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원형석 전문가
엘엑스
Q.  천지와 백록담은 지질학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천지(백두산)천지는 한라산의 백록담과 마찬가지로 화산 활동이 끝난 분화구에 물이 고여 생겼습니다. 산꼭대기에 있는 화산 분화구로서는 백두산의 천지가 세계 최대이며 가장 깊은 곳의 수심은 384미터입니다. 하늘에서 바라본 천지의 모습은 타원형으로둘레의 길이는 14.4킬로미터에 이르며 긴 쪽의 지름은 4.6킬로미터나 됩니다. 천지에 있는 물의 양은 19억 5천5백만 톤이라고 합니다.백록담(한라산)한라산 정상에는 화산폭발로 형성된 산정호수 백록담 (白鹿潭)이 있다. 화구륜의 능선둘레는 대략 1.7㎞, 화구호의 깊이는 110여 미터인데 그 넓이가 6만평이 조금 넘는다. 장마철 집중호우가 내려 만수가 되면 화구호의 삼분의 이가 물에 잠긴다. 그러나 요즘에는 자연적인 증발로 인해 수량이 많이 줄어 보는 이의 마음을 안타깝게 한다. 백록담이라는 명칭은 흰사슴을 탄 신선이 내려와서 물을 마셨다는 전설에서 기인한다. 선녀들이 하늘에서 내려와 노는 곳으로도 알려진다 깊이=평균으로는 213.3m 최대깊이는 384m둘레=14.4km면적=9.17제곱킬로미터최대너비=3.6km천지의 깊이는 평균으로 213.3m 최대깊이는 384m이고라고 한다. 천지의 둘레는 14.4km이고 면적은 9.17제곱킬로미터라고 하고 최대 너비는 3.6km라고 한다.깊이=108m둘레=1.72km면적=10.000제곱미터최대너비=600m백록담의 깊이는 108m라고 한다. 둘레는 1.72km 라고 한다. 면적은 10.000제곱미터라고 하고 백록담의 너비는 600m라고 한다.천지와 백록담은 화산활동으로 이루어진 호수라고 한다. 기준천지백록담위치백두산 정상한라산 정상크기총둘레 14.4km, 긴 쪽 지름 4.6km, 평균 너비 1.975km총둘레 3km, 화구호의 깊이 110 여m, 동서 길이 600m, 남북 길이 500m물의 양수량이 매우 많다장마철에는 물이 많지만 보통 때는 수량이 적다.모양둥글다둥글다깊이평균 수심 213.3m, 최대 깊이 384m수심이 2~3m 정도로 낮으나 장마철의 최대 수심은 150미터생물식물성 플랑크톤 5종, 작은 동물 및 곤충 4종, 이끼와 같은 동물 및 곤충 4종화구호 사면의 구상나무 숲에 보금자리를 틀고 사는 노루, 160여 종의 식물, 특산식물
Q.  다차원에 대해 밝혀진 것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단 블랙홀은 진공청소기가 아닙니다. 빨아들이지 않아요. 단순히 사건의 지평선부터는 탈출속력이 광속을 넘는 천체에요.그저 운동에너지가 너무 약하면 떨어지고 어정쩡하면 주변을 맴돌고있는수준이죠.사건의 지평선 밖이라면 탈출도 가능합니다 ㅇㅇ...지구가 사과를 끌어당긴다고해서 빨아들인다고는 안하죠. 정확히는 블랙홀은 고질량체로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론의 중력방정식을 따라주변의 시공을 휘게합니다. 사건의 지평선보다 더 내부는 그 휘어짐이 강해시공진행방향이 특이점을 향하는 특이한 형태의 천체입니다.즉 사건의 지평선 밖의 물질들은 블랙홀안으로 진공청소기마냥 흡입되는게 아니에요.몇몇은 낙하하기도하지만 대부분 물질들은 낙하하면서 운동에너지를 충분히 얻으므로 주변을 회전하고있죠.인터스텔라에서도 나온 블랙홀의 고리들같이 되죠.뭐 그래도 이미 충분히 많은 질량이 특이점으로 집합되어 엄청난 고질량 고밀도 천체임은 틀림이없습니다.웜홀, 블랙홀, 화이트홀 보두 중력방정식으로 나온 고질량(또는 고에너지체)에 대한 해로블랙홀만 실제로 관측되고 나머지둘은 아직 발견되지않았습니다.웜홀은 시공-시공 연결다리고, 블랙홀은 특이점을 향해 시공방향이 뒤틀린천체,화이트홀은 특이점 반대방향으로 시공방향이 뒤틀린 천체입니다.위에서 말했다시피 블랙홀은 진공청소기가 아니긴하지만 일반적으로 퍼진진공청소기의 이미지때문에 화이트홀이없어선 안될거같아 보일순 있겠습니다만.사실 화이트홀은 있으나 마나 별로 상관없는 천체입니다.웜홀을 사용하기 힘든건블랙홀과 블랙홀의 연결점이라서 해도 별틀린말은 없겠습니다만.일단 제일큰 이유는 그 구멍이 너무 좁다는것입니다.충분히 큰 웜홀이 생성되려면 어마어마한 에너지또는 음의에너지(질량이 아마 허수값으로 나오는것들일겁니다.)가 필요한데어마어마한 에너지체는 즉 고질량체이기때문에 거의 블랙홀이 있다는게 확정이고음의에너지는 현재 우리가 다룰수있는 방법이없어서결국 웜홀을 이용하는 방법은 전무하다고 봐도 됩니다.
