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윤지은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전문가입니다.
윤지은 전문가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동향
8일 전 작성 됨
Q.
일반인은 공매도를 할 수 없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공매도라는 게 뉴스에서 들으면 뭔가 거창해 보이는데 막상 개인 입장에선 손 댈 수가 없는 구조에 가깝습니다. 제도상으로는 개인도 가능하다고 하지만 실제로 하려면 빌려 쓸 주식이 있어야 하는데 이게 증권사 창고에 별로 없고, 있더라도 물량이 적거나 금방 사라집니다. 게다가 담보비율도 높게 잡혀서 들어가기가 쉽지 않습니다. 기관이나 외국인은 대량으로 빌려 쓸 수 있는 네트워크가 있으니 훨씬 유리한 거고요. 그래서 일반 투자자 입장에서는 제도가 열려 있어도 사실상 닫혀 있는 거랑 비슷하다고 느끼는 겁니다.
주식·가상화폐
8일 전 작성 됨
Q.
우리나라가 코인 투자에 대해서 아직 정비중인 거 같은데요, 스테이블 코인부터 시작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이게 좀 아이러니하게 들리긴 하는데요. 스테이블 코인은 사실 투자 상품이라기보다 결제 수단 성격이 강합니다. 가격이 들쭉날쭉한 비트코인 같은 코인으로는 장보기나 송금 같은 일상적인 금융 거래가 힘들잖아요. 그래서 금융 당국도 제일 먼저 손대는 게 스테이블 코인 쪽입니다. 위험한 투기 자산보다는 일단 거래 질서를 만들 수 있는 안정적인 토큰부터 관리하자는 거죠. etf 같은 경우는 투자자 보호 장치나 세제까지 얽히니까 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순서가 스테이블 코인부터라는 느낌이 강합니다.
주식·가상화폐
8일 전 작성 됨
Q.
금값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데, 실물 투자와, 가상 투자는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금에 투자한다고 해도 방식이 좀 다르죠. 금덩이를 직접 사서 집에 보관하거나 금은방에서 골드바 사는 건 진짜 만져지는 안정감은 있는데 보관이 불편하고 세금이나 수수료가 붙습니다. 대신 마음은 편합니다. 눈에 보이니까요. 반대로 금 통장이나 ETF 같은 가상 투자 쪽은 실제 금을 만지는 건 아니지만 사고팔기가 훨씬 쉽습니다. 클릭 몇 번이면 되니까요. 대신 시장 가격에 따라 움직이니 심리적으로 출렁이는 걸 다 감내해야 합니다. 금 관련 주식은 또 성격이 달라서 금값이 오르면 따라 오르기도 하지만 기업 실적이나 다른 변수가 있어서 순수 금값만 따라가지는 않습니다.
주식·가상화폐
8일 전 작성 됨
Q.
ISA 계좌 만료 해지시 반드시 주식을 매도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ISA 만기 되면 주식 다 팔아야 하나 헷갈리실 수 있습니다. 사실 ISA 해지한다고 해서 무조건 매도해야 하는 건 아니에요. 증권사에서 보통은 계좌를 해지하면서 안에 있던 주식이나 현금을 일반 증권계좌로 그냥 옮겨줍니다. 그래서 굳이 시장에다 팔 필요는 없다는 거죠. 다만 이때 세제 혜택 계산은 해지 시점 기준으로 끝나고 과세 처리도 같이 정산이 됩니다. 결국 ISA라는 틀만 없어지고 주식 자체는 그대로 보존된다고 보면 됩니다.
주식·가상화폐
8일 전 작성 됨
Q.
이번달에는 어떤 코인을 사는 것이 가장 이익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도지코인 리플 시바이누 세 개 놓고 보니까 참 고민되죠. 다들 이름만 들어도 한때 난리 났던 코인들이라 괜히 다시 눈길이 가는 건 사실입니다. 그런데 막상 최근 흐름 보면 도지는 여전히 밈코인 성격이 강해서 변동성 크고 리플은 규제 문제에서 조금씩 숨통 트이고 있긴 한데 아직 불안 요소 많습니다. 시바이누는 커뮤니티 힘으로 버티는 느낌이라 장기적으로는 불확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단기 수익 노리면 이벤트나 뉴스에 따라 튀는 도지나 시바이누가 재밌을 수 있고 좀 더 안정 쪽을 원하면 리플 쪽이 낫습니다. 결국 본인이 감당할 수 있는 위험 수준에 맞춰서 선택하는 게 맞습니다.
