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문학
문학 이미지
Q.  '미쁘다'라는 표현이 있던데 무슨 뜻인가요?
미쁘다는 형용사로서 믿음성이 있다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미덥다, 믿음직스럽다, 믿음직하다와 유사한 뜻입니다. 보통 일상에서는 그렇게 많이 사용하지 않는 표현이며, 16세기 믿브다 라는 표현이 나오기 시작하는 것으로 보아 당시에 만들어진 표현으로 판단되며, 현재에 와서는 미쁘다 로 변형되어 사용되고는 있으나 대부분 구어체보다는 문어체로 사용되어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시의 갈래 중에서 정형시가 생겨나서 창작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시는 내용으로 보아 개인의 주관적 감정을 노래하는 서정시, 객관적 사실을 이야기 형식으로 풀어서 쓰는 서사시가 있고, 희곡의 형식으로 쓴 극시가 있습니다. 형태로 보아 엄격한 형식의 정형시, 자유롭게 쓴 자유시, 행과 연의 구분없이 쓴 산문시가 있습니다. 그 중 말씀 주신 정형시의 경우 시조나 시가 등을 예로 들 수 있는데 그 기원을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중국의 한시, 우리나라의 향가 등 정해진 운율에 맞춰 노래의 가사로 만들어지다 보니 글자의 수 등이 규칙으로 굳어진 것이 아닌가 추측해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야채와 채소의 차이가 무엇이며, 어떤 말이 표준어인가요?
야채와 채소는 일상생활에서 동일한 대상에 대한 명칭으로 사용됩니다.사전적으로도 야채는들에서 자라나는 나물채소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채소는 밭에서 기르는 농작물, 주로 그 잎이나 줄기, 열매 따위를 식용한다. 보리나 밀 따위의 곡류는 제외한다.로 달리 구분하고 있는 듯 보이지만 아닙니다.차라리 채소가 상위개념이고 그 중 들에서 자연산으로 자란 채소를 아채라고 한다라는 의미가 맞는 듯 합니다.어떤 분은 채소는 사람이 기른 것이고 야채는 자연산이다라 하기도 하는데 채소가 사람이 기른 것이라는 말은 어디에서도 증명할 수 없으니 그냥 글자 그대로 뜻을 정의하는 것이 맞을 듯 합니다.일부 블로그 등에는 야채는 주로 식물의 부속기관을 먹는 것이고 채소는 식물 생장에 필수적인 부분을 먹는ㅁ것이라고 구분하는데 그러한 근거는 없는 듯 합니다.한자로 보면 야채는 들 야, 나물 채를 쓰고 채소는 나물 채, 나물 소를 쓰는 것으로 보아 사실상 둘은 같은 의미를 가졌다 할 수 있습니다. 그냥 곡물이나 나무열매를 제외한 먹을 수 있는 식물을 통칭하는 것이 채소이고 그것을 일상적으로 쓰는 말이자 자연산 채소를 야채라고 하는 것이 맞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삼국지에서 많은 장수들이 유비를 따랐던 이유가 뭘까요?
삼국지에서의 유비는 덕장이라고 합니다. 의와 덕을 중요시하는 인물입니다. 옛말에 용장은 지장을 이기기 못하고, 지장은 덕장을 이기지 못한다고 하였습니다. 유비는 거대한 배려와 포용을 가졌었기에 힘으로 누군가를 누르려 하기 보다는 그를 따르는 이들에게 있어 많은 재량권과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많은 이들이 그를 따르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당시의 상황에 유비에게는 황족의 핏줄이라는 대의명분을 내세울 수 있었습니다. 한 왕조가 환관 조조에게 휘둘리고, 저마다 국가를 선포하며 혼란스러운 시기에 그래도 무너져가는 한왕조의 혈통인 유비가 새로운 나라를 세운다 하면 특히나 대의명분을 중요시 여기는 중국의 분위기를 볼 때 인재들이 역적이 아닌 명분을 가진 유비 편에 선다는 것을 명예롭게 생각했을 수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다르다 와 틀리다의 정확한 구분설명좀
다르다1.형용사 비교가 되는 두 대상이 서로 같지 아니하다.2.형용사 보통의 것보다 두드러진 데가 있다.틀리다1.동사 셈이나 사실 따위가 그르게 되거나 어긋나다.2.동사 바라거나 하려는 일이 순조롭게 되지 못하다.위의 내용이 사전적 의미입니다.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차이가 다르다는 형용사이고, 틀리다는 동사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각 표현의 사용이 같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다르다는 형용사이므로 어떠한 대상의 비교에 의한 차이에 대한 것을 나타내는 표현이고, 틀리다는 동사이므로 행위나 행위의 결과에 대한 것으로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정해진 규칙이나 기준에 맞추어 부합하는가를 확인하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면너와 나는 쌍둥이지만 입맛과 성격이 다르다독도가 영토분쟁지역이라고 하는 말은 틀렸다. 독도는 대한민국 영토다.이처럼 두 표현은 쉽게 구분해서 쓸 수 있습니다. 헷갈리지 마세요~~^^
1861871881891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