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인바디 측정 원리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물의 함량에 따른 전기의 전도도 차이로 측정하게 됩니다. 인바디(체성분 검사) 체중계는 전신으로 미세전류를 흘려보낸 뒤, 전신의 지방과 근육의 분포 차이에 따른 전기저항 차이를 분석하는 간접적인 방법을 사용합니다. 즉, 똑같은 전기를 흘려보냈다고 하더라도 물이 거의 없고 기름기가 많은 지방은 동일 시간에도 적은 전기가 도착하게 되고, 기름기가 적고 수분이 풍부한 근육은 많은 양의 전기가 도착한다고 생각하시면 편리합니다. 즉, 직접적인 근육량이나 지방량을 측정하는 것이 아닌 간접측정법으로 물을 많이 마시거나, 운동 전후 측정 시 값이 상이하게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기에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선 동일한 조건 하에 측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Q. 물을 잘 마시지 않는 동물에는 어떤 동물들이 있을까요 ?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잘 아시겠으나, 대표적으로 낙타가 있으며 우리가 일상에서 그나마 마주칠 수 있는 동물중에서는 고양이가 해당됩니다. 사막에 서식하는 동물이거나, 사막에 살았던 동물의 경우는 수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선 땀샘에 의존하지 않고 고도로 발달된 콩팥에 배설작용을 의존해야 하는데, 낙타의 경우는 신단위(네프론)가 체내 대사로 발생한 유기노폐물만 수뇨관으로 밀어넣고, 물을 최대한 재흡수하며, 수뇨관 자체가 외부 삼투에 의해 조절되지 않도록 두껍게 잘 발달해있기 때문입니다. 고양이도 강아지에 비해서는 이 능력이 뛰어난 편인데, 이 때문에 고양이가 별다른 스트레스가 없다면 강아지 보다 평균적으로 기대수명이 긴 편입니다. 이는 고양이의 최초 기원이 적도 부근인 이집트에서 유래해서 해당 생태계에서 살아남을 수 있도록 적응과 진화를 한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즉, 순환과 배설에서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물'을 가성비있게 쓸 수 있는 동물은 물을 적게 먹어도 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