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한글은 왜 과학적 문자라 불리나요?
한글은 과학적 문자로 불립니다. 그 이유는 한글의 창제 원리와 구조가 매우 논리적으로 체계적이기 때문입니다. 한글의 자음은 발음 기관을 본떠 만들었습니다. 예를 들어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습을 본떠 만든 것입니다. 그리고 ㅋ, ㅂ, ㅍ 등의 자음은 기본 글자에 획을 더해 소리의 세기나 변화를 표현했습니다. 또한 모음은 하늘, 땅, 사람의 삼재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그외에도 한글은 자음과 모음을 결합해 음절 단위로 모아쓰는 독특한 구조를 가집니다.
Q. 문명이 급속도로 변화하게된 계기가 거울의 발명이라고하는데요 맞는지요?
거울의 발명이 문명의 급속한 변화, 즉 인류 문명의 급격한 성장의 결정적 계기였다고 합니다. 거울은 인류가 자신의 모습을 인식하고 미용, 장식, 종교,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해온 중요한 도구이지만 문명 전체의 급속한 발전을 촉진한 유일한 요소는 아닙니다. 실제로 거울은 기원전 6000년경 흑요석 거울이 등장했으며, 기원전 3000년경 금속거울, 로마 시대는 유리 거울 등 오랜 시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문명의 급속한 변화는 주로 농경의 시작, 금속기술, 문자와 기록, 국가의 등장, 과학기술 혁신 등 다양한 복합적 요인에 의한 것이며, 단순히 거울 한 요소만은 아닙니다. 즉 거울이 인간의 자기 인식과 문화에 영향을 주었으나, 문명 전체의 ‘급속한 성장’의 결정적 계기로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