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유영화 전문가
남성학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개월 전 작성 됨
Q.
반동탁 연합군은 왜이렇게 허무했을까요?
제후들의 연합군은 '동탁 타도'라는 명분으로 모였지만 실제로는 자신의 세력을 확장하기 데 관심이 있었습니다. 특히 연합군의 맹주 원소와 원술, 손견은 서로 견제하고 불신하여 협력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연합군에 참가한 여러 제후 중 실제로 동탁과 적극적으로 싸운 세력은 손견, 조조 등 소수에 불과하고 대부분 관명하였습니다. 게다가 옥새를 손에 넣은 손견과 이를 요구한 원소, 원술 사이게 불화가 생겨 연합군 내 갈등이 심각해졌습니다. 결국 동탁이 뤄양을 불태우고 장안으로 천도하자 연합군은 더 이상 동탁을 직접 공격하기 어려워졌습니다. 따라서 쟈연스럽게 해체되었습니다.
2개월 전 작성 됨
Q.
동탁이 권력을 얻은 과정이 어떻게 되나요?
후한말 십상시와 외척 하진 세력의 권력 다툼, 황건적의 난 등으로 중앙 정부가 극도로 혼란했습니다. 기회를 엿보던 동탁은 영제 사후 십상시와 하진이 서로 싸우다 몰락하자 황제를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정예병을 이끌고 뤄양을 진입해여 어린 황제와 진류왕을 손에 넣었습니다. 그리고 곧바로 소제를 폐위시키고 유협을 새 황제로 옹립 실권을 장악하였습니다. 그러나 이후 동탁은 폭정을 일삼으며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였습니다.
2개월 전 작성 됨
Q.
조선시대에도 여권이 있었는지 궁금해요
조선시대에도 오늘날과 같은 여권과는 다르지만 여행이나 신분 확인을 위해 공식 문서인 "집조"가 발급했습니다. 집조에는 조선 정부가 공식적으로 발급한 해외 여행 허가증으로 성명, 목적지, 발급일자 등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조선 말기 일본 유학을 떠나는 이상목이라는 인물이 집조가 남아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한문, 영문, 불문으로 여행 목적과 신상 정보가 적혀 있습니다. 그리고 1893년 주미대한제국공사관 서기관을 부임하는 정봉환에게 집조가 발급되었습니다.
2개월 전 작성 됨
Q.
의자왕이 해동증자라고 불렸다고 하는데요?
증자는 공자의 제자로 효성과 우애의 상징으로 유명한 인물입니다. 그런데 백제의 의자왕이 해동 증자라고 불렸다고 합니다. 이는 의자왕이 해동증자로 불린 이유는 그가 부모에게 효성이 지극했기 때문입니다. 백제가 멸망한 이유는 신라를 지나치게 공격하여 궁지에 몰린 신라가 당과 동맹을 맺도록 하였습니다. 그리고 의자왕은 즉위 초기에는 유능했지만 점차 충신의 간언을 무시하고 성충과 같은 충신을 죽이는 등 내부 분열과 실정으로 갈등이 심화되었습니다.
2개월 전 작성 됨
Q.
통일교와 건진법사와 어떤 관계가 있어 밀월을 즐겼는가요? 통일교 전 2인자와 무속인 건진법사가 뜻을 같이하다니요? 신앙이 완전 다른데요
통일교와 무속인 건진법사가 최근 몇년간 금품 전달과 청탁 시도 등 실질적으로 협력 정황이 드러났다고 합니다. 틍일교 전인자였던 윤양호 전 세계본부장이 건진법사를 통해 김건희 여사에게 고가의 목걸이를 전달하고 , 정부 사업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하였다는 의혹이 검찰 수사로 드러난 것입니다. 이는 두 사람의 신앙적 관계가 아니라 실리적 이해 관계를 협력을 한 것으로 추정합니다.
221
222
223
224
2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