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법주사 팔상전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충북 보은의 법주사 팔상전은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이후 1602년 재건하여 1605년 주요 기둥을 세우고, 1626년 중건하였습니다. 우리나라 현존하는 유일한 5층 목조탑이자, 목조건축 중 가장 높은 건축물입니다. 평면은 정방형(네모)이고, 1~2층은 앞, 옆면 5칸, 3~4층은 3칸, 5층은 2칸 구조이며, 상층으로 갈수로 줄어듭니다. 내부는 중앙의 심주가 1층부터 5층까지 관통하고, 사방에 사천주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내부 벽면에는 석가모니의 일생을 8장면으로 그린 팔상도를 그려져 있어 팔상전이라 합니다. 사리공이 심초석 아래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Q. 조선시대의 과거시험은 어떻게 치뤄졌나요?
조선시대 과거의 유형은 문과, 무과, 잡과로 구분합니다. 문과는 관리 선발의 중심 시험으로 소과와 대과로 나뉩니다. 그리고 무과는 무관 선발 시험으로 신분 제한이 문과보다 적었습니다. 잡과는 의학, 율학, 산학 등 기술관을 선발하는 시험입니다. 문과는 소과에 초시, 복시, 그리고 대과는 초시, 복시, 전시를 걸쳐 최종적으로 33명으로 선발합니다. 과거는 3년에 한번씩 보는 식년시가 있으며, 부정기 시험으로 국가 행사나 필요나 필요에 따라 추과적으로 시행되는 별시와 증광시가 있습니다.
Q. 무신정변 이후 권력자는 어떻게 바뀌었나요?
무신에 대한 차별, 하급 군인들을 불만, 의종의 실정으로 이의방, 정중부, 이고 등이 1170년 무신정변이 일으켰습니다. 그러나 정중부가 이의방을 제거하고 실권을 장악했지만 1179년 경대승이 정중부를 제거하고 실권을 장악합니다. 그리고 1183년 이의민, 1196년에 최충헌에게 실권이 넘어갑니다. 특히 최총헌을 강력한 통치력으로 최우, 최항, 최의의 4대 60년간 권력을 장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