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윤지은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전문가입니다.
윤지은 전문가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예금·적금
7일 전 작성 됨
Q.
연대 보증 제도는 언제 없어지고 없어진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예전에는 은행 대출할 때 가족이나 지인 붙잡고 연대 보증 세우는 경우가 흔했습니다. 괜히 도와줬다가 빚까지 떠안는 일도 많았고요. 그래서 사회 문제라는 말까지 나왔습니다. 이게 바뀐 게 2012년 무렵부터였는데 금융당국이 단계적으로 줄여나가더니 2014년에 개인에 대한 연대 보증은 사실상 전면 폐지됐습니다. 기업 대출에서도 불필요한 연대 보증 요구는 금지하는 쪽으로 방향이 바뀌었고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빚 책임이 본인 아닌 제3자에게까지 번지는 구조가 불합리하다고 본 겁니다. 부작용이 너무 컸으니까요.
자산관리
7일 전 작성 됨
Q.
예금자 보호 1억원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이거 헷갈릴 만합니다. 뉴스에서 그냥 1억까지 보호라고 하니까 통장 여러 개면 다 따로 보호되는 건가 싶거든요. 근데 실제로는 은행 하나 기준으로 합산해서 1억까지입니다. 그러니까 같은 은행에서 통장을 네 개 갖고 있든 열 개 갖고 있든 합쳐서 1억까지만 보호를 해줍니다. 대신 은행이 다르면 각각 따로 계산돼요. 예를 들어 A은행에 1억. B은행에 또 1억. 이렇게 있으면 각각 1억씩 보호를 받는 거죠. 그래서 안전하게 나누고 싶다면 은행을 분산하는 게 방법이긴 합니다.
주식·가상화폐
8일 전 작성 됨
Q.
본딩커브 곡선이 움직이는 원리를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주식이나 코인 차트에 보이는 곡선은 결국 사람들이 사고팔면서 만들어지는 가격 흐름이에요. 누가 사고 누가 팔고 그 힘겨루기 결과가 캔들로 찍히고, 그걸 이어 놓으니까 곡선처럼 보이는 거죠. 근데 본딩커브는 다릅니다. 수학식으로 가격을 먼저 정해두고 그 공식을 따라 토큰 값이 변하는 구조라서, 사람이 거래를 해서 가격이 생기는 게 아니라 거래가 공식에 맞춰 흘러가는 방식이에요. AMM도 마찬가지로 공식으로 가격을 정해놓고 자동으로 맞춰주는 시스템이라 이해하면 됩니다.
경제정책
8일 전 작성 됨
Q.
세계 각국에서 시행하는 기본소득 제도의 효과와 한계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기본소득 얘기는 들을 때마다 뭔가 설레는 느낌도 있고 또 현실을 보면 갸웃하게 되기도 합니다. 이미 핀란드가 시범적으로 해봤고 캐나다나 스페인 같은 나라에서도 부분적으로 실험을 했죠. 효과 쪽을 먼저 보면 받는 사람 입장에서는 최소한의 생활 안정이 된다는 게 큽니다. 돈 때문에 매일 불안해하지 않아도 되니까 취업 준비나 자기 개발에 시간을 더 쓸 수 있다는 이야기도 많습니다. 그런데 막상 제도화하려고 하면 한계가 바로 튀어나옵니다. 재원 마련이 제일 큰 문제고 세금 부담을 어디까지 늘릴 수 있느냐가 난관입니다. 또 꾸준히 받게 되면 일할 의욕이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도 있고요.
경제용어
8일 전 작성 됨
Q.
보통 금투자는 안전한 재테크라고 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금 얘기는 참 오래 나오는 주제인데요. 누가 봐도 금은 흔들릴 때 의지하는 자산 느낌이 있긴 합니다. 전쟁 터지거나 환율 요동치면 사람들이 금으로 몰리거든요. 그래서 안전판 같은 이미지가 강한 거죠. 그런데 막상 들어가보면 가격이 오르락내리락 하면서 마음을 꽤 흔듭니다. 단기적으로 수익 보겠다고 뛰어들면 실망할 수도 있습니다. 긴 호흡으로 가져가면서 돈을 잃지 않는 쪽에 무게를 두면 확실히 의미가 있고, 포트폴리오에 일부 섞어두는 정도가 안정성에는 도움이 됩니다.
