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조선시대 민씨 척족 정치는 왜 막지 못한 건가요?
고종은 즉위초 흥선대원군의 섭정과 그리고 흥선대원군이 실각한 이후에는 명성황후와 그의 외척 세력에 의존하며 국졍을 운영하였습니다. 명성황후와 외척 세력은 권력과 군사권을 장악하여 세도 정치를 운영하였습니다. 고종은 민씨 척족의 정치적 영향력과 명성황후의 후원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였고, 스스로 독립적으로 척족 정치를 제어할 정치적 역량이나 기반이 부족했습니다. 이로 인해 관료 부패, 매관매직, 국고 낭비 등 폐단이 심회되었으며, 고종은 이를 제어하지 못한 것이 조선의 쇠퇴로 이어진 원인 가운데 하나라고 평가됩니다.
Q. 후연의 마지막 왕인 모용희는 왜 폭군으로 불리는 건가요?
후연의 마지막 왕 모용희는 어려서부터 형수 정씨와 부적절한 관계로 왕위에 올랐으며, 즉위 후에는 부씨 자매 등 후궁에 빠져 국정을 소홀히 했습니다. 이런 사생활의 문란함과 여색에 대한 집착으로 후연을 쇠퇴에 이끌었습니다. 또한 왕위에 오르며 정씨를 핍박하게 자살하게 하고 모용신 등 자신의 권력을 위협되는 인물을 잔혹하게 숙청하였습니다. 게다가 군사적으로 무능하여 고구려 광개토대왕에게 연이어 패배하였습니다. 즉 그의 폭정과 무능, 사치, 숙청 등으로 부하들에게 신망을 잃었으며, 고구려계 고운(모용운0엑 반란에 의해 살해되면서 후연은 멸망하게 됩니다.
Q. 유교사상이 왜 고려시대말기에 본격적으로 사대부들에게 퍼진건가요?
유교는 우리나라 고대 국가 시기 이미 국가 통치 목적으로 수용되어 발전했습니다. 질문의 의도는 고려말 성리학 수용과 확산을 이해하고 싶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특히 성리학은 신진사대부들에게 수용되어 개인 수양은 물론 고려 사회의 모순을 개혁하려는 학문으로 받아들였습니다.고려말 권문세족의 횡포와 불교의 폐단과 사회적 모순이 심화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신진 사대부들은 불교 중심의 구체제에 비판적이었고, 새로운 이념을 찾게 되었는데, 이를 성리학을 통해 해결하려 했던 것입니다. 즉 토지제도의 문란, 불교 사원의 경제적 특권 등 사회적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신진 사대부들은 유교적 개혁을 추진했습니다.
Q. 영조대왕이 조선초중기에 많았던 여러 과학기술과 장비를 어떤식으로 복원하나요?
임지왜란 등으로 조선 초기 만들어진 과학기구가 많이 소실되었습니다. 영조는 국가적 차원에서 이를 복원했습니다. 전국에 설치된 측우기는 대부분 사라졌으나 영조가 전국 8도에 다시 설치하도록 명령하였습니다. 각 관아에 측우기가 설치 운영된 것입니다. 그리고 영조는 과거의 과학기술 자료와 기록을 수집·정리하고, 장인과 기술자들을 동원해 소실된 과학 장비(시계, 천문기구 등)를 복원하거나 재제작하도록 했습니다. 왕실 및 관청에 남아 있는 설계도와 기록을 바탕으로 복원 작업이 이루어졌으며, 관상감 등 전문 기관에서 관리 운영을 담당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