경제동향
8일 전 작성 됨
Q.
민생소비 쿠폰 2차까지 지급이 끝나면 우리나의 경제는 활성화가 많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사실 쿠폰 같은 정책이 나오면 당장은 지갑이 열리니까 소비가 확실히 조금은 늘어납니다. 밥값이라도 아끼면 남은 돈으로 커피를 한 잔 더 마시게 되는 식이죠. 그런데 문제는 이게 일시적이라는 겁니다. 쿠폰 다 쓰고 나면 다시 지갑 닫히는 건 금방이라서 경제 전체가 살아난다고 보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물론 단기간에 매출이 필요한 소상공인들한테는 숨통 트이는 효과가 있겠죠. 그래서 활성화라는 표현보다는 잠깐 불을 붙여주는 정도가 맞을 것 같습니다.
경제동향
8일 전 작성 됨
Q.
우리나라 2분기 GDP가 0.7 프로나 성장했따고 하는데요 이렇게 성장한 원동력은 어디에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솔직히 요즘 경기 분위기 보면 체감은 여전히 별로인데 숫자만 놓고 보면 2분기 0.7프로 성장이라니 의외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번에 힘을 좀 보탠 건 수출 쪽입니다. 특히 반도체가 다시 살아나는 게 크고 자동차 같은 제조업도 꾸준히 버텨주고 있습니다. 민간 소비는 여전히 약한 편이라 체감이 덜한 거고 정부 지출이랑 건설투자도 일부 기여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실제로는 수출 경기 반등이 중심에 있고 나머지는 그냥 보조로 받쳐준 정도라고 보면 됩니다.
경제동향
8일 전 작성 됨
Q.
장기금리가 오르는 요소는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장기금리가 움직이는 게 단순히 기준금리 때문만은 아닙니다. 사실 시장이 보는 건 앞으로의 물가랑 경기 흐름이죠. 물가가 쉽게 안 잡힐 거다 싶으면 장기금리부터 버티듯 올라갑니다. 또 정부가 국채를 많이 찍어내면 공급이 늘어나니까 금리가 높아지기도 하고요. 미국 같은 경우엔 재정적자 문제 때문에 국채 쏟아내는 게 영향을 크게 줍니다. 거기에다 투자자들이 위험자산으로 돈을 돌리고 안전자산인 채권을 덜 사면 장기금리가 더 올라가기도 합니다. 결국 심리 싸움 같은 면도 크다고 보면 됩니다.
경제동향
8일 전 작성 됨
Q.
프랑스의 현 경제 상태가 심각하다고 하는데 정확히 어떤 상황인지 대처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프랑스 지금 꽤 힘든 상황이에요. 부채비율이 GDP 대비 114퍼센트라 나라 빚이 너무 많고 적자도 커서 돈 빌리는데 드는 이자도 확 올라갔습니다. 정치도 엉망이라 총리가 신임투표에서 밀려날 가능성이 큰데 여야 다 반대가 심해서 정부가 언제 흔들려도 이상하지 않은 분위기 인거 같습니다. 그래서 IMF 얘기까지 나왔던 거고. 아직 당장 무너진 건 아니지만 재정 관리 제대로 못 하면 위험해질 수 있다는 신호로 보면 됩니다.
주식·가상화폐
8일 전 작성 됨
Q.
스테이블코인은 왜이리인기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스테이블코인이라는 게 사실 별거 없어 보이는데도 인기가 있는 이유가 있어요.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처럼 막 오르락내리락하면 쓰기가 겁나잖아요. 근데 스테이블코인은 달러 같은 실제 화폐랑 1대1로 묶여 있어서 마음이 덜 불안한 거죠. 그래서 거래소에서 코인 사고팔 때 일종의 안전한 중간다리처럼 많이 쓰여요. 주식이 폭등했던 건 시장에서 스테이블코인이 커질 거라는 기대감 때문이에요. 특히 디지털 달러처럼 쓰일 수 있다, 글로벌 결제 시장이 뒤집힐 수도 있다 이런 분위기가 만들어지면 투자자들이 단기간에 몰려버리거든요. 지금은 거품이 좀 빠졌지만 관심 자체는 계속 살아있다고 보면 됩니다.
31
32
33
34
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