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그리스문화가 로마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요?
로마는 초기부터 그리스 식민지들과 접촉하면서 그리스 문화를 접했습니다. 그리고 로마가 기원전 146년 코린트를 약탈하면서 본격적으로 그리스 본토를 지배하게 되었으며, 기원전 86년 아테네를 함락했습니다. 지리적으로 이탈리아 반도는 헬레니즘 세계와 접해 있으며, 로마는 그리스 문화를 존중하고 로마에 흡수되었습니다.그리스의 신들은 이름만 라틴어로 바꾸어 로마의 신으로 대체되었으며, 로마 건축 양식은 그리스 건축 양식을 기반으로 했습니다. 그리스어는 로마 제국에서도 널리 사용되었으며, 철학과 학문, 예술에서도 그리스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스파르타의 군사 전술은 로마 군단에 영향을 주어 카이사르, 안토니우스의 스파르타식 훈련법을 활용했습니다.
Q. 이슬람의 종교의식 라마단의 기간과 중요한 금지의식은 ?
라마단은 이슬람의 중요 의식으로 신앙심을 강화하고 인내와 자제력을 기르며 소외괸 사람들을 돌아보는 시간입니다. 라마단은 이슬람력의 9번째 달에 해당하며 약 30일간 지속됩니다. 라마단 기간 동안 무슬림들은 해가 떠 있는 낮 시간 동안은 음식과 음료 섭취가 금지되고, 흡연, 성행위가 금지됩니다. 그리고 거짓말, 험담, 욕설, 폭력을 하면 안됩니다.
Q. 조선후기 실학자들은 농업 경제 발전을 위한 다양한 주장을 펼쳤는데요
조선후기 중농주의 실학자들은 토지 개혁을 통해 농민들의 문제를 해결하려 하였습니다. 농촌 사회의 모순인 지주제를 개혁하여 자영농을 육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부국강병을 달성하자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유형원은 균전론, 이익은 한전론, 정약용은 정전론과 여전론을 주중하였습니다.중상주의 실학자는 상공업 중심의 개혁을 통해 백성들의 삶을 개선하자는 주장을 펼쳤습니다. 즉 농업도 중요하지만 산업 체제를 바꾸자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유수원은 사농공상의 직업 평등, 홍대용의 기술혁신과 신분제 철폐, 박지원은 농업 기술 혁신과 상업적 농업 장려, 박제가의 소비 촉진 등을 주장했습니다.
Q. 영조가 실시한 균역법은 무슨 제도인가요?
균역법은 조선 후기 영조가 1750년에 시행된 군역 개혁입니다. 조선시대 군역제도는 양인개병제로 모든 양인 남성은 군역을 부담했습니다. 그러나 세조 당시 보법에 의해 정군과 보인으로 구분하고, 보인은 생활을 보조하게 하였습니다. 결국 군역의 문란으로 대립, 방군수포가 유행하면서 군적수포제로 전환되었습니다. 그러나 각종 비리로 군포의 부담이 가중되자 이를 경감하기 위해 영조가 균역법을 시행하여 2필에서 1필을 줄인 것입니다. 이로써 백성들의 조세 군역 부담이 줄어들었습니다. 그리고 부족한 재정을 보충하기 위해 결작미, 어염선세의 전환, 선무군관포를 징수하여 보충하였습니다. 하지만 군역의 문란은 해소되지 않고 비리가 늘어 삼정의 문란 문제 가운데 하나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