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Q1, Q2, Q3, A1, A2, A3을 우리말로 읽는 법을 알려주세요
발표하시는 자리라고 하면 '첫번째 질문', '첫번째 답변'이 더 자연스럽게 들립니다. 해당 표현은 Question, Answer를 줄여서 첫 알파벳과 숫자를 조합한 표기이므로 사실 어떤 것으로 읽어도 상관은 없습니다. 그냥 '큐원', '에이원'이라고 읽어도 되지만 발표하시는 자리에 청중에게 좀더 정중하고 정돈된 느낌을 주기 위해서는 앞에 말씀드린대로 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생각합니다.
Q. 이데올로기란 무엇을 말하는 지요 ??
이데올로기는 이데아(idea)와 로직(logik)의 합성어입니다. 그 뜻은 세상에 대한 다양한 인식방법과 형태로 세계관, 가치관, 종교관, 사상, 사고방식 등 다양한 신념체계 또는 인식체계를 말합니다. 이데올로기가 개인의 신념체계과 사회 정치 구조의 변화 발전에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는 유럽의 변화를 통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과거 프랑스 시민혁명 이전에는 절대군주제와 왕권신수설이 지배적이었습니다. 따라서 지배층 및 봉건귀족들에 의해 하위 계층들이 지배를 받았고, 왕은 신에게 부여받은 권리로 절대적인 권력을 누렸습니다. 하지만 그들의 폭정 등에 반발하며 새로운 생각들이 확산되었고 이후 시민혁명을 통해 왕정이 붕괴된 후 그 새로운 생각들이 자유주의, 민주주의로 발전되었고, 새로이 보수주의, 민족주의 등 다양한 이데올로기들이 대두되었습니다.이후 산업혁명 등을 통해 19세기 독점자본주의가 과거 절대군주제처럼 독보적이게 되자 그에 대응하는 사회주의가 고개를 들게 됩니다. 이것이 점점 고착화되고 심화되어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자유민주주의와 사회주의(공산주의)의 대립의로 냉전체제가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소련이 붕괴된 후 사회주의(공산주의)가 자유민주주의(자본주의)에 밀리게 되었습니다.이러한 다양한 사상들은 지금도 사회를 구성하는 주요 이데올로기가 되었고, 현재 대부분의 국가에서의 정치적인 환경에서 자유민주주의(자본주의) vs 사회주의(공산주의)를 중심으로 경쟁하고 있고, 각각의 지지하는 신념을 가진 이들이 자신들의 신념을 펼치고자 정치권력에 도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