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히틀러가 특히나 유대인을 혐오한것 같은데요 왜 이렇게 유대인을 혐오한건가요
히틀러가 유대인을 혐오한 이유는 반유대주의의 오랜 전통때문입니다. 유럽에서 유대인은 오랜 세월 동안 편견과 차별, 음모론이 존재했으며, 종종 경제적, 사회적 문제의 희생양이 되어 왔습니다. 이는 예수의 죽음과 책임론, 그리고 경제적으로 고리대금업으로 인한 악마화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그리고 1차 대전 이후 대공황 등으로 인한 독일 사회의 극심한 불안과 분노가 유대인에게 문제의 책임자로 지목된 것입니다. 또한 아리안 인종 우월성을 주장하며, 대중의 불만을 돌리 위한 유대인을 희생양으로 만든 것입니다
Q. 조사의의 난에서 이성계 배후설이 나오는 근거는 무엇인가요?
조사의의 난은 이성계의 고향인 함경독 동북면에서 일어난 반란입니다. 이 지역은 이성계의 오랜 기반이자 절대적 지지세력이 많았습니다. 조사의와 강현 등은 이성계의 계비 신덕왕후 측의 인물로 1차 왕자이 난에서 이방원에게 희생된 방번, 방석의 원한을 품고 있었습니다. 이들은 이성계가 함흥에 있는 동안 적극적으로 접근하여 이방원에 대한 복수와 거병을 설득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성계의 동의가 없었다면 반란을 일으키기 쉽지 않았을 것으로 판단됩니다.이방원과 조정은 반란의 실체, 즉 이성계의 가담 여부를 두고 큰 혼란에 빠졌으며, 공식적으로는 부인하려 했으나 실제로는 이성계가 반란에 깊이 관여했다고 보는 분위기가 강했습니다. 반란이 일어난지 5일간은 별다른 대응하지 않은 것도 이런 이유였을 것입니다,
Q. 이성계는 왕위에서 스스로 내려온 것인가요? 이방원에게 쫓겨난 것인가요?
이성계는 스스로 왕위에서 내려온 것은 맞지만 그 배경은 아들들 사이의 왕자의 난과 정치적 혼란에서 기인합니다. 1398년 1차 왕자의 난으로 이방원이 정도전과 방석을 제거하고 실권을 장악헤 됩니다. 이 당시 이성계는 병석에 있었고, 이를 막지 못했습니다. 왕자의 난으로 정국이 혼란하고, 왕권에 대한 의욕을 상실하고 둘째 아들 방과에서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으로 일선에서 물러났습니다. 이방원이 이성계를 강제로 끌어내린 것은 아니지만 왕자의 난으로 이방원이 실권을 장악하고, 이성계는 왕권에 대한 환멸을 느껴 물려나게 된 것입니다.
Q. 안녕하세요 돌아오는 7월9일이 절기상으로 유두 날입니다 무엇을 의미 하나요?
유두(流頭)는 "맑은 물에 머리를 감는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음력 6월 15일로 우리나라 전통 세시 풍속 중 하나입니다. 2025년에는 7월 9일이 유두 날에 해당됩니다. 이날은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는 시기이자 여름철 건강과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날은 일가 친지들이 동쪽으로 흐르는 시내나 계곡, 폭포에 가서 머리를 감고 몸을 씻었습니다. 이렇게 하면 여름철 질병을 예방하고, 액운을 씻어낸다고 믿었습니다. 각 가정과 농가에서는 조상과 농신(農神)에게 제사를 지내며, 집안의 평안과 풍년을 빌었습니다. 이때는 새로 수확한 곡식과 과일을 차려놓고 고사를 지내기도 했습니다.
Q. 15세기 자료로 판단되는 보이니치 문서의 비밀을 풀기 위해 어떤 고고학적 방법이 사용되었을까요?
보이니치 문서 문서의 비밀을 밝히기 위해 재료를 분석하여 15세기 전후 유럽에서 만들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양피지, 먹물, 필기 양식 등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또한 문서에 쓰인 미지의 문자가 일정한 규칙을 따르는지 자연어의 특성을 보이는지 통계적으로, 그리고 단어의 특정 부분에만 등장하는 언어적 규칙성을 분석하였습니다. 최근에는 캐나다 앨버타 대학 등에서 AI를 활용하여 문서의 언어 구조를 분석하고 히브리어 등 중세 언어와 유사상을 찾으려는 시도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직 해독에는 이르지 못했습니다.
Q. 하마평이라는 말의 유래는 어떻게 되나요?
하마평(下馬評)은 본래 조선시대 하마비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하마비는 궁궐, 종교, 관청 등 주요 시설 앞에서 세워진 비석입니다. 그런데 이 하마비 앞에서는 신분 고하를 막론하고 모두 말에서 내려야 한다는 의미를 새겨져 있습니다.관료나 상류층 인사가 말에서 내리고 관청으로 들어가면 남겨진 마부나 시종이 그 자리에서 내려 자연스럽게 서로 이야기를 나눕니다. 이때 주로 상전의 승진, 인사 이동, 관직 임명 등과 관련된 소문과 평가가 오가는데, 이것이 '하마(下馬)한 뒤에 나누는 평(評)'이라는 의미에서 하마평이라는 말이 생긴 것입니다.
Q. 국경없는의사회가 활동하는 주된 이유는 무엇이라 볼 수 있나요?
"국경없는의사회"는 1971년 프랑스에서 의사와 언론인들이 설립한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입니다. 이 단체가 존재하는 이유는 무력 분쟁, 전염병, 자연 재해, 의료 소외 등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인종, 종교, 정치적 신념과 무관하게 긴급 의료 지원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의료적 필요에 따라 가장 도움이 절실한 곳에 신속하게 지원하는 것입니다. 독립성, 중립성, 공정성의 원칙을 지키며, 외부이 정치적이고 경제적 영향력으로부터 자유롭게 인도주의적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입니다. 주요 임무는 긴급 의료 구호, 의료 소외 지역 지원, 인원 증언 및 옹호 활동을 합니다. 국경없는의사회의 주요 재원은 전체 재정의 90%를 개인 및 기업의 후원금으로 충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