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버킷리스트라는 단어는 어떻게 유래된 말인가요?
'버킷 리스트(bucket list)는 ‘킥 더 버킷(kick the bucket)’이라는 ‘죽다, 자살하다’는 뜻을 지닌 영어 속어에서 유래되었고, 살면서 한번은 이루고 싶거나 꼭 해 보고 싶은 소망들을 작성한 목록입니다.예전에 교수형을 집행하거나 자살을 시도할 때 높은 곳에 매달린 밧줄에 목을 걸기 위해서 양동이(bucket)에 올라간 후 양동이를 걷어차 죽는 방법을 많이 사용했다고 하는데, 그러한 방법을 ‘킥 더 버킷(kick the bucket)’이라고 했습니다.버킷 리스트는 2007년 개봉된 영화 를 통해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졌는데, 영화의 내용은 암 선고를 받은 두 노인이 병원 중환자실에서 만나 서로의 소망 리스트를 만들어서 이를 하나씩 이루어가는 내용입니다. 즉 꼭 살아생전에 이러한 것들은 이루고 죽자는 뜻에서 만들어 진 것이니 삶을 더욱 알차고 보람되게 살자는 좋은 의미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Q. 정의란 무엇인가에 나오는 트릴레마에 대하여 좀더 깊이있게 설명 부탁 드립니다.
트릴레마는 세가지 문제 중 어느 것을 선택해도 나쁜 결과가 발생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정의란 무엇인가에서 센델이 말하는 트릴레마는 사회정의를 실현할 때 자유, 미덕, 공익의 트릴레마에 빠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가 제시하는 정의를 이해하기 위한 3가지는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추구하는 공리주의, 어떠한 가치를 추구하더라도 침해할 수 없는 개인의 자유를 우선시하는 자유주의, 작가 자신이 추구하는 미덕과 공동선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정의는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니라 가치 측정의 문제이므로 어떤 일을 추진할 때 공리만을 생각하면, 자유를 침해하게 되고, 자유만을 중요시하면 공리를 등한시하게 되고, 사회적 미덕만을 생각하게 되면 현실적으로 득이 없는 일의 진행이 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정의로운 사회는 단순히 공리를 극대화한다고 이루어지지 않고, 선택한 자유를 확보하는 것만으로도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선택의 영역에 있을 때 좋은 삶의 의미를 함께 고민하고 이견들을 수용하며 궁극적으로 어느 방향으로 조금 치우치더라도 그것이 도덕적으로 훌륭하며, 공동의 선을 추구하는 것이 맞는 것인지 다시한번 고민해보고 접점을 찾아간다면 우리가 꿈꾸는 정의로운 사회에 가까워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