자산관리
8일 전 작성 됨
Q.
사돈댁 축의금 전달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이럴 때 참 애매하죠. 금액이 크면 현장에서 봉투 내는 게 괜히 부담스럽게 보일 수도 있고 또 송금만 하면 너무 성의 없어 보일까 걱정도 되고요. 보통은 10만 원이나 20만 원 정도는 식장에서 그냥 내는 경우가 많지만 100만 원이면 계좌 송금으로 깔끔하게 처리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다만 현장에서는 봉투 없이 이름만 남으니까 아쉬울 수 있으니 가급적 봉투 전달을 통해 내시는게 낫다고 봅니다.
경제동향
8일 전 작성 됨
Q.
세계 금융위기 이후 각국 중앙은행이 도입한 양적완화 정책의 효과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양적완화라는 게 결국 돈을 시중에 더 많이 풀어서 얼어붙은 경제를 돌려보자는 거였잖습니까. 실제로는 채권을 사들이면서 시중 유동성을 늘렸고 금리가 이미 바닥이라 다른 수단이 없을 때 써먹은 카드였던 거죠. 그 덕에 금융시장 붕괴 위기는 막았다는 평이 많습니다. 기업들 자금줄이 끊기지 않고 은행도 숨통이 좀 트였으니까요. 그런데 문제는 돈이 너무 많이 돌다 보니 실물 경기로 가기보다 자산시장으로 흘러들어가 버린 겁니다. 그래서 주식이나 부동산 가격만 치솟고 서민 체감경기는 더딘 모습이 많았죠. 또 나중에 돈을 거둬들이는 과정에서 금리 충격이 생길 수 있다는 불안도 늘 따라붙었습니다.
경제정책
8일 전 작성 됨
Q.
우리 정부가 CPTPP 가입을 검토하고 있는것 같은데요 이 동맹은 어떤 동맹인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이번에 미국 금리 발표가 딱 9월 16일부터 17일 이틀 동안 열리는 FOMC 회의에서 정해진다고 합니다. 발표 시각도 애매하게 새벽이라 우리 입장에서는 좀 피곤한 타이밍이죠. 미국 동부 시간으로 17일 오후 2시니까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18일 새벽 3시쯤에 결과가 나오고, 파월 의장이 새벽 4시 반쯤 기자회견까지 이어갑니다. 요즘 시장 분위기 보면 금리를 0.25%포인트 내릴 거라는 전망이 좀 더 힘을 얻고 있긴 한데, 또 막상 최근 경기 지표가 꽤 괜찮게 나오면서 동결 가능성 얘기도 남아 있어서 다들 예측이 갈리는 중입니다.
경제동향
8일 전 작성 됨
Q.
미국 9월 금리발표는 언제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 9월 금리 발표는 9월 16일부터 17일 이틀 동안 열리는 FOMC 회의에서 결정됩니다. 공식 발표는 미국 동부 시간 17일 오후 2시라서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9월 18일 새벽 3시쯤 나옵니다. 이어서 파월 의장이 새벽 4시 30분에 기자회견을 합니다. 시장 분위기는 금리를 0.25%포인트 내릴 가능성에 무게가 실려 있는데요, 다만 경기 지표가 생각보다 탄탄하게 나오면 동결 가능성도 남아 있습니다.
경제동향
8일 전 작성 됨
Q.
미국이 삼성과 SK하이닉스의 중국내 반도체 공장 운영 확대를 제한했는데 어떤 변화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이 중국 반도체 공장 확장 막은 거 생각보다 파장이 큽니다. 당장 삼성이나 하이닉스 입장에서는 장비 반입이 제한되니까 생산 효율을 높이는 데 한계가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고 중국 공장을 접을 수도 없죠. 이미 시장이랑 고객이 다 묶여 있으니까요. 그래서 최근 흐름을 보면 생산 거점을 나누는 방식이 많이 언급됩니다. 공급망 차원에서는 고객이 원하는 안정성이 핵심이니까 특정 지역에서 문제가 생겨도 다른 지역에서 보완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합니다.
31
32
33
34
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