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이는 우리의 미래이며 꿈입니다!!

아이는 우리의 미래이며 꿈입니다!!

송신애 전문가
누리유치원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들에게 회초리를 들지 않고 어떻게 처벌할 수 있을까요?
회초리로 때리거나 벌을 주기보다는 반복적이지만 훈육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마지막으로 '앞으로는 ㅇㅇ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하게 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결국 이런 환경에서 자라난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아이가 구구단을 어려워합니다...
수학교구 구구판이라고 있는데구구단의 원리를 알아가면서 구구단을 외울 수 있습니다. 다만 구구단은 반복적으로 외우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구구단노래, 구구단송을 검색해서 반복적으로 들으며 따라하는 것도 외우는데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아기 예방 접종은 언제 어떻게 맞춰야 하나요?
영유아 예방접종 시기를 알 수 있는 사이트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yeonsu.go.kr/clinic/guidance/vaccination.asp또한 예방접종도우미사이트에서 아이의 예방접종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https://nip.kdca.go.kr/irhp/index.jsp아이들의 국가예방접종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아이들의 경우 몇 살정도가 되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주면 될까요 ?
몇 세때 스마트폰, 태블릿을 노출시켜주는게 좋은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미디어에 오랜 시간 노출이 되면 아이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눈건강, 뇌발달, 학습장애 등)을 미칠 수 있으니 보호자가 관리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전문가에 따르면 연령별로 하루 휴대폰, 태블릿 적정 사용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만0~2세: ~30분/1일만3~5세: 30분~1시간/1일만6세~12세: 1~2시간/1일만13~18세: 2시간/1일이라고 합니다부모님께서 잘 판단하겠지만 휴대폰은 사주는 시기가 늦으면 늦을수록 좋다고 합니다.아이들은 성인에 비해 자기 조절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전자미디어에 오랜 시간 노출되다 보면 뇌발달, 눈건강, 일상생활, 학습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애플의 창업자 스티브 잡스 또한 아이가 중학생이 됐을 때야 휴대폰을 사줬다는 말이 있더라고요.아이들이 휴대폰에 시선이 고정되어 있을 때 집중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아이의 뇌는 멈춰 있다고 하더라고요.아이와 통화를 하기 위해서 휴대폰을 사줘야 한다면 2G폰이나 키즈폰을 사주는게 어떨까 싶습니다.아이에게 스마트폰을 사줬는데 약속이 잘 지켜지지 않는다면 어플로 관리를 해줄 수도 있습니다.구글 '패밀리링크'를 통해 아이의 휴대폰 사용시간, 사용 어플 제한, 위치정보 공유가 가능합니다.
놀이
놀이 이미지
Q.  아이들에게 롤러스케이트를 가르칠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부모님이 가르치기 보다는 롤러스케이트장에서 레슨을 받아보는 것도 어떨까 생각해봅니다. 스케이트 장비를 모두 착용한 후 바른 자세를 취한 후 발을 어깨 너비를 벌립니다. 무릎을 굽혀 스쿼트 하듯 살짝 자세를 낮춥니다. 편안하게 쪼그린 자세에서 몸 뒤쪽이 바닥 쪽으로 향해 내리고 앞으로 살짝 숙입니다. 롤러스케이트를 탈 때 균형을 잡는 것이 핵심이며 이 자세가 넘어지는 것을 막아줍니다.그 다음에는 오리처럼 걷습니다. 이후에는 미끄러지듯 가는 법을 배웁니다. 마지막으로 멈추는 법을 연습합니다. 이러한 단계로 진행하면 될 것 같습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아기가 짜증 안내고 잘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아이의 신체리듬을 위해서 규칙적인 생활 습관을 기르는게 좋겠습니다. 아이가 몸이 피곤할 때 투정을 부릴 때가 많습니다. 따라서 밤잠 시간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전문가에 따르면 밤10시~새벽2시 사이에 성장 호르몬이 왕성하게 분비된다고 합니다.따라서 이 시간 이전에는 깊은 잠에 들어가야 키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아이의 수면 습관을 만들어주는 것도 필요합니다. 환경적인 요인을 살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매일 일정한 장소에서 일정한 시간이 되면 잘 준비를 하십시오.잠을 자려고 누워서는 책을 한권 읽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모든 준비가 다 되었다면 집안에 있는 모든 전등을 소등하고 암막커튼 등을 이용해서 빛을 차단하는게 수면 유도에 효과적입니다.그리고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휴대폰, 태블릿과 같은 기기는 다른 곳에 두는 것이 좋겠습니다.매일 반복하다보면 아이도 익숙해질 것입니다.잠자는 방의 실내 온도(20~22℃) 및 습도(50~60%)를 유지하는 것이 좋고,방 안의 산소 공급을 위해서 공기청정기를 틀어놓는 것도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신생아 목은 언제부터 가누는 건가요?
신생아가 목을 가누는 시기가 언제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보통 생후 3~4개월이 되면 목을 가누기 시작합니다. 아이의 목 가누기를 도와주기 위해터미타임(엎드려놓기)을 자주해주기도 합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2학년이면 구구단을 외워야 하지 않을까요?
네 보통 2학년에 구구단을 외우기 시작합니다. 요즘은 구구단송, 구구단 노래를 검색해서 반복적으로 들으면서 구구단을 외울 수도 있습니다. 요즘은 의외로 주산을 하는 아이들도 많이 늘었다고 합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6살) 글자공부 언제부터 사작하는게좋을까요?
아이의 글자 공부를 언제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한글 공부는 아이가 관심을 가질 때 시작하는게 가장 효과적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학습지와 같은 평면 자료를 이용해서 학습하면 아이가 싫증을 낼 수도 있으니 놀이 식으로 접근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번거롭겠지만 우선 집에 있는 사물 밑에 이름카드를 붙여주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그림과 글자가 함께 있는 카드로 놀이를 하고 그림-글자를 분리해서 찾기 놀이를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또한 꾸준하게 책읽기를 하는 것은 아이의 정서, 언어발달에 효과적입니다.글자 사냥이라고 해서 길을 지날 때 현수막, 간판, 포스터에 보이는 글자를 읽어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동생이 자꾸 누나한테 대들고 공격적으로 대해요
동생이 자꾸 누나한테 대들고 공격적으로 대하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형제, 자매간의 다툼의 원인은 주목받고 싶은 감정, 자원 경쟁, 겅격 차이, 의사소통의 부재를 들 수 있습니다.형제, 자매를 양육할 부모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객관적인 판단으로 자녀 간의 문제를 중립적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부모는 자신의 편견을 배 제하고 문제를 봐야 합니다.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교육을 해야 합니다. 자녀에게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감정 라벨링이나 타임 아웃 같은 심리학적 기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갈등의 원인이 될 수 있으니 자원과 관심을 공정하게 분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부모는 자녀에게 동일한 기회와 자원 을 제공해야 합니다.
5515525535545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