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전세를 살고있는데 지금집주인이 경매로ㆍ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전세 계약 만료 전 이사를 요청하는 경우, 몇 가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여 상황을 잘 판단하시기 바랍니다전세 계약 만료일 이사 가능 여부:전세 계약이 만료되기 전에 이사를 하고 싶다면, 집주인의 동의가 필요합니다.만료일에 이사를 하기 위해서는 집주인과 협의하여 이사 날짜를 정해야 합니다.이사 날짜는 보증금 반환과 빈방 인도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정되어야 합니다.보증금 반환 및 빈방 인도:세입자는 건물인도를 해야 합니다. 이는 세입자가 자신의 이삿짐을 빼고, 원상복구를 한 후 열쇠를 반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집주인은 임차인으로부터 임차주택을 인도 받음과 동시에 보증금을 반환해야 합니다. 반환 시 연체된 임대료와 관리비 등을 정산하여 공제해야 합니다.계약 갱신 거절 통보:전세 계약이나 월세 계약은 계약기간 경과하면 만기로 종료됩니다.만약 계약 갱신 거절 통보를 하지 않아서 계약이 묵시적으로 갱신되는 경우, 이사 날짜는 계약기간 만료일이 됩니다.갱신거절 통보는 계약기간 만료일에 계약이 종료되도록 합니다.중도해지 가능 여부:중도해지는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상대방의 계약 위반이나 합의한 경우에 중도해지가 가능합니다.요약하자면, 전세 계약 만료 전 이사를 하기 위해서는 집주인과 협의하여 이사 날짜를 정하고, 보증금 반환과 빈방 인도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정해야 합니다.
Q. 월세 절반이라도 돌려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월세 계약을 중도해지하게 되면 월세를 돌려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만, 상황에 따라 다르므로 주의해야 합니다.계약서 내용 확인: 먼저, 월세 계약서를 확인해보세요. 계약서에 중도해지 시 월세를 돌려받을 수 있는 조항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계약 기간 중에 중도해지할 경우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중개수수료: 중개수수료를 부담한다는 특약이 없는 한, 임대인도 중개수수료의 절반을 부담해야 합니다. 따라서, 다른 세입자를 구하고 중개수수료를 부담한 경우, 임대인은 2주분의 월세를 돌려주어야 합니다.법적 조치: 만약 임대인이 월세를 돌려주지 않고 화를 내는 경우, 법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주민센터, 소비자보호원, 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 등에 상담을 요청하거나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요약하자면, 월세 계약을 중도해지하게 되면 상황에 따라 월세를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Q. 임대인이 고령이고 병환으로 부재시 계약서 작성은 누가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주택 임대차 신고제도에 따르면, 임대인이 고령이거나 병환으로 인해 부재할 경우 계약서 작성을 누가 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임대차 신고제도란 무엇인가요?이는 주택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경우 해당 내용을 신고하는 제도입니다.임대차 신고는 주거용 건물(주택)에 해당하며, 아파트, 다세대 등의 주택 외에도 준주택(고시원, 기숙사 등)과 비주택(공장, 상가 내 주택, 판잣집 등)도 해당됩니다.임대차 신고의무자는 누구인가요?임대차 신고의무자는 계약 당사자인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에게 있습니다.그러나 임대인이 사정상 계약서를 작성할 수 없는 경우, 임차인이 계약서를 작성하거나 계약 체결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문서를 제출하여 신고할 수 있습니다.어떻게 신고해야 하나요?임대차 신고는 읍면동사무소(주민센터)에서 진행됩니다.주택 소재지 관할 주민센터로 신고하면 되며, 법정동 내 다수 행정동 주민센터가 있는 경우 해당 주택 소재지 관할 주민센터를 확인하여 신고해야 합니다.임대인이 사정상 계약서 작성을 못하게 된 경우:만약 임대인이 사정상 계약서를 작성할 수 없다면, 임차인이 계약서를 작성하여 신고할 수 있습니다.임대인과 상의하여 임차인이 계약서를 작성하고, 주민센터에 신고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