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정계와 계백료서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정계와 계백료서는 고려 건국 직후에 태조 왕건이 집필한 것입니다. 이는 신하들의 기강확립과 통치 질서를 위해 편찬된 것입니다. 정계는 신하들이 지켜야 할 도리와 예절, 관리로서 자세, 국가 운영의 기본 원리를 제시했습니다. 유교적 정치 이념과 충, 신, 공, 청 등 덕목을 강조했습니다. 계백료서는 백관에게 바치는 훈계서로 신하들의 기강과 청렴, 공정한 업무 수행을 강조하는 내용입니다. 이는 중앙 관료와 호족 모두에게 군주에 대한 충성과 도리를 일깨워 중앙집권화으 정신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습니다.
Q. 조선의 지방통치체제는 무엇인가요?
조선시대의 지방 체제는 중앙 집권적 군현제와 8도제가 핵심입니다. 전국을 8도로 나누고, 각 도에는 중앙에서 파견한 관찰사가 행정, 군사, 감찰권을 행사했습니다. 관찰사는 부, 목, 군, 현의 수령을 관리, 감독했으며, 수령은 행정, 사법, 군사권을 행사했습니다. 모든 군현에 수령을 파견하였습니다. 따라서 지방 향리들은 수령을 보좌하는 역할로 전락하였습니다. 군현 아래에는 면, 리, 통이 있으며, 재지 세력이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Q. 가락바퀴가 신석기 시대에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나요?
가락바퀴는 실을 만드는 도구로 사용하였습니다. 가락바퀴는 방추차라 하였으며, 중앙에 구멍이 뚫린 작은 원반 모양의 우물로 막대에 끼워 회전시켜 섬유를 꼬아 실을 만드는 도구입니다. 옷감이나 그물을 만들기 위한 실을 뽑는 도구로 사용했습니다. 주로 흙, 벼, 돌로 만들어졌으며, 신석기 시대 이미 방직 기술의 발달을 엿볼 수 있는 도구입니다.
Q. 일본 사무라이의 역사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헤이안 시대에 지방 호족이나 왕족을 경호하던 무사가 시작됩니다. 사무라이는 '모시다'라는 으미로 시중들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본어의 '사부라우(侍う)’에서 유래했으며, 처음에는 주군을 가까이에서 보좌하는 수행 무사를 의미합니다. 헤이안 시대 말기 왕권이 약화되고, 지방 호족들이 성장하면서 사무라이 계급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고, 중앙의 귀족, 왕족을 호위하는 세력으로 성정합니다. 이들은 무사단을 형성하면서 조직화되고, 1185년 가마쿠라 막부를 세우며 사무라이가 일본의 지배계층으로 자리잡은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