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문학
문학 이미지
Q.  우리나라의 첫 근대소설은 어떤소설인가요?
우리나라의 첫 근대소설은 이광수의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917년 《매일신보(每日申報)》에 연재된 작품이고 한국 최초의 현대 장편 소설입니다. 소설의 내용은 근대문명에 대한 동경, 신교육, 자유연애 등이 주된 주제입니다. 많은 관심을 끌었던 작품으로 한국 근대 혹은 현대문학의 시작이라고 평가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귀신이 곡할 노릇이라는 표현의 유래가 있나요?
귀신이 곡할 노릇이라는 속담의 뜻은 신기하고 기묘하여 그 속내를 알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이 이야기에는 몇 가지 비슷한 설화가 있는데요. 그 중 하나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네이버 지식백과 / 문학원형백과에 있는 내용을 발췌하였습니다. 아래에 출처 명시하였습니다.옛날 한 촌에 가난한 사람이 살았다. 부부가 슬하에 자식이 없어 항상 쓸쓸하게 지내면서 부부는 함께 열심히 정성을 들였다. 어느 날삼신산에서 그 부인이 빌로 있다가 잠깐 잠이 들었다. 그런데 한 노인이 나타나, “너의 정성이 지극하니 애를 낳게 해 주겠다. 네가 돌아가는 길에 산삼이 한 뿌리 있을 터이니 그것을 캐어 먹으면 자식을 갖게 될 것이다.” 이렇게 이르고는 사라졌다. 부인이 깜짝 놀라 깨어 보니 꿈이었다. 그래 꿈에 가르쳐준 곳으로 가보니 과연 삼이 있었다. 그것을 캐어 가지고 집으로 와 남편한테 꿈 이야기를 한 후 삼을 달여 먹었다. 그랬더니 정말로 태기가 있어서 옥동자를 얻게 되니 부부는 웃음 속에서 세월 가는 줄도 모르고 살아갔다.이 애가 자라 칠팔 세가 되었기에 공부를 시키려고 서당으로 보냈다. 그런데 하라는 공부는 하지 않고 활을 만들어 사냥만 다녀 항상 부모에게나 선생에게 종아리를 맞기가 일쑤였으나 여전히 공부는 안 했다. 제 나이 십칠팔 세가 되어도 제 이름자 하나 똑똑히 쓰지 못했다. 그러던 게 어느 날 아버지 앞에 와서 무릎을 꿇더니 과거를 보러 가겠으니 허락해 달라고 하는 것이었다. 하도 조르는 바람에 가산을 털어 활을 사 주었다.이 애가 과거를 보러 가는 도중에 날이 저물어 어떤 집에서 자게 되었는데 그 집엔 예쁜 처녀가 있었다. 그 주인 영감이 아이를 보니 매우 똑똑하게 생긴지라 일부러 딸에게 접대를 시켰으나, 아이는 처녀가 들어만 오면 호통을 쳐 내보냈다. 그 다음 날 길을 떠나려고 문을 여니 처녀가 문턱에서 목을 매어 죽어 있었다. 하는 수 없이 과거장에 가긴 갔다. 활은 과녁에다 다섯을 정중으로 맞춰야 하는 것이었다. 자신이 만만한 아이는 자기 차례가 되어 활을 쏘니 조금도 빈틈없이 셋은 명중이 되었다. 그리고 네 번째 화살을 쏘는데 난데없는 회오리바람이 일어 화살이 중간에서 꺾어지고 말았다. 그래 결국 과거에 떨어지고 말았는데 이 과거는 3년 만에 한 번씩 보는 것이었다.그러나 과거를 볼 적마다 셋은 정중에 맞고, 네 번째 살에 가서는 꺾어지고 말았다. 하도 이상해서 점쟁이에게 물으니 처녀의 죽은 귀신이 악마가 되어 쏠 때마다 방해를 놓는다고 하였다. 나이 서른이 넘어 가지고 또 과거시험을 보러 갔다. 셋은 여전히 맞추고 네 번째 화살을 쏘려고 하다가 울음이 나와서 서 있었더니 원님이 이상히 여겨 그 우는 곡절을 물었다. 이제까지의 일을 자세히 이야기하니 원님은 정중으로 맞춘 것을 거두고 다시 쏘라고 하여 다시 두 번을 쏘니 백발백중이었다. 먼저 거둔 살과 합해 과거에 급제하였는데 갑자기 공중에서 악귀가 울면서 원님 꾀에 넘어갔다고 원통해 하며 도망쳐 버렸다. 이때부터 신기한 꾀를 내면 귀신이 곡할 노릇이란 말이 생겨났다고 한다.[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귀신이 곡할 노릇 (문화원형백과 인귀세상, 2004.,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문학
문학 이미지
Q.  숭고, 우아, 비장, 골계의 미적 범주를 정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숭고 우아 비장 골계의 미적 범주는 일상적으로 의식할 수 있는 살아가는 방식입니다. 문학작품은 이들을 예술적 질서에 맞도록 집약화해 지녀 미적 범주(asthetische Kategorien)라고 부르는 미의 기본적인 분별 양식으로 삼고 있다고 보고 그 작품에서 메세지를 표현하는 방식에 있어서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는 지에 대해 판단하기 위해 미학의 개념을 접목시킨 것입니다. 작품을 표현하는 방식에 따라서, *숭고미 - 높고 커다란 이상을 추구하는 미의식의 범주이며 우월한 것, 위대한 것을 추구하는 인간의 요구에 응하는 미입니다. 이상적인 것이 현실적인 것보다 우세한 상황에서 이상적인 것을 추구함으로써 나타나는 아름다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우아미 - 안정된 조화, 이성과 감성 자유와 구속, 만남과 이별 등 인간의 삶 속에서 완전한 조화의 아름다움을 기본적으로 추구하여 경쾌하고 감미로운 것을 준다. 현실의 긍정적 수용에서 표현되는 살아있고 현실적인 아름다움입니다.*비장미 - 비장미는 대상의 위대성과 적극적 가치를 지닌다는 점에서 숭고미와 공통점을 지니지만 그와 달리 당연히 이루어져야 할 이상이 시련에 부딪혀 침해되고 멸망하는 과정 내지 결과에서 생겨나는 격렬한 고뇌 속에서 얻게 되는 드라마틱함이 있습니다. 현실적인 것이 우세한 상황에서 이상적인 것을 끝까지 할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골계미 -앞선 범주들과 (특히 숭고미, 우아미) 대립하는데, 우아한 것을 실추시키려는 인간의 욕구에 의해 나타나는 아름다움입니다. 이러한 목적의 실행으로 발생되는 작은 결과가 해방감과 자유를 느끼게 합니다. 문의하신 내용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시려면, 조동일의 를 추천드립니다. 상기의 내용들이 더욱 자세히 설명되어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금시초문이라는 뜻은 어떤 말인가요?
어떠한 사실에 대해 오늘 처음 보고 들었다는 뜻입니다. 어떠한 사실에 대해 알지 못하거나 생소한 느낌에 대해 강하게 표현하는 한자 표현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문장 부호 어떻게 읽는건지 알려주세요
1. https:// - 원래 풀용어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이지만 그냥 에이치티티피에스 쌍점 슬래쉬 두개 라고 읽으면 됩니닻2. * - 별표 맞구요3. 1-2, 1-3 - 1의 2, 1의 3 (하이픈, 붙임표)라고 읽습니다.
1761771781791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