이의 자존감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부모의 잦은 화내는 모습을 보고 자란 아이는 부모에게 사랑받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자존감이 낮은 아이로 자랄 확률이 높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아이들이 한자 교육을 받으면 어떤 장점이 있을까요?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한자문화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언어의 대부분이 한자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따라서 한자를 공부하게 된다면그만큼 알 수 있는 어휘가 많아져서 문해력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유아교육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한자리 수 덧셈을 처음에 어떻게 쉽게 가르칠 수 있을까요?
유치원생에게 한자리 수 덧셈을 쉽게 가르치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포털사이트에 연산 수교구를 검색하면 다양한 교구가 검색됩니다. 수막대, 바둑알을 이용한 가시적인 방법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효과적인 다국어 학습 방법은????
효과적인 다국어 학습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일상생활에서 꾸준히 노출시켜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우리 주위에서 다문화 아이들이 손쉽게 이중언어를 구사하는 것을 생각하면 이해가 쉽겠습니다.배우고자 하는 언어를 일상생활에서 꾸준히 노출시켜주면 효과가 클 것입니다.영어 같은 경우도 놀이 시간에 영어 동요를 들려주고,애니메이션을 보는 경우에는 언어를 영어로 설정해서 보여주면 영어를 익히는데 도움이 된답니다.지인의 아이들을 보니 4,5세 때부터 꾸준히 영어에 노출시킨 결과 확실히 듣는 귀가 트이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아이들의 책은 엄마나 아빠가 언제까지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는 시기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잠을 자기 전에 책을 읽어주는 것은 아이의 언어발달은 물론안정된 정서 형성에도 도움이 되는 부분입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자기 전 읽어주는 책은 아이들로 하여금 행복한 꿈꾸기를 할 수 있게 도와주며한글 공부와 언어 발달 등 학습 효과도 뛰어나다고 합니다. 잠자기 전 유아들에게는 베드타임 스토리가 꼭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전문가들은 생후 6개월부터 시작해서 최소한 10세가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책을 읽어줄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장시간 집중력을 유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이의 집중력을 키우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독서 습관을 길러준다면 아이의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잠들기 전에 책을 읽어주고 도서관에 가서 책도 읽고 대출을 해오는 것도 효과적입니다.아이의 집중력을 높여주기 위해서는 집중을 잘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보기 전에 아이의 생활패턴을 체크해야 합니다.아이가 좋아하는 놀이가 무엇인지를 관찰해보면 아이는 자신이 좋아하는 놀이를 할 때 엄청난 집중력을 발휘합니다.아이와 작은 약속을 했더라도 잘 지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가족 구성원 모두가 서로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모습을 보여주세요.아이에게 선택권과 책임감을 부여해주세요.아이에게 건강한 신체리듬을 만들어주세요.(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기)집안 환경을 차분한 느낌으로 정돈하는 것이 좋습니다.(아이가 공부할 때 TV보지 않기)
양육·훈육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아이의 타고난 호기심을 키우고 지속시키기 위해 부모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요?
말을 배우기 시작하고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시기가 되면아이들은 호기심이 왕성해집니다.어떻게 보면 모든 것이 궁금하고 신기할 따름이지요.그렇기 때문에 '왜?'라는 질문을 자주하게 됩니다.부모 입장에서는 계속된 질문에 힘이 들수도 있겠지만 가능하면 부모님이 설명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친절하게 대답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개방형 질문을 하며 아이가 자신의 의견이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대화를 이끌어가는 것이 좋겠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아이가 새로운 상황에서 불안감을 자주 느낀다면, 자신감을 키울 수 있도록 어떻게 도와줘야 할까요?
아이가 새로운 환경에서 불안함을 보이니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아이의 자신감은 자존감과 관련이 있는만큼 자존감을 키우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따듯한 스킨십을 해줍니다.부모가 먼저 모범이 되어주어야 하며, 아이에게 자율성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좋은 모습을 보일 때는 아낌없이 칭찬해주고 가능하면 '안돼'라는 말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부모가 아이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고 잘못된 행동을 야단치게 되면 아이의 자존감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부모의 잦은 화내는 모습을 보고 자란 아이는 부모에게 사랑받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자존감이 낮은 아이로 자랄 확률이 높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25개월 아기가 아직 말이 느립니다ㅜㅜ
25개월 아이가 말이 느려서 걱정이 되는것 같습니다. 생후 12개월경에는 두 단어 또는 세 단어의 의미 있는 말을 고정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합니다.18개월~24개월 사이는 언어 발달이 가장 활발한 시기입니다.18개월에는 10개가량의 단어를 사용하는 정도였다면, 24개월에는 사용할 수 있는 단어가 100~200개로 늘어나게 된다고 합니다. 이런 점을 유심히 살펴보고 언어지연으로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이 있다면 병원이나 발달센터에 방문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1월 17일 작성 됨
Q.
공갈젖꼭지는 언제, 어떻게 끊어야 할까요?
공갈젖꼭지를 언제 어떻게 끊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기는 생후 4주부터 3개월까지 빨기 욕구가 증가하며빠는 행위를 통해서 안정감과 행복감을 느끼게 된다고 합니다.아무래도 치열이 영향을 받는다고하니 저는 젖니가 올라오는 생후 6개월을 기점으로 쪽쪽이 끊기를 시도합니다.아이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생후 6개월~12개월 사이를 공갈젖꼭지를 끊는시기로 잡는 것이 적절하다고 합니다.공갈젖꼭지의 끝 부분을 가위로 자르면 빠는 흥미를 잃게 된다고 합니다.
441
442
443
444
4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