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살라딘의 이름은 오늘날까지도 평화와 정의의 상징으로 회자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살라딘은 예루살렘을 탈환할 당시 무차별 학살이나 약탈을 금지하고 포로들은 몸값만 받고 풀어주는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습니다.이는 당시 전쟁터에서 드물었던 일로, 그의 이런 행동은 평화와 정의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큰 이유가 되었습니다. 또한, 살라딘은 전쟁의 승리뿐 아니라 종교와 민족을 초월한 포용과 화합을 강조하며, 강력한 군사력과 더불어 인도주의적 리더십을 실천했습니다. 이런 점들이 그의 이름이 오늘날까지도 평화와 정의의 상징으로 회자되는 바탕이 되었습니다. 그의 관용과 도덕성은 이슬람 세계뿐 아니라 서양에서도 존경받는 이유가 되었습니다.
Q. 최충헌이 집권하면서 실시한 개혁 정책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을까?
최충헌은 무신정권을 장악한 후 1196년 국왕 명종에게 '봉사십조'를 올려 개혁을 제시했습니다. 이 개혁안은 왕이 정전을 사용하도록 해 왕권을 강화하고, 불필요한 관직을 줄이고, 불법 점유된 토지를 원래 주인에데 돌려주는 등 국가 기강을 바로잡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불법적인 조세 징수를 막고, 승려의 정치 개입을 금지하며, 지방관의 관리를 강화하고, 관료들의 사치를 억제하는 등 사회 전반에 걸쳐 개혁을 추진하려 했습니다. 대간(언론 기능)의 역할을 활성화시켜 왕권 중심의 행정 질서 회복도 목표로 삼았습니다. 그러나 최충헌의 개혁은 권력 안정과 정권 유지에 더 중점을 두었고, 이런 개혁들을 통해 자신의 독재 기반을 공고히 하는데 몰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