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는 무엇인가요?
전 세계적으로 사용인구가 많은 언어를 1~6위까지 순위대로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1. 영어 (English): 약 15억 명 / 전 세계의 많은 국가에서 공용어나 공식 언어로 사용합니다.2. 중국어 (Mandarin Chinese): 약 11억 명 / 중국과 대만, 싱가포르 등 공용어로 사용됩니다. 3. 힌디어 (Hindi): 약 6억 명 / 인도의 공용어 중 하나로, 주로 인도 북부 지역에서 사용됩니다.4. 스페인어 (Spanish): 약 5.5억 명 / 스페인과 중남미의 과거 식민지였던 국가에서 사용됩니다.5. 프랑스어 (French): 약 2.7억 명 / 프랑스와 캐나다, 벨기에, 스위스, 아프리카의 과거 식민지였던 국가 일부에서 사용됩니다. 6. 아랍어 (Arabic): 약 2.7억 명 /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많은 국가에서 공식 언어로 사용됩니다.
Q. 사회적 거리두기가 인류의 사회 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코로나 19 사태로 인한 공중보건 정책으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하면서 그로 인해 비대면이라는 개념의 확산되었습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인데 대면적 상호작용이 중단되면서 친구, 가족, 사회 속에서의 상호간의 직접적 교류가 줄어들었습니다. 이것은 사회적 고립을 낳고 이러한 물리적 단절은 인간에게 정서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물론 어떤 사람들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사회적 고립과 동일 시 되지는 않는다고 말합니다. SNS 등으로 얼마든지 교류를 할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우리는 경험상 직접적 대면의 상호작용과 온라인 상에서의 간접적 대면의 상호작용의 효과가 같지 않다는 것을 압니다. 이러한 비대면이라는 개념은 기존 일자리에서 인간의 역할을 대체할 무언가를 찾았습니다. AI가 발전하게 되고, 그렇게도 언론에서 많이 언급해오던 4차 산업혁명의 시기가 앞당겨졌습니다. AI는 인간을 대체하게 될 것이고, 그와 관련된 산업은 발달하게 되어 새로운 일자리가 생기겠지만, 과거 전통적인 일자리에서 인간의 역할을 급진적으로 줄어들 것이라 봅니다. 맨 처음 전 세계에 공개적으로 AI가 바둑으로 인간을 이겼고, 지금 대부분의 증권사에서 증시 분석 등을 AI 전담하고 있으며, 주요 회사 전화상담도 AI 상담사의 비중을 늘리고 있습니다. 제품의 생산 등의 공정도 AI를 기반으로 한 자동 공정 시스템이 인간을 대체하고, 그것을 관리할 소수의 인간만이 필요하게 되겠죠. AI의 발전이 인간들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기를 바랍니다. 그렇지 않을 것 같아서 걱정이지만, 사회적 거리두기라는 빌미가 이러한 발전을 더 빠르게 부추긴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Q. 우리는 왜 웃음을 느낄까요? 너무 어려운 질문인가요?ㅎ
정말 어려운 질문이긴 합니다. 웃음은 정말 기이한 감정의 표현입니다. 아주 복잡하고도 미묘한 감정의 표현인데 고정된 목적이 없다는 것입니다. 웃음은 재미있거나, 당황스럽거나, 화가 나거나 등 다양한 상황과 감정에 있어 의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발생합니다. 보통 표정은 의식이 사소한 일이든 중대한 일이든 서로의 방향으로 전이될 때 감정의 변화에 의해 신체적 운동을 발생하게 되는데 그것 중 하나가 웃음인 것입니다. 웃음은 기쁘고, 울음은 슬프다 라는 감정의 구분은 전부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통용되는 구분이지만 그것이 그렇다고 학문적으로 정의된 것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너무 기쁘면 눈물이 나고 너무 허망하고 슬프면 헛웃음이 나기도 하니까요. 저도 웃음에 대해 다시 한번 골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Q. 꿈과 비전이라는 단어의 차이점이 있나요
꿈과 비전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간혹 꿈과 비전에 대해 강의하다가 이런 말을 청중들에게 던지곤 합니다. "꿈을 꾸되 깨 있으라!"영어로 꿈은 Dream입니다. 이것의 사전적 의미는 '자면서 꾸는 꿈', '희망, 바라는 일에 대한 꿈'으로 막연하고도 추상적인 의미입니다. 그렇다면 비전은 어떤 뜻일까요?비전은 영어로 Vision입니다. 이것의 사전적 의미는 '시력, 환상, 상상'입니다. 하지만 사전 그대로 해석을 하면 구분이 어렵죠. 이것을 의역을 한다면 비전은 시력, 즉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식견이나 계획이 있는 것'으로 꿈과 다른 뜻이 아니라 꿈을 실현하기 위한 식견이나 그에 대한 실행 계획을 비전이라고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서두에 말씀 드렸듯이 "꿈을 꾸되 깨 있으라!"는 말과 같이 단순히 내가 하고자 하고 하고 싶은 또는 되고 싶은 것에 대해서 막연한 바람만 가지고 있다고 하면 그것은 '꿈'으로 그냥 내 속에 잠들어 있는 것이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공부하고 도전하여 실행하고자 하는 계획이 있는 것은 '비전'이 있다고 말하는 것입니다.정리해보면 원래부터 두 단어는 유의어가 아니라 완전히 다른 의미로꿈 : 희망, 바라는 일에 대한 꿈비전 : 희망, 바라는 일에 대한 식견 또는 그것을 이루고자 하는 구체적인 계획이라고 이해하시면 쉬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