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유영화 전문가
남성학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3개월 전 작성 됨
Q.
성은이 망극 하옵니다 같은 단어는 언제부터 사용을 했을까요?
"성은이 망극하옵니다"라는 표현은 임금의 은혜에 한 없이 크다는 뜻으로 신하가 왕에게 극진하게 감사를 표할 때 썼습니다. 실제 기록상으로는 15세기 조선 성종 때 에 등장합니다. 즉 "성은이 망극하옵니다"라는 표현은 조선 전기 부터 사용된 의례어입니다.
3개월 전 작성 됨
Q.
조선시대 왕은 온천여행을 가면 정사는 그 동안 누가 돌보나요?
조선시대 국왕이 온천 행차 등으로 궁을 비울 때도 정사를 멈춘 것은 아닙니다. 왕은 온천 행궁에 머무르며 현지에서 긴급한 정무를 처리했습니다. 또한 중요한 국정은 세자, 대신들에게 맡겨 처리케 하였습니다. 즉 왕이 궁궐에 부재하더라도 관리들이 동행하며 정사를 진행한 것입니다.
3개월 전 작성 됨
Q.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군대의 참전??
임진왜란 초기 한양이 함락되고 위기에 닥치자 조선은 명군의 지원을 요청하였습니다. 명나라는 4만명의 원군을 파병하면서 평양성을 탈환할 수 있었습니다. 명군의 파병은 조선군의 사기 진작과 일본군의 진격을 저지, 조선이 정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습니다. 그러나 수군과 의병의 활약으로 일본군의 진격에 무리가 있었으며, 명군도 파병하였지만 벽재관 전투에서 패배하는 등 어려움을 겪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조선군 자체적으로 훈련도감을 설치하는 등 정비를 하면서 역전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습니다.
3개월 전 작성 됨
Q.
한중일 역사중에서 불교를 제일 빨리 받아들인건 어디였나요?
한중일 3국 가운데 불교를 가장 먼저 수용한 나라는 중국입니다. 중국은 서기 1세기 후반(67)인 후한 시대입니다. 인도에서 중앙아시아, 그리고 비단길을 통해 중국으로 들어왔습니다. 가섭마등과 축법란이 불경과 불상을 전한 것으로 시작되었습니다. 한국은 4세기 (372)고구려 소수림왕 때 전진의 순도로부터 불경과 불상이 전해졌습니다. 이후 백제와 신라도 전파되었습니다. 그리고 일본은 6세기(538) 때 성왕 당시 노리사치계에 의해 전파되었습니다.
3개월 전 작성 됨
Q.
빨간 김치찌개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굉장히 좋아 하는데요. 언제부터 먹기시작했나요?
본래 우리나라 김치는 고추가루가 없는 백김치나 물김치처럼 맵지 않았습니다. 고추가 한반도에 전래된 것이 임진왜란을 계기이며, 이후 김치에 고추가루가 양념으로 첨가되게 됩니다. 그리고 19세기 들어 빨간 김치가 일반화되었습니다. 김치찌개는 빨간 김치가 일반화된 시기 이후 에 등장한 음식으로 정확한 기록은 없지만 6.25 전쟁 이후로 알려져 있습니다. 즉 백김치 시기에 김치찌개는 존재하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하며, 고추가루가 들어간 빨간 김치가 보편화된 뒤에야 지금과 같은 형태로 먹기 시작했습니다.
266
267
268
269
2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