Q.  솔레노이드가 스위치를 동작 시키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솔레노이드라는 것은 코일을 둥글게 감은 형태를 말합니다. 위 사진에서 A처럼 둥글게 많이 감은 형태를 솔레노이드라고 하죠. 쉽게 표현하자면 전자석입니다.그런데 님이 굴러다니는 부품을 하나 구해서 동작을 살펴보려고 했는데 하필이면 위의 릴레이는 래칭릴레이라고 해서 다소 특수한 릴레이입니다.일반 릴레이는 코일단자가 2개가 있고 전원을 넣어주면 스위치가 붙고 전원을 끊어주면 스위치도 끊어집니다. 그런데 위의 릴레이는 래칭릴레이라고 해서 3,4번으로 전원을 넣어주면 스위치가 붙는데 이상태에서 전원을 끊어줘도 스위치는 그상태를 계속 유지합니다.그러다가 4,5번에 전원을 넣어주면 스위치가 끊어집니다. 그렇게 되는 이유는 위의 A부분에 영구자석이 들어가 있기때문입니다. 영구자석이 들어가 있기는 하지만 강한 영구자석이 아니라 좀 약한 영구자석이라서 멀리있는 철판을 끌어당기지는 못하고 대신 붙은 상태는 유지할수 있을정도의 자력을 갖고 있는 영구자석입니다.처음에는 떨어져 있는데 여기서 3.4번에 전원을 넣어주면 영구자석+전자석힘이 합쳐서 철판을 끌어당기고, 그럼 B부분이 오른쪽으로 제켜지면서 두스위치가 붙도록 밀어줍니다.여기서 전원을 끊어주면 영구자석의 힘으로 철판은 그상태를 유지(스위치 ON상태)하고 있는 것입니다.그러다가 4,5번에 전원을 넣어주면 이번에는 영구자석과 반대의 극성이 되어 서로 자력이 상쇄되어 결국 철판이 떨어지게 되는 것입니다.래칭릴레이는 다소 특수한 곳에 사용되는 릴레이입니다.
Q.  왜 4월인데 이렇게 추워진거죠?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비가 오면 원래 추워요!~그리고 지금까지 한 2주일 정도는 따뜻했기 때문에갑자기 추원져서 더 그렇게 느껴지는 겁니다!~
Q.  엽록체의 기능과 구조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엽록체의 구조전자현미경으로 보면 세포 속의 엽록체는 지름이 약 5~10㎛이고 두께는 2~3㎛인 원형이나 타원형의 구조이며, 세포막이 외막과 내막의 이중막 구조로 되어 있다. 내막 안쪽에는 틸라코이드가 층을 이루면서 쌓여 있는 그라나가 있으며 그 사이의 공간에는 여러 가지 광합성에 필요한 효소들이 들어있는 스트로마라는 기질이 있다. 틸라코이드는 한 겹으로 된 막의 납작한 주머니인데, 이 주머니들이 차곡차곡 포개져서 책갈피처럼 층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 그라나이고, 이런 구조를 라멜라 구조라고 한다. 엽록체의 기능(역할)물과 이산화탄소를 재료로 엽록체에 있는 그라나와 스트로마에서 태양에너지를 흡수하여 포도당과 같은 유기물이 만들어지는데, 이는 식물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에너지원이 된다. 또한 이러한 물질대사의 부산물로 나오는 산소는 인간을 포함한 동물들에게 있어 호흡을 통한 물질대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생명을 이어가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4164174184194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