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크론병은 무엇을 의미하며, 유산균과의 상관관계 및 도움이 되는 부분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크론병은 소화기계에 만성 염증을 일으키는 염증성 장질환(IBD)의 하나로, 주로 소장과 대장을 포함한 소화관의 어느 부분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병은 자가면역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크론병의 증상으로는 복통, 설사, 체중 감소, 피로, 열, 항문 주변의 통증 및 염증 등이 있으며, 이러한 증상들은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유산균과 크론병의 상관관계는 의학적 으로는 뚜렷한 근거를 갖고있지 않습니다.
Q. 아메리카노 종이컵 반잔만 먹어도 위장 장애가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커피에는 카페인과 산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위산 분비를 촉진하고 위 점막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특히 커피에 민감한 사람들은 소량의 커피라도 위장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며, 위가 더부룩하고 목에 뭐가 막힌 것 같은 증상, 즉 역류성 식도염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커피는 위식도 괄약근의 긴장을 낮춰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기 쉽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평소 커피를 마시지 않던 사람이라면 이러한 반응이 더욱 강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Q. 젖산은 무엇을 의미하며, 젖산 생성과 관련해서 유산균이 밀접한 관련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젖산은 유산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유기산으로, 그 의미와 기능은 매우 다양합니다. 젖산(Lactic acid)은 유산균에 의해 당류가 발효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산물로, 특히 Lactobacillus와 Bifidobacterium 같은 유산균이 젖산을 많이 생성합니다. 젖산의 주요 기능 중 하나는 장내 환경을 산성화하여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고, 유익한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장내 미생물 균형이 개선되어 소화기 건강이 증진되고 면역체계가 강화됩니다.
Q. 장내 여러가지 미생물이 다양하게 있는데 유산균이 각각의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장내 미생물은 매우 다양하며, 유산균이 각각의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도 다르게 나타납니다. 유산균은 장내 환경을 조절하여 특정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Lactobacillus와 Bifidobacterium 같은 유산균은 유기산을 생성하여 장내 pH를 낮추고, 이는 병원성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동시에 유익한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합니다. 각각의 유산균은 장내 다른 미생물과 독특한 상호작용을 합니다. Lactobacillus는 주로 젖산을 생산하여 pH를 낮추고, Bifidobacterium은 짧은 사슬 지방산을 생성하여 장내 환경을 조절합니다. 이러한 유산균들은 장내 점막의 면역세포와 상호작용하여 면역 반응을 조절하고 염증을 억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