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궁예가 불교를 어떻게 이용하게 되었습니까?
신라 말기 왕실과 귀족의 횡포, 전란과 수탈로 백성들은 고통에 심각했습니다. 농민은 몰락하여 곳곳에 반란이 일어났습니다. 이 상황에서 궁예는 민심을 결집시키기 위해 미래 세상을 구원한다는 미륵불 신앙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습니다. 즉 궁예는 자신이 미륵불이라고 하며 종교적 신성성과 절대적 귄위를 확보했습니다. 또한 궁예는 불교를 국가 통치 이념으로 삼아, 종교와 정치가 결합된 신정정치를 실현하려 했습니다. 그는 수도에 대규모 사찰과 불상을 건립하고, 자신의 명령을 ‘부처의 말씀’처럼 여겼습니다.
Q. 창경궁은 언제 지어졌으며, 무슨이유로 지어지게된것인가요?
창경궁은 조선 성종 14년(1483)에 지어진 궁궐입니다. 세명의 대비인 정희왕후(세조비), 소혜왕후(성종의 모친으로 덕종, 또는 의경세자비), 안순왕후(예종비)를 모시기 위해서 수강궁을 확장하여 지었습니다. 즉 왕실의 어른인 대비들의 거처를 위해 특별하게 조성된 궁궐입니다. 창덕궁과 함께 동궐로 불리며, 왕실 생활과 정치의 중요한 공간이 되었습니다.
Q. 원스턴처칠의 철의장막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철의 장막"은 1946년 3월 5일 영국 전 총리 윈스턴 처칠이 미국 미주리주 웨스트민스터 대학 연설에서 처음 대중적으로 사용한 표현입니다. 2차 대전 직후 소련은 동유럽 여러 국가에 친소 정권을 세우며 영향력을 확대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유럽은 소련 중심이 공산권과 미국과 영국 중심의 자유주의 진영으로 분열되었습니다. 철의 장막은 소련과 동유럽 사회주의권이 서유럽 자유주의 국가들과 엄격히 단절되고 정보, 인적 교류가 차다된 상태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말입니다.처칠의 철의 장막 발언은 냉전의 시작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평가받습니다. 이후 미국 등 서방은 소련의 팽창을 견제하기 위한 정책(트루먼 독트린. 마셜 플랜 등)을 본격화하며, 동서 진영의 대립 구도가 굳어졌습니다. '철의 장막’은 약 40년간 현실이 되었고, 베를린 장벽 등 물리적 경계로 구체화되어 유럽의 분단과 냉전 질서를 상징하는 용어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