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자석과 보자력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자화된 자성체(자석)로 자화되지 않은 일반 철못을 자성체(준자석=혹은 일시 자석, 강제 자석화)로 만들었다가 원래의 철못으로 되돌리는 자력의 잔류 자기량을 의미한다. 이것은 자석과 잔류자기를 가지는 재료의 기초 구분에서 그 영역이 나뉘는데, 자석의 기본 상태를 1nm철 결정이 8개에 의해서 사각 주사위를 만들고, 이 사각 주사위 2개의 겹치는 면에 ㅁㅁ산소 분자 4개가 -183도의 전자를 가지지않은 상태로 결합을 하는데, 이것은 불의 물분자에서 수소 원소를 제거한 결합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불의 물의 800도에서 물분자의 수소 원소 2개는 수소 양성자의 전자량을 가지므로, 이 수소 원소는 불의 물분자 산소에 결합한 불에서 생성된 불의 물분자가 된다. 공기중에서 이산화탄소와 결합을 해서..공기중의 물분자 1000개의 플라즈마에 합류해 벌리므로, 이것을 차근차근한 불의 물의 상태를 이론 검증하지 못하면 이 현상을 풀수가 없다. 즉...불의 물분자 h2o의 수소원소 2개는 수소 중성자화가 아닌 수소 양성자화된 상태의 전자 511 000eV/c2개가 부족한 상태의 물분자 불의 물의 수소 양성자 원자 상태에 해당한다. 이것은 플라즈마 불꽃의 내부에만 존재하므로, 철 주사위 2개의 결정면에 불의 물분자를 4개를 철 4각 주사위 1nm+1nm =[ ㅁ+h2o(물의 불)+ㅁ]이므로 화학식으로 [fe4+h2o(물의 불 수소 양성자 원자를 2개 가진 상태)+fe4 ] 이렇게 되는 것이 자석의 기본 결합이고, 철이 사각 주사위 결정을 먼저 만들어야 하므로..자석의 재료는 fe2o3등으로 먼저 결합된 결정을 가져야 한다. 즉...철의 사각 결정을 먼저 가지고, 산소 원자를 철의 외부 결정에 가진 상태면 된다. 1um에는 철 원자 4천개가 되므로...이것을 이용해서 4각 주사위를 만들면 1천개의 1개 면을 가진 사각 주사위 1um이 되고...이 결정사이에 산소원소이든...불의 불분자+h2 0가 결합을 하든 상관이 없다. 이 구조를 갖는 것이 자석의 기본 형태이므로, 천연 자석에서는 이 밀도가 높지가 않은 것이다. 즉...산불에 노출된 철광석의 일부에 물분자의 불의 상태로 결합을 하여서, 자철석이 주로 생산되는 특징은 마그마 주위의 대규모 철광석 산지가 필요하고, 이것의 대표적인 철광이 북한의 백두산에서 두만강쪽으로...백두산 천지의 온천수가 무산 철광의 철에 공급되므로...물의 물분자 조건인 전류를 공급하여...물분자의 수소 원소를 무산 철광에 공급하여 적철광으로 바꾸는 것이다. 그러므로 보자력이라 하면 물분자의 수소 원소가 수소 양성자 원자화 되어서 ...철의 수소 취성...즉..수소 원소가 50pm-->49pm의 크기로 줄어들어서...철의 결정면에 자성의 상태인 산소 원소에 결합되면...이 자철광이 자석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상온에서 자석을 가지고 일반 철못으로 자화를 시키면 자석이 가지는 자석의 강도보다 낮은 자화률을 갖는다. 즉...자화가 되었다는 의미는 수소 원소가 자성에 추가 되어서 자석화가 되었다는 의미가 되고..자기장을 H로 하는 것은 수소의 이름이 Hydrogen이기 때문이고, 물분자의 수소 원소H가 수소 중성자가 아닌 수소 양성자원자 상태로 변화되어서 철에 흡수가 되고...산소갯수에 2개가 흡수될수있므로...자화량은 산소 원소 갯수가 된다. 이 자석에서 자기 포화의 의미는 산소 원자에 수소 양성자 원자화된 2개의 원자를 Hydrogen을 가졌으므로, 이후에 용어는 proton의 용어가 적절한데...이것은 1930년대에 규명이 되어서...자기장H는 수소 원소의 물분자 수소 양성자 원자로의 변환이고...B는...자성을 가진 물질이 금속내에서 산소외에 일부 물질들이 존재하므로,B로 포괄적으로...기호화 시킨것이다. 자석의 재료가 여러가지 이고..전류의 물분자 h-oh를 통해서 수소 원소를 철 자석 기준으로 물분자의 수소 양성자화된 수소 2개를 넘겨주면 산소쪽에서는...그냥 수소 양성자 원자의 511 000개를 2개를 공급받은 상태가 되므로...이 자체로 공기중의 산소 원자의 높은 온도로 방출되면 된다. 그래서..자기장으로 저장하는 자기 테이프 등의 온도가 올라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Q. 매년 날라오는 중국 미세먼지 해결방법에대해서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국가적인 차원에선 중국과 협상을 통해 해결방안을 꾸려나가야 하겠지만사드 배치이후 중국과의 외교는 힘들어졌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국과 협상을 통해 해결해 나가는것과 환경관련 국제기구, 국제 협약을 통해 중국측에 압박을 가하는것이 있겠습니다.개인적인 차원에서는 개개인이 미세먼지 방지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하고 미세먼지, 환경 관련 정책을 펼치려는 정치인, 국가기관에 관심을 가지고 정치인, 국가기관에 민원을 넣고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는게 현재 미세먼지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