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요즘 부동산 서울만 주구장창 오르는데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서울은 신규 공급이 제한적입니다재건축·재개발 규제, 인허가 지연 등으로 당장 입주 가능한 아파트가 많지 않습니다실수요 + 투자수요가 몰리면 당연히 가격이 급등합니다지방이나 수도권 외곽은 거래도 없고 가격도 빠지는 반면, 서울 핵심 지역은 투자 자산처럼 움직입니다특히 금리 인하 기대감이 생기면, 자산가들은 다시 서울 부동산으로 시선을 돌립니다정비사업 규제 완화, 용적률 상향, GTX 등의 호재가 많아서 앞으로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가 큽니다단기적으로는 서울 핵심지역은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중장기적으로는 금리, 정책, 경기 상황에 따라 급격한 조정 가능성도 절대 무시할 수 는 없지만 갑자기 폭락하지는 않을 것으로 봅니다특히 지금은 실수요자가 아닌 투자자라면, 상승에 너무 휩쓸리지 말고 리스크 관리가 중요할거 같습니다
Q. 집 매도시 기존 전세계약 특약 사항이 승계되는지 문의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기본적으로 전세계약은 매매 시에도 유효하며, 신규 소유자는 기존 임대차 계약을 승계하게 됩니다이는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임대차의 효력 등)에서 명시되어 있습니다 특약 사항도 임대차 계약의 일부이므로, 전세계약에 명시된 특약은 계약서에 명확히 기재되어 있고, 해당 특약이 일반적인 법률에 반하지 않는 한 매수인(새 집주인)에게도 승계됩니다,전세입자의 동의 없이도 대출(근저당권 설정)은 가능합니다다만, 세입자와의 임대차 계약 조건이나 등기부상 전세권 설정 여부 등에 따라 영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Q. 만약 토지를 매입 후 장기간 방치해둔다면 지자체의 제재를 받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토지를 매입한 후 장기간 방치할 경우,지자체의 직접적인 제재는 일반적으로 없지만,다양한 간접적 불이익과 세금 부담 증가,그리고 개발 압력에 의한 간접 제재성 조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비사업용 토지는 2년 이상 보유했어도 실제 사용(건축, 경작 등) 안 한 경우 매도 시 양도소득세 중과 대상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