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이번 정권의 부동산 정책 주요 골자는 무엇?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현 정권의 부동산 정책 중심은 공급확대가 맞습니다. 다만 부동산의 경우 단기간 공급확대가 쉽지는 않기 떄문에 신속인허가 재도 도입과 분양가 인하유도, 재개발,재건축 절차및 용적율,건폐울 완화, 민간주택 사업시 공공주택 의무화 병행등을 통해 순차적으로 공급을 늘린다는 공약을 하였습니다 또한 문재인정부에서의 부동산 실패사례를 보듯이 단순히 세금이나 규제강화만으로 주택가격을 잡지 않겠다고 선언하였기에 이후 어떠한 정책운영은 좀더 시간을 가지고 지켜봐야 할듯 보입니다. 다만 대다수의 전문가들도 단기적인 공급확대는 어렵다는 걸 알기 떄문에 정권 초기 단기적인 가격상승의 압력은 지속될것으로 전망을 많이 하고 있는상태입니다.
Q. 이재명 정부 시작과 함께 가장 주목을 받을 정책이나 산업분야가 어디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사실 저출산, 일자리 관련한 산업은 여야 구분없이 누구되더라도 가장 우선되는 산업이기 떄문에 특별히 이재명 정부만의 특징적인 산업군은 아닙니다. 현재 이재명정부가 말하고 있는 정책에 따른 수혜산업분야 크게 친환경, 재생에너지 산업과 AI와 같은 인공지능 관련 사업군들이 대표적이라고 할수 있습니디. 특히 첨단산업에 속하는 반도체 , 전기차 , 디스플레이산업등이 이에 포함됩니다.
Q. 한국은행 발표 집값의 기대심리가 지속적으로 상승중에 있다고 하는데, 상승신호가 시작된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정권을 잡은지 얼마 안되었고 아직 뭘 해볼만한 시간도 없었기에 국정운영에 따른 상승기대감은 아닐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과거부터 진보정권이 정권을 잡으면 주택가격이 급등한다는 인식들이 강한 점이 커보이고, 현재 정부가 가장 우선하는 경제회복에 따른 시장 활성화와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 그리고 계엄이후에 불확실성이 커졌던 정치상황이 안정화되면서 부동산 시장에 대한 회복기대감도 커진게 기대심리가 상승한 이유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