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소멸 위기 언어의 보존 노력에 대한 질문
언어가 소멸된다는 것은 그 문화가 곧 소멸된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다민족 국가에서의 소수민족들의 언어, 단일민족 국가에서의 방언 등은 반드시 보존되어야 할 문화유산입니다. 이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문자적 표기 자료, 음성적 자료, 시대적 자료 등을 종합하여 해당 언어가 명맥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소수민족의 언어의 경우 국가의 통용어와 함께 학교에서 해당 소수민족의 고유언어도 배우가 하여 그 유산을 이어나갈 수 있게 해야 합니다. 단일 민족의 지방 방언의 경우 학교에서 공통적으로 가르치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상위 연구기관인 대학, 대학원 등에서 지속적으로 연구하며 그 지역색에 맞게 유지시켜나갈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제주 방언 전승자' 같이 선정하고 이어나갈 수 있도록 지방자치 또는 국가 재정의 지원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방송에서 드라마, 다큐멘터리, 영화 등 많은 미디어에 노출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Q. 이 시에서 운율,심상,표현기법 찾아주세요
위의 시는 나태주 시인의 입니다.먼저 시의 음악적 요소인 운율을 살펴보면, 정통적인 두운(구절의 첫음을 맞추는)을 사용하였습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그'라는 첫 글자로 구절을 시작하여 음악적인 요소를 고려하였습니다. 그리고 구절 곳곳에 '지킨다', '지키고'를 반복하면서 각운(구절의 마지막음을 맞추는)도 고려하였습니다. 요즘 유행하는 Rap으로 따지면 라임을 맞춘거죠. 그리고 '그대의 자취/그대의 숨결/그대의 추억'의 다섯글자 맞춤과 '그대가 남긴 산을 지키고/그대가 없는 들을 지키고'에서 열글자의 글자수와 구절 형태를 반복 대응함으로서 음악적인 요소를 주었습니다. 이 시의 주제는 '그리움'입니다. 시 전체의 심상이 '그대'가 떠나고 남은 모든 것들에게서 '그대'를 느끼며 쉽사리 사그라들지 않는 뜨거운 감정과 조금씩 변해가는 마음의 아쉬움을 노래하였습니다 이 시에 사용된 비유법은 겉으로는 확 드러나지는 않게 잔잔하게 사용되었습니다. '그대가 남긴 산/그대가 없는 들'은 함께 하며 쌓아왔던 정과 추억 등 모든 것을 산, 들에 비유하였다고 보고 환유법을 사용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대가 바라보던 강물에 하늘에 흰구름을 지킨다'에서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해갈 수 밖에 없는 강물, 하늘, 흰구름을 잡고 싶은 마음을 마찬가지로 녹여 넣었습니다.
Q. '잔인한 4월'이라는 표현이 어디서 나왔는지 궁금합니다.
영국 시인 토머스 스턴스(T.S) 엘리엇(1888~1965)의 시 ‘황무지'에 나오는 시구절을 인용된 것입니다. April is the cruelest month, briddingLilacs out of the dead land, mixingMemory and desire, stirringDull roots with Spring rain.Winter kept us warm, coveringEarth in forgetful snow, feedingA little life with dried tubers.4월은 가장 잔인한 달죽은 땅에서 라일락을 키워내고추억과 욕망을 뒤섞고잠든 뿌리를 봄비로 깨운다.겨울이 오히려 우리를 따뜻하게 해 주었다.망각의 눈으로 대지를 덮고마른 뿌리로 약간의 목숨을 남겨 주었다
Q. 노벨문학상 수상자 중 수상 당시 최고령은 누구였나요?
역대 최고령 노벨문학상 수상자를 배출한 해는 2007년입니다. 수상자는 영국 작가 도리스 레싱이 88세의 나이로 노벨문학상을 받았습니다. [사진 출처 - 노벨상 공식 홈페이지]추천작으로는 첫발표작인 1950년 , 1962년 , 1974년에 발표된 이 있습니다. 도리스 레싱은 노벨문학상 수상 이외에도 서머싯몸상(1954), 메디치상(1976), 셰익스피어상(1982) 등을 수상했고, 2008년 타임지가 선정한 가장 위대한 영국 작가 50인 가운데 '동물농장'의 조지 오웰, '파리대왕' 윌리엄 골딩 등에 이어 5위에 이름을 올렸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