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음악
음악 이미지
Q.  취미로 소설을 쓰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선 많은 소설책들을 읽어 소설의 플롯 구성방법에 대해 자연스럽게 공부하면 도움이 됩니다. 유명작가들의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법은 소설의 뼈대를 구성하는데 좋은 스승입니다. 그리고 여행, 일상 등에서 떠오르는 것들을 짧게라도 글로 표현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이후 그 짧은 글들을 연관성있게 이어가는 연습을 하면 사건을 전개해나가는 힘을 기르게 됩니다. 매력적인 문장을 쓰는 것은 재능도 필요하지만 훈련이니 지루하지 않고 간결한 문장을 위해 자주 쓰며 퇴고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소설은 장기적인 작업이므로 끈기도 필요합니다. 주제를 정하고 그에 따른 등장인물과 사건을 관계로 엮어 나가고 문제를 풀어나가는 과정을 오랜 시간을 투자해야 합니다. 1. 주제 선정2. 배경 설정3. 인물과 캐릭터 설정4.사건설정, 문제, 갈등 등 주인공의 상황 행동 설정5. 시점, 문체, 전개방식과 묘사6. 결론의 방식상기와 같이 교과서적인 방식으로 소설작법을 설명할 수 있지만 어디까지나 참고사항이고 자신만의 개성이 잘 묻어날 수 있게 '다작(多作)', '다독(多讀)', '다상량(多想量)' 하는 것을 많은 작가들이 추천합니다. 천재가 아니라면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힘은 노력을 따라올 수 없으니까요.취미라고 하지만 좋은 작가가 되길 바랍니다. 응원합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유명 그림의 조각을 투자하는게 있던데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술품을 분할해 매매할 수 있는 ‘조각 투자’가 최근 각광받고 있죠. 조각투자란 여러 명의 투자자가 공동으로 투자해 소유권을 나누어 갖는 투자입니다. 소유권을 분할해 보유하고, 전시 및 작품의 거래를 통해 이익 또한 소유권 지분만큼 배분받는 방식입니다. 전체 투자금액에 자신이 투자한 금액의 비율만큼 받는 방식이 있고, 작품의 가액을 정해놓고 투자자수도 고정한 후 1/N의 투자자 소유권을 갖는 경우도 있습니다. NFT의 거래가 활성화되자 비슷한 방식으로 소유권에 고유코드를 부여하여 진행되는 방식이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금융 당국 제도로부터 벗어나 있어 투자자 보호에는 의문이 든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일부 플랫폼에서는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서비스’를 통해 현행법 상 허용되지 않은 부분을 특례로 인정받아 서비스를 운영 중이라고도 하니 투자를 하시려거든 꼼꼼히 잘 살펴보시고 투자자의 권익이 제대로 보호받고 있는 것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앞으로 우리네 자식 세대도 공부를 잘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 질문은 답변을 구하신다기 보다는 앞으로 우리 다음세대의 삶을 걱정하는 어른의 고민으로 보이네요. 질문에 공감합니다. 과거와 똑같이 공부를 잘해야 하나라는 말씀에는 전 그럴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잘한다는 평가기준이 과거처럼 어떤 점수화된 비교보다는 좀더 창의적인가 좀더 실용적인가 등 가치에 무게를 두지 않을까 합니다. 4차 산업혁명은 기존의 일자리를 빼앗는 혁명이라고 합니다. 여러가지 최첨단 기술이 통합되고 집약되어 인간노동력이 덜 필요하게 되겠지요. 하지만 반대로 그와 관련된 AI, 메타버스, 창작 등 창의적인 일 등에 관련된 일자리가 더 늘어나게 되지 않을까 합니다. 학자에게는 학문을 잘하는 것이 필요하고, 운동선수에게는 운동을 잘하는 것이 필요하 듯, 세월이 바뀌어도 그 시대가 요구하는 공부를 잘하는 것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래야 직업이나 일에 선택받을 수도 있고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니까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의 공주와 옹주의 차이?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공주와 옹주의 차이는 부계가 아닌 모계로 인해 구분하여 불려졌습니다. 공주와 옹주는 모두 왕의 딸로서 왕의 정부인인 왕비의 딸은 공주라 부르고, 후궁의 딸을 옹주라고 불렀습니다. 이 둘은 모두 현실 정치에 참여할 수 없었고, 그 남편들도 관직을 가질 수 없었습니다. 신분적 차이는 크지 않았으니 그 대우도 비슷했을 것이라 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언어가 없던 시절 생각은 어떻게 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언어는 생각을 전달하여 의사소통을 하는 수단입니다. 말을 하지 못하는 영유아가 말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 의사표현을 칭얼거림, 울음, 몸짓 등으로 하는 것이지 생각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생각을 표현하는 수단의 차이가 있을 뿐 생각의 유무가 아니라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28128228328428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