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이집트 신왕국시절에는 무덤 도굴을 막기위해서 어떤 대비를 했나요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는 무덤 도굴을 막기 위해 여러 가지 대비를 했습니다. 무덤 위치를 일부러 외진 골짜기, 특히 왕가의 계곡에 조성하였습니다. 이곳은 후미진 산속 깊은 곳에 무덤들이 모여 있는데, 눈에 잘 띄지 않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피라미드를 짓지 않고, 수직 갱도와 여러 복잡한 지하 통로로 무덤 구조를 만들어 도굴꾼들의 접근을 어렵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무덤 내부의 관이나 유물을 숨기는 여러 방법과 함께, 무덤 벽에 저주 문구를 새겨 도굴꾼들에게 경고하는 관습도 있었습니다,
Q. 이제 얼마후면 광복절인데요 일제 강점기때 우리나라 독립을 위해 애쓴 단체는 어떤 단체가 있는가요
일제 강점기 독립을 위해 조직한 단체는 무수히 많습니다.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조직은 1919년 3.1운동 이후 조직된 대한민국임시정부입니다. 임시정부는 독립운동의 체계적 추진을 위해 1919년 러시아 연해주 대한국민의회, 국내의 한성정부, 그리고 상하이의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었으며, 9월에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통합되었습니다.특히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31년 한인애국단을 조직하여 침체된 임시정부의 부활을 도모하고, 한중 연합과 통일 전선을 형성하였습니다. 또한 1940년 한국광복군을 조직하여 연합군과 연합작전을 전개하고 국내진공작전을 계획하였습니다.
Q. 표현의 자유와 거짓말의 경계는 어떻게 규정이 되나요
헌법 21조에 모든 국민들은 언론,출판,집회, 결사의 자유가 보장하지만 이 자유는 무한하지 않으며 제한됩니다. 즉 타인의 명예나 권리, 공중 도덕이나 사회 윤리를 침해해서는 안됩니다. 그리고 거짓말이나 허위사실도 금지하며, 공공의 안전과 질서, 국가 안보 등 민주 사회에서 필요한 목적을 위해 표현의 자유가 제한됩니다. 따라서 대선 선거부정에 관한 허위 정보나 중국 배후설 등의 사실과 다른 주장이 공공장소 플랜카드로 표현되는 경우, 표현의 자유는 인정되더라도 그 내용이 거짓말로 판명되어 명예훼손이나 사회적 혼란을 유발한다면 법적 제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Q. 성경속 카인이 다른 사람들이 해칠까봐 두려워 했던거
성경의 창세기에는 아담과 이브의 첫 두 아들로 캉니과 아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카인이 아벨을 죽이고 나서 "내가 땅에서 유리하는 자가 될 것인데, 나를 만나는 자마다 나를 죽이려 할 것입니다."라고 두려워하는데, 이는 다른 사람들이 이미 존재했음을 암시하는 표현입니다. 도 야훼는 카인에게 "그를 죽이는 자는 칠배의 벌을 받으리라"라고 카인을 보호하는 표를 주셨다고 합니다. 성경에 직접적으로 아담과 이브의 자녀가 카인과 아벨뿐이라고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후 카인의 아내와 아이들, 그리고 셋 등 다른 후손들이 등장하는 점으로 보아 당시에 그밖에 사람들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됩니다.
Q. 영국에서 발생했다는 명예혁명이 무엇이며 이로 인해서 영국사회는 어떻게 변하나요
명예혁명이 발생한 요인은 제임스 2세가 의회를 무시하고 전제정치를 강화하고, 카톨릭을 부활하려하면서 비롯되었습니다. 이에 의회는 그의 딸인 메리와 사위인 네덜란드 윌리엄 3세를 공동왕을 즉위시켰습니다. 이후 의회는 1689년 메리와 윌리엄 3세에게 권리장전을 통해 의회의 동의 없이 세금을 부과하거나 법률을 폐지하지 못하고 하고 상비군을 임의로 모집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영국은 군주는 군림하되 지배하지 않는, 입헌군주제와 의회 정치가 확립되는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영국 사회는 명예혁명을 계기로 절대주의가 종식되고 시민의 자유와 권리가 증진되었으며, 내각책임제의 기틀도 마련되어 민주주의 발전의 중요한 토대가 되었습니다.
Q. 중전이나 후궁들은 평소 어떤 일상을 했나요
조선시대 중전과 후궁들은 궁궐내에서 내명부에 규정된 엄격한 질서 속에서 비교적 단조로운 일상을 보냈습니다. 중전과 후궁의 주요 일상은 새벽에 왕에게 문안을 드리는 것으로 시작되었으며, 궁중의 관혼상제 의식과 종친, 외명부 접견 등 공식 행사에 참석했습니다. 평상시에는 궁중 예복인 당의를 계절과 행사에 맞게 격식 차려 입어야 했고, 왕비는 항상 반듯하고 예절 바른 모습을 유지했습니다. 중전은 친참례 등 상징적 노동 의식으로 농업과 몸소 나태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또한 궁궐 안에서 왕을 내조하면서 정치적 상황에 맞추어 신중하고 엄격한 생활을 하였습니다. 후궁 또한 위계에 따라 각기 역할과 생활이 달라지만 기본적으로 궁궐 내에서 엄격한 규율과 제한된 삶을 살아야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