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신성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전문가입니다.

신성현 전문가
서울에이스내과의원 (개원예정)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인류 역사상 가장 사망자가 많았던 전염병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사망자를 낸 전염병은 14세기 중반 유럽을 휩쓴 '흑사병' 또는 '페스트'입니다. 흑사병은 1347년에서 1351년 사이에 유럽에서 대유행하며 약 7,500만에서 2억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전염병은 주로 쥐에 기생하는 벼룩에 의해 전파된 페스트균(Yersinia pestis)에 의해 발생했으며, 당시 유럽 인구의 약 30%에서 60%를 감소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흑사병 이후로도 여러 차례의 페스트 유행이 있었지만, 14세기의 대유행이 가장 치명적이었습니다. 이에 비해, 최근의 코로나19 팬데믹은 2020년부터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약 700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낳았지만, 흑사병과 비교하면 사망자 수는 훨씬 적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는 현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고, 그로 인해 많은 사회적, 경제적 변화가 발생했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우리몸은 체온이 몇도가 되어야 위험한가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안녕하세요, 대범한애벌래285님. 우리 몸의 정상 체온은 일반적으로 섭씨 36.5도에서 37.5도 사이에 위치합니다. 체온이 이 범위를 벗어날 때 신체는 여러 가지 생리적 변화를 겪게 되는데, 체온이 섭씨 38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발열로 간주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감염이나 염증 반응의 결과입니다. 체온이 섭씨 39도에서 40도에 이르면 고열로 분류되며, 이 상태에서는 신체 기능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즉각적인 원인 파악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섭씨 41도 이상이 되면 매우 위험한 상태로, 열경련, 열사병, 그리고 뇌 손상까지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체온이 섭씨 35도 이하로 떨어지면 저체온증으로 간주되며, 이 상태에서는 심각한 심혈관 및 신경계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요즘 주위에 당뇨병에 걸린 사람들이 간혹 있는데 당뇨병에 걸리는 원인으로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당뇨병의 발생에는 유전과 환경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즉, 유전적으로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체질을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사람이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는 환경에 노출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당뇨병을 일으키는 유전자의 이상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는 전체 당뇨병의 1% 미만에 불과하며, 대부분의 당뇨병에서는 원인 유전자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는 환경적 요인으로는 고령, 비만, 스트레스, 임신, 감염, 그리고 스테로이드제제, 면역억제제, 이뇨제와 같은 약물이 있습니다. 환경적 요인은 유전적 요인과는 달리 개인의 노력으로 어느 정도 피할 수 있습니다. 최근 당뇨병이 급증하는 이유는 유전적 원인보다는 과도한 음식 섭취와 운동 부족으로 인한 비만증의 증가 때문으로 여겨집니다. 단 음식을 많이 먹는다고 당뇨병이 직접적으로 생기지는 않지만, 단 음식을 많이 먹으면 체중이 증가할 수 있으며, 비만이 되면 당뇨병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크레아티닌 수치는 고기를 먹으면 올라가나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크레아티닌은 근육 대사 과정에서 생성되는 노폐물로, 체내에서 소변을 통해 배출됩니다. 고기, 특히 적색육에는 크레아틴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이를 섭취하면 크레아틴이 분해되면서 크레아티닌 수치가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 있습니다. 건강검진을 할 때는 9시간 이상 금식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금식 직전에 고기를 많이 섭취했다면 크레아티닌 수치가 평소보다 높게 나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음식만으로 크레아틴이 많이 상승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심혈관 기능이 저하되고 신장수술을 받으신분이 장어를 드셔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고지혈증이나 혈관의 죽상경과증은 만성적인 변화이지 한번 장어와 같은 음식을 드셨다고 해서 급격히 악화되거나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니 크게 염려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특히 여름에 많이 생기는 것으로 얼굴피부에 기미하고 잡티가 많은것 같아요. 특히 여성들이 신경을 많이 쓰는것 같은데 기미하고 잡티는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기미와 잡티는 얼굴 피부에 흔히 나타나는 색소 침착 문제로, 특히 여름철에 자외선 노출이 많아지면서 더욱 심해질 수 있습니다. 이 둘은 원인과 특성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잡티는 피부에 나타나는 다양한 형태의 색소 침착을 통칭하는 용어로, 기미 외에도 주근깨, 검버섯, 그리고 여드름 자국 등이 포함됩니다. 