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유영화 전문가
남성학원
역사
역사 이미지
Q.  중세 유럽에서 마녀사냥이 성행할 때 시행되었던 고문은?
중세 마녀 사냥에서 시행한 대표적인 고문 방법은 다양합니다. '바늘 시험'은 마녀의 몸에 바늘로 쩔러 감각이 없거나 피가 안 나오면 마녀로 간주했습니다. 그리고 마녀를 묶어 물에 던져 떠오르면 마녀, 가라않으면 무죄로 간주했습니다. 또한 달군 쇠로 지지거나 불위를 걷게 하였습니다. 눈물을 흘리 못하면 마녀로 간주하거나 전신을 결박한 채 바늘로 찌르거나 신체를 늘리는 등 신체적 고문을 하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로마를 물리친 아마니레나스 라는 인물은 정체가 뭔가요?
아마니레나스는 고대 아프리카 누비아 쿠시 왕국(현재 수단)의 여왕입니다. 그녀는 1세기말 로마 제국의 침공에 맞서 싸워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그녀는 한쪽 눈이 보이지 않는 전사 여왕으로 직접 군대를 이끌고 로마와 전투를 벌여 승리하였습니다. 특히 로마 황제의 아우구스투스 두상을 전리품으로 가져와 조롱하는 등 강인한 지도력을 보인 것으로 유명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중세 마녀사냥이 가장 악랄했다는 독일 트리어에서 마녀재판 중 어린이가 증인이 된 이유?
독일 트리어에서 마녀 재판 중 어린이가 증인으로 등장하였습니다. 사춘기가 되지 않은 어린이는 순수함과 거짓말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마녀로 지목된 사람을 늘리려는 분위기가 결합된 결과입니다. 예를 들어 어린이가 '마녀가 자신을 집회로 데려갔다', '염소를 타고 날아갔다' 등 어린이의 상상력과 공포가 뒤섞인 이야기를 하며 마녀로 지목한 사람들의 이름을 줄줄이 불려 재판에 활용된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성경의 숨겨진 진실 중에 윤회라는 개념이 사라졌다는 근거가 있나요?
초기 기독교에서 윤회가 논의된 적이 있었습니다. 오리게네스 등 일부 종파에서는 윤회와 환생 개념이 받아들여졌으나 6세기 동로마 제국의 유스티니아누스 황제가 553년 콘스탄티노플 제2차 공의회에서 정통 교리를 확립하는 과정에서 윤회설을 이단으로 규정하면서 교회 공식 교리에서 제외되었습니다. 또한 정치적, 종교적 이유로 영혼의 발전이나 개인의 구원이 교회의 권위에 도전한다고 여겨 윤회 관련 용어와 구절이 성경 해석 및 교리에서 금지 및 삭제된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수메르신화에서 신들이 인간을 창조하기전의 인간은 무엇이라 칭했나요?
수메르 신화에서 신들은 인간을 창조하여 노동을 담당하게 하였습니다. 신화에 따르면 인간 창조의 직접적인 동기는 하위신(이기기)들이 신들을 대신해 힘든 노동을 하다가 파업을 하였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이기기(igigi)를 대체할 인간을 진흙과신의 피를 섞어 창조한 것입니다. 따라서 엔키가 창조한 인간 이전에 인간을 칭하는 명칭은 없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역사서에 기록된 것 중에 가장 오래된 기록은 무엇인가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역사서는 고려 인종 23년(1145)에 김부식 등이 편찬한 삼국사기입니다. 비록 삼국시대에 유기, 신집, 국사, 서기 등이 역사서가 존재했으며, 고려 초기에도 7대실록이 편찬되었다고 하나 현존하지 않습니다. 즉 실제로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역사서는 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말의 조선이 건국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고려 말 원나라의 간섭과 몽골의 침입, 그리고 이후 원명 교체 등 국제 정세 속에서 고려는 외교적 주도권이 상실되었습니다. 게다가 권문세족이 농장을 점유하고 농민들의 토지를 수탈하여 경제 구조가 붕괴되어 있었습니다. 반면 고려 말 성리학을 학문적 배경으로 등장한 신진사대부들은 정치, 사회, 경제적 모순을 개혁하려 하였습니다. 특히 공민왕의 개혁이 실패하고 신진사대부들은 이성계와 결탁하여 고려를 대신하여 조선을 건국한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왕조실록을 쓴 이유는 무엇인가요?
조선시대에는 유교를 국가 통치 이념으로 삼았습니다. 유교에서 성현의 언행을 기록하고 후대에 교훈을 삼는 것은 매우 중요하게 여깁니다. 따라서 실록을 편천하여 후손에게 올바른 역사를 전하고 과거의 잘못과 성과를 모두 남겨 반면 교사로 삼도록 한 것입니다. 실록의 편찬하는 사관은 왕의 일거수일두족을 모두 기록하였으며, 왕도 열람할 수 없었습니다. 이는 단지 역사 기록과 보존만아니라 정치적 참여와 견제의 의미도 담겨 있습니다. 국왕과 신하 모두 자신의 행동이 기록으로 남는 다는 사실을 의식하여 함부로 권력을 행사하거나 부당한 결정을 내리지 못하도록 한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초기의 사회상이 어떠했는지 궁금한데요 어떤 변화가 일어났을까요?
조서은 고려말 사회 모순을 개혁하고자 했던 신진사대부들이 하층민의 지지를 받아 건국하였습니다. 이들은 하층민의 지위를 향상시켜 신분질서를 개편하였습니다. 국가 재정과 민생 안정을 위해 중농정책을 시행하였으나 상공업은 상대적으로 천시하였습니다. 고려는 불교를 중시하였던 사회였으나 신진사대부들은 성리학 중심의 유교를 강조하여 유교적 명분과 인륜을 강조하는 가부장적 가족제도를 발전시켰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에서 석가탄신일은 언제부터 유래되어 왔나요?
우리나라 석가탄신일은 석가모니의 탄생을 기념하는 날로 예로부터 음력 4월 8일 기념해 왔습니다. 신라 시대 부터 사월 초파일에 연등을 밝히고 부처님의 탄생을 기념해 왔다는 기록되어 있습니다. 고려를 건국한 태조 왕건은 연등회를 국가 행사로 장려했으며, 민간에서도 이어졌습니다. 1949년 성탄절이 공휴일로 지정되었으나 석가탄신일 지정되지 않아 형평성 논란이 있어왔습니다. 결국 1975년 공식 공휴일로 지정되어 전국적으로 연등행사와 다양한 축제가 열리고 있습니다.
2062072082092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