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거미가 전갈과 가장가까운 배경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분류생물학에서 생물을 분류할 때, 조상이나 유전자의 유사성에 따라 비슷한 그룹을 서로 묶게 됩니다. 생물의 분류는 '종속과목강문계'로 나뉘게 되는데, 가장 큰 분류단위는 계(Kingdom)이며, 가장 작은 분류단위는 종(Species)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거미와 전갈은 모두 같은 계, 같은 문, 같은 강에 속해있습니다. 여기서 '강(Class)'의 경우 우리가 말하는 **류 동물을 말합니다. 즉 포유류, 조류, 설치류... 의 분류가 문에 속합니다. 둘 다 거미강에 속하는 동물로 세부 분류인 목부터는 전갈과 거미류로 분류되긴 합니다만, 둘 다 같은 강이라는 공통점 때문에 유전적 유사성이 가까운 편이지요. 흥미롭게도 우리가 흔히 풀밭에서 보는 '진드기'도 거미강으로, 거미와 전갈과 역시 비슷한 유전자를 갖고 있습니다.
Q.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는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보통 병균이라고 통상적으로 말하는 건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모두 총칭하긴 하나, 세균을 지칭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이는 세균(박테리아)은 그 자체가 생물로, 감염숙주없이도 스스로 생활할 수 있고, 세포의 구조를 지니고 있으나, 바이러스의 경우는 핵산이나 구조단백질로만 구성되고, 세포의 기본구조를 갖추지 못한데다가 숙주가 없인 대사나 개체번식이 불가하기 때문이지요.
Q. 상처 후에 생기는 딱지는 어떤 성분으로 구성된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트롬빈, 피브린이라는 단백질분해효소 및 섬유단백질로 구성됩니다. 상처가 난 자리는 붙어있던 피부가 찢어지고, 이 찢어진 자리를 메우기 위해선 건설현상과 마찬가지로, 뼈대구조가 필요합니다. 이 최초 뼈대 기초가 되는 것이 피브린이라는 섬유로, 그 근간은 단백질입니다. 이 상처치유 섬유단백질은 상처끝이 서로 장력에 의해 벌어지지 않도록 안쪽으로 끝과 끝을 잡아주며, 이 과정과 함께 염증세포에 의해 외부 감염원이나 이물이 제거되고, 동시에 표피에 있던 피부줄기세포가 이동해 빈 공간을 점차 채우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