잡티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자외선 노출, 노화, 유전적 요인, 피부 손상(예: 여드름이나 상처)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잡티는 기미보다 더 불규칙한 모양과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얼굴 전체에 고루 분포할 수 있습니다.기미는 주로 얼굴에 나타나는 거무스름한 반점을 말하며, 주로 얼굴 양쪽에 대칭적으로 나타나고 색상은 짙은 갈색에서 회색까지 다양합니다. 기미는 호르몬, 햇빛, 유전적 요인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호르몬 변화가 주요 원인으로 꼽히며, 임신 중인 여성의 약 50~70%가 기미를 경험합니다. 피임약 복용도 기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피임약을 복용하는 여성의 약 25%가 기미를 겪습니다. 두 번째로, 햇빛 특히 자외선은 기미를 악화시키는 주요 원인입니다. 자외선은 피부의 멜라닌 세포를 자극하여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며, 여름철에 기미가 더 짙어지는 이유입니다. 세 번째로, 유전적인 소인도 기미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종합적으로 기미는 유전적 소인에 호르몬 변화와 자외선 노출이 더해져 멜라닌 세포가 활성화되면서 생깁니다. 증상으로는 주로 햇빛에 많이 노출되는 광대뼈와 뺨 부위에 거무스름한 반점이 나타나며, 통증이나 가려움은 없습니다. 기미는 주로 피부를 관찰하여 진단하며, 문진을 통해 원인을 확인합니다. 기미의 치료와 예방에는 햇빛 차단이 가장 중요합니다. 햇빛을 철저히 차단하지 않으면 어떠한 치료도 효과가 없습니다. 특히 임신과 관련된 기미는 햇빛 노출을 주의하면 자연스럽게 없어질 수 있지만, 출산 후에도 지속될 수 있습니다. 얼굴과 목, 팔, 손 등 노출 부위에는 매일 햇빛 차단제를 꼼꼼히 발라야 합니다. 흐린 날에도 자외선이 영향을 미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기미를 줄이기 위해서는 하이드로퀴논이나 아젤라인산 크림 같은 바르는 약을 수개월간 꾸준히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화학 박피술은 피부를 얇게 벗겨내어 기미를 감소시키며, 비타민 C는 항산화제로서 피부 손상을 막는 데 도움을 줍니다. 비타민 C를 전기영동법으로 피부에 침투시키는 방법도 흔히 사용됩니다. 레이저 치료(IPL)로 기미가 생긴 피부층을 제거할 수도 있습니다. 기미의 원인이 되는 호르몬 약제 복용을 중단하거나 출산, 햇빛 차단 등이 이루어지면 기미가 서서히 희미해지거나 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완전히 없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추천 버튼을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모기를 통한 에이즈 감염은 제가 가정한 상황에서는 가능 할까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모기를 통한 HIV 감염은 거의 희박합니다. 모기가 HIV에 감염된 사람의 혈액을 빨았다고 하더라도, HIV는 모기의 소화 시스템에서 생존할 수 없고, 모기를 통해 사람에게 전염될 수 없습니다. 가정 상황에서, HIV에 감염된 혈액을 함유한 모기를 손으로 잡고, 그 모기의 시체와 혈액을 혀로 핥았다면, 이론적으로 매우 낮은 확률의 위험이 있을 수 있으나, 실제로는 상상하기 힘든 결과입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내과가서 내시경하고 식도염 위염 진단 받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식도염과 위염은 위산 역류와 염증으로 인해 소화가 어려워지고, 이로 인해 설사와 같은 소화기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염증으로 인해 소화 과정이 원활하지 않으면 소화되지 않은 음식이 장으로 빠르게 이동해 설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3주 동안 설사가 지속되었다면, 이는 식도염과 위염 외에도 다른 원인이 있을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음식에 대한 민감성이나 음식 섭취 후 소화되지 않는 경우,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 감염성 장염, 장내 세균 불균형 등이 설사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식사 후 설사가 발생한다면 음식물의 종류나 섭취 방법에 변화가 있는지도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눈동자를 굴리면 눈이 아파요 왜그럴까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밤에 울다가 잠들었기 때문에 눈물이나 눈 주위의 근육 긴장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울음으로 인해 눈물이 많이 나면 눈 표면이 자극을 받아 건조하거나 염증이 생길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눈동자를 움직일 때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울면서 눈을 비비거나 눈 주위의 근육이 긴장된 상태로 잠들게 되면, 근육 통증이나 피로가 눈 주위에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질병이라면 결막염이나 안구건조증, 눈 주위의 근육 염증 등 다양한 안과적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결막염은 눈의 결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눈동자를 움직일 때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통증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정확한 진단을 위해 안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저혈당 의심이 되는데 어디로 가면되나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건강한 성인이 저혈당이 생기는 것은 매우 드문일입니다.기능성 소화불량증일 가능성이 더 높아 보입니다. 증상이 있을때 간단한 혈액검사를 통해 혈당을 확인할수 있으니 내과전문의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1211221231241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