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유영화 전문가
남성학원
Q.  1666년에 영국 런던에서 역사상 최악의 대화재가 발생한 이유?
1666년 여름은 이례적으로 건조한 기후와 가뭄이 지속되었습니다. 당시 목조 주택과 가연성 재료를 지붕재로 사용하여 건물에 쉽게 불이 붙을 수 있었으며, 화재가 시작된 후 걷잡을 수 없이 불이 확산되었습니다. 강한 동풍으로 불어 빠르게 도시 중심부로 번졌습니다. 현대적 소방 장비가 없었던 당시 화재 진압이 매우 어려워 5일간 도시를 휩쓴 대참사가 일어났습니다.
Q.  1670년경 조선 현종때 발생했던 대기근의 원인이 무엇인가요?
경긴 대기근(1760-1671)은 조선시대 최대의 대기근입니다. 이는 17세기 전세계적으로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져 '소빙기' 현상이 나타났으며, 냉해, 저온 등으로 기후 이상 현상이 일어났습니다. 1670년부터 가문이 시작되어 가뭄이 지속되었으며, 이후 집중 호우, 태풍, 홍수 등 극단적인 기상 이변이 일어났습니다. 그리고 병충해가 창궐하고, 전염병과 가축병이 확산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식량이 고갈되고 유랑민이 급증하여 민심이 불안하여 사회가 혼란했습니다.
Q.  폭군 광해군 시대에 인조 반정이 성공했던 원인이 있나요?
인조반정의 주요 요인으로는 우선 광해군의 북인정권은 권력을 독점하여 서인과 남인을 철저히 배제하고, 영창대군을 죽이고 인목대비를 유폐하여 윤리적 명분에 어긋나는 패륜을 저질렀습니다. 또한 광해군은 명나라와 후금 사이에 실리적 외교를 펼쳐 유학자들로부터 반발을 샀습니다. 게다가 광해군은 광굴 건설 등 무리한 토목 공사 사업이 추진되어 백성들의 부담이 커져 민심이 점차 이반되었습니다. 표면적으로는 패륜이지만 실제로는 북인의 독점, 민심 이반, 그리고 반정 세력의 결집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 결과였습니다.
Q.  조선시대 당파싸움이 심하던 시절, 예송논쟁으로 대립한 이유는 뭔가?
조선은 성리학을 통치 이념으로 하며 유교 질서를 매우 중요시하였습니다. 현종 때 일어난 예송논쟁도 성리학의 해석을 놓고 붕당간의 일어난 사건입니다. 우선 효종이 사망하고 인조의 계비인 자의대비가 얼마나 오랫동안 상복을 입어야 하는 것을 놓고 벌인 기해예송(1659)에서는 서인의 기년설이 남인의 3년설의 주장과 대결에서 선택되었습니다. 그러나 효조비가 사망하고 자의대비의 상복 문제를 놓고 벌인 갑인예송(1674)에서는 남인의 기년설이 서인의 대공설의 논쟁에서 승리하였습니다.그런데, 이는 단순히 상복 문제만이 아니라 인조의 차남인 효종의 왕위 계승의 정통성을 놓고 벌인 논쟁이기도 합니다. 이는 곧 국가 체제에 대한 해석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디고 합니다. 이를 둘러싼 남인과 서인의 붕당 대립의 형국으로 전개됩니다.
Q.  고려는 어떻게 후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던 걸까요?
고려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하는 과정에서 우선 호족의 연합이 중요했습니다. 왕건은 정략 결혼, 사성을 통해 호족 세력과 동맹을 맺었습니다. 그리고 신라와 우호적 관계를 통해 후백제를 견제하였습니다. 신라는 후백제의 공격으로 약해지자 신라 경순왕이 935년 항복해 왔습니다. 앞서 견훤도 자식들의 분란으로 투항해 오면서 후백제 멸망으로 이어졌습니다.태조 왕건은 취민유도를 바탕으로 백성들의 조세를 경감해주고, 흑창을 설치하여 빈민을 구제하여 민심을 통합하였으며, 발해 유민을 포섭하고 북진정책을 통해 고구려를 계승 의식을 강조하여 민족 통합 의지를 완성해 통일을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3163173183193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