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각구조형성의 이론적관점에서 볼 때, 대륙지각과 해양지각이 상이점이 보이는걸 설명할수있나?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판구조론에 따르면 해양 지각은 두 판이 갈라지는 발산형 경계에서 만들어집니다. 발산형 경계는 맨틀 대류의 상승부에 해당하며, 경계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잡아 당겨지는 장력이 작용하여 두 판이 서로 멀어집니다. 이 때 이 갈라진 틈을 맨틀 대류의 상승에 따라 만들어진 마그마가 분출하여 메우게 되는 데 이것이 해양지각입니다. 마그마는 지하 물질 중 녹는점이 낮은 광물이 용융되어 만들어지는데, 일반적으로 SiO2 함량이 높을수록 녹는점이 낮으므로, 마그마는 생성되는 장소의 물질보다 SiO2 함량이 많게 됩니다. 현무암질 마그마가 만들어지는 곳은 맨틀인데, 맨틀을 구성하는 물질의 평균조성은 감람암질입니다. 대륙지걱을 구성하는 화강암질(유문암질) 마그마는 일반적으로 대륙지각의 용융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섭입대의 하부에서는 섭입하는 해양지각과 그위의 퇴적물에서 빠져나온 물의 작용으로 맨틀 물질의 용융점이 낮아져 현무암질 마그마가 만들어집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현무암질 마그마가 상승하다가 대륙지각의 아래에 부착되어 대륙지각을 용융시키면 유문암질 마그마가 만들어집니다. 해양지각(현무암질)이 대륙지각(화강암질)에 비해 밀도가 크고 얇은 이유는 마그마의 특성에 의한 것입니다. 마그마의 성분에 따라 정출되는 광물이 달라지는데 온도가 높은 곳에서 정출되는 광물일수록 SiO2 함량이 적습니다. 이것이 암석의 밀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리고 현무암질 마그마는 화강암질 마그마에 비해 유동성이 매우 커서 잘 흐르며, 발산경계로 빠져나와 해양 지각을 이루는 마그마는 빠져 나옴과 동시에 양쪽으로 이동하므로 두껍게 쌓일 수 없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수성의 공전 주기와 자전 주기는 각각 얼마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수성은 태양계의 행성 중 가장 안쪽 궤도를 공전하고 있으며, 회합 공전 주기와 자전 주기는 지구의 1일을 기준으로 약 88일, 약 58일입니다. 공전 주기와 자전 주기의 관계는 2:3, 즉 2바퀴 공전하는 동안 3회 자전합니다.수성의 공전 궤 이심률은 0.21로 행성들 중 가장 큽니다. 수성의 공전 궤도 크기는 최소 4600만 km, 최대 7000km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항성은 모두 핵융합 과정을 갖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별(항성)은 막대한 양의 플라스마(플라즈마)가 자체의 중력에 의해 뭉쳐서 밝게 빛나는 납작한 회전 타원체(oblate spheroid)형의 천체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항성은 경수소 핵융합을 스스로 진행하는 천체를 말합니다. 갈색왜성이나 준갈색왜성은 경수소 핵융합을 일으킬 질량 한계를 넘지 못해 경수소 핵융합을 못하기 때문에 항성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백색왜성은 경수소 핵융합이 가능하지만 핵융합이 가능한 시간이 매우 짧아 오랜 기간 동안 핵융합을 지속할 수 없으므로 항성으로 분류하지 않습니다. 신성이나 초신성도 핵융합을 하지만 그 시간이 매우 짧아 항성으로 분류하지 않습니다. 중성자별이나 블랙홀은 스스로 빛을 내기는 하지만 핵융합이 에너지원이 아니기 때문에 항성으로 분류하지 않습니다.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항성은 내부에서의 핵융합 반응을 에너지원으로 오랜 기간 동안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를 말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풍은 강도는 어떤 것이 기준이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태풍을 분류할 때는 강도와 크기에 따라 구분합니다.강도는 풍속을 기준으로 구분하는데, 17m/s(61km/h, 34kt) 이상 ~ 25m/s(90km/h, 48kt) 미만은 강도 1로 구분합니다. '중(강도 2)'은 25m/s(90km/h, 48kt) 이상 ~ 33m/s(119km/h, 64kt) 미만, '강(강도 3)'은 33m/s(119km/h, 64kt) 이상 ~ 44m/s(158km/h, 85kt) 미만, '매우 강(강도 4)'은 44m/s(158km/h, 85kt) 이상 ~ 54m/s(194km/h, 105kt) 미만, '초강력(강도 6)'은 54m/s(194km/h, 105kt) 이상에 해당합니다. 크기는 태풍 중심으로부터 풍속 15m/s 이상의 바람이 부는 반경(km)인 강풍 반경을 기준으로 구분합니다. '소형'은 300km 미만, '중형'은 300km 이상~500km 미만, '대형'은 500km 이상~800km 미만, 초대형은 800km 이상에 해당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풍 꼬마이는 독특한 경우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태풍의 이동 경로는 일반적으로는 무역풍대(위도 0°~30°)에서는 북서쪽으로, 편서풍대(위도 30°~60°)에서는 북동쪽으로 이동합니다. 그러나 꼬마이의 경우 발생한 후 남쪽으로 이동하다가 북동쪽으로 방향을 바꾼 후 무역풍대인 북위 26° 부근에서 북서쪽으로 방향을 바꾼 후 육지에 상륙했습니다. 이로 볼 때 꼬마이의 경로는 태풍의 일반적인 경로와는 전혀 다른 형태를 보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