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의 편식이 고쳐지지 않는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편식이 고쳐지지 않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식습관 개선을 위한 교육을 해주는게 좋겠습니다.따라서 먼저 아이와 영양교육 관련 그림책이나 동영상을 이용해서 교육을 실시한 다음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나눕니다.식습관 개선을 위한 그림책은 식습관 시리즈(천개의 바람), 사계절은 맛있어, 백설공주는 먹는 것도 달라, 남길까? 먹을까?, 푸메, 꾸메와 함께 식당에 가요(상상스쿨) 등이 있습니다.그렇게 하면 이전보다는 동기부여가 될 것입니다.그리고 야채나 과일, 다양한 재료 등을 이용해서 요리활동을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요즘은 시중에 파는 새싹채소, 버섯, 콩나물기르기 키트 등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아이와 함께 채소를 재배하는 것으로도 식습관 개선에 효과가 있습니다.아이가 먹지 않더라도 요리활동 등을 통해서 먹어볼 수 있도록 경험시켜 주는 것이 성인이 되었을 때 식습관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Q. 형제자매에게 서로 질투하는 아이들 어떻게 해야 할까요?
형제 자매 간의 질투를 막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들 간의 질투는 다툼으로 발전하기도 합니다. 형제, 자매간의 다툼의 원인은 주목받고 싶은 감정, 자원 경쟁, 성격 차이, 의사소통의 부재를 들 수 있습니다.형제, 자매를 양육할 부모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아이들의 갈등 상황에서 객관적인 판단으로 자녀 간의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부모는 자신의 편견을 배 제하고 문제를 봐야 합니다.일상생활에서 자녀에게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감정 라벨링이나 타임 아웃 같은 심리학적 기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다툼이 여지가 있는 자원과 관심을 공정하게 분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부모는 자녀에게 동일한 기회와 자원 을 제공해야 합니다.
Q. 친구들에게 자주 놀림 받는 아이, 자존감을 높이고 친구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도록 하는 방법은?
아이가 친구들에게 놀림을 받으니 속상하고 걱정이 되겠습니다.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주기 위한 부모의 역할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일상생활에서 따듯한 스킨십을 해줍니다.부모가 먼저 모범이 되어주어야 하며, 아이에게 자율성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좋은 모습을 보일 때는 아낌없이 칭찬해주고 가능하면 '안돼'라는 말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부모가 아이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고 잘못된 행동을 야단치게 되면 아이의 자존감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부모의 잦은 화내는 모습을 보고 자란 아이는 부모에게 사랑받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자존감이 낮은 아이로 자랄 확률이 높습니다.친구들을 사귀고 관계를 개선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긍정적인 대화 촉진, 사회적 기술 가르치기, 자신감 심어주기, 건강한 관계 예시 보여주기(부-모 관계, 지인과 관계 등), 문제 해결 지원(적절하게 조언해주고 자녀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격려) 등이 있습니다.일상생활에서 부모가 다른사람과 소통하는 기술을 보여주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