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고려가요와 시조는 음보율이 어떻게 되나요?
고려가요는 보통 3(4)/3/2의 3음보이고, 예) 살어리/살어리/랏다 청사에/살어리/랏다 머뤼랑/다래랑/먹고 청산에/살어리/랏다 시조는 3(4). 4조가 기본 운율 / 3장, 6구, 12음보, 45자 내외(한 장 ; 2구, 4음보)입니다. 특히 시조는 초장, 중장, 종장의 3절로 나뉘는데 종장의 첫음보 3글자는 고정이고 , 둘째음보는 5글자 이상을 씁니다.예) 태산이/높다하되/하늘 아래/뫼이로다 오르고/또 오르면/못 오를리/없건만은 사람이/제 아니오르고/뫼만 높다/하더라
Q. 유명한 북한의 문학작품들도 있는지 궁금해요
광복 직후의 북한의 문학은 자유롭게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공산주의 사상이 자리를 잡게 되고 그것을 선전하는 쪽으로 문학의 방향이 고착화됩니다. 따라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를 바탕으로 체제를 선전하는 방향으로만 공식적인 작품이 나오게 됩니다. 북한문학의 주제는 ‘위대한 수령님의 혁명 활동과 혁명가정을 내용으로 한 작품’, ‘혁명전통을 주제로 한 작품’, ‘6·25전쟁을 소재로 한 작품’, ‘사회주의 건설을 주제로 한 작품’, ‘계급교양을 주제로 한 작품’, ‘조국 통일을 주제로 한 작품’으로 나눌 수 있는데 자신들의 체제 유지 및 선전, 당에서 추구하는 사업에 대한 선전 등을 내용이므로 광복 이후는 유명한 문학가나 문학작품은 찾기 어렵습니다. 다만 광복 이전에 한반도 북부에서 활동했거나 출신인 작가 중 떠오르는 인물은 시인 백석 백기행입니다. 한국적 모더니즘의 완성자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뛰어난 시인이었습니다. , , ,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소설가 송영 송무현은 소설 뿐만아니라 극작가로 유명하였다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