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내년도부터 변경이 되는 육아휴직 제도는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육아휴직 관련 법 개정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기존 법에 따르면 육아휴직은 최대 1년 동안 3번에 나눠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개정된 법에 따르면 [부모가 각각 육아휴직을 3개월 이상 사용하는 경우, 또는 한 부모나 중증 장애아동의 부모인 경우 최대 1년 6개월까지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4번에 나눠 사용할 수 있다. ]고 되어 있습니다. 이와 함께 육아휴직 급여도 인상됐는데, 급여 관련 개정 제도는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됩니다.기존에는 월 150만 원이 상한액이었으나, 개정법에 따라 휴직 후 첫 3개월 동안은 월 250만 원, 4~6개월 차는 200만 원, 7개월 이후부터는 160만 원이 지급됩니다. 또한, 육아휴직 급여의 일부를 복직 후 지급하던 사후지급금 제도는 폐지된다고 합니다.
Q. 아이가 스마트폰을 비롯해서 TV 등의 디스플레이 시청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놀이 대안으로는 어떤게 있을까요?
전자기기를 대신할 수 있는 대안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가 전자기기 외에 다른 쪽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합니다.이 부분은 부모님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집 안에 있을 때는 보드게임이나 말놀이와 같이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를 하며 시간을 보내고,가족이 함께 운동을 하거나 산책을 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주말이나 휴일에는 가족과 함께 여행, 공연관람, 각종체험활동,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여가를 즐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가정에서 할 수 있는 놀이는 실내라는 특성 때문에 어느정도 한계는 있습니다.도구 없이 할 수 있는 말놀이(끝말잇기, ㅇㅇ에 가면, 리 리 리 자로 시작하는 말 듬)이 있으며 아이들의 사고력, 기억력, 어휘력에 도움이 됩니다.그리고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보드게임이 있습니다.도구를 활용한 라켓볼, 캐치볼(공이 달라붙는 형식), 림보게임, 실내볼링, 컬링, 밸런스보드놀이, 트램폴린 등이 있습니다.
Q. 10살 아이 경제 개념이 없는데 어떻게 돈관리를 가르쳐야 할까요?
아이에게 경제 관념을 가르쳐주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경제관념을 심어주기 위해서는가장 우선적으로 돈이 무엇인지를 알려줄 필요가 있겠습니다.https://tv.naver.com/v/25514775아이에게 캐릭터 용돈기입장을 선물해준다면 아이가 스스로 기록해보면서 용돈이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또 아이에게 용돈이 생겼을 때 아이 손을 잡고은행에 가서 아이 이름으로 된 통장을 만들어 줍니다.용돈이 생길 때마다/ 아이가 저축을 하고자 할 때마다 번거롭지만 은행에 주기적으로 방문해서 저축하는 것을 도와준다면아이의 저축하는 습관이 자리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아이가 어리다면 시장놀이, 은행놀이를 하면서 경제개념을 키워줄 수도 있습니다.다양한 보드게임(세계여행, 모두의마블, 사다리게임 등)을 통해서도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