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왕의 이름에서 조 vs 종 차이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지난 번에도 같은 질문이 있었는데 내용을 다시 정리해서 공유드립니다. 조와 종의 차이는 에 라고 나와 있습니다. 쉽게 말해 '공이 있으면 조로 하고, 덕이 있으면 종으로 한다'라고 하는 것인데 이를 종법질서라고 합니다. 보통 고려시대에는 개국왕만 그 공로와 시작을 의미하는 뜻으로 조를 써서 왕건만이 태조로 조를 썼습니다. 조선시대에 이성계는 창업군주여서 태조라고 썼습니다. 그러나 조선의 왕 6명 세조,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가 '조'를 쓰게 된 것은 이들이 다른 왕들보다 공이 있어서도 창업군주여서도 아닙니다. 왕들의 묘호가 사후 후대에 의해 올라가는 것, 즉 후대에서 정하는 것이기에 자신의 왕권강화를 위해서 선왕의 묘호를 결정했습니다. 조와 종이 어떤 것이 더 높고 낮음이다라는 것이 없는 것인데, 후대로 갈수록 덕이 많은 왕에게 붙는 '종'보다 공이 많은 왕에게 붙는 '조'를 더 높고 중요시하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되어 실제로 23대왕 순종은 본래 종이었다가 철종에 이르러 순조로 바뀌었고, 영종은 고종에 이르러 영조가 되고 정조 역시 정종이라 불리다가 정조로 바뀌게 되었다 합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책 중고로 싸게 살수 있는곳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고나라, 당근마켓 등 판매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인기있는 책이면 상태에 따라 책값의 70~80%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그 외는 권당 1~2천원 정도 될 겁니다. 알라딘 오프라인 중고서점도 중고매입하는데 가격이 좋지는 않습니다. 팔 때는 비싸게 팔구요^^저는 판매보다는 지인들과 책을 바꿔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더 많은 책을 읽을 수 있으니까요. 저는 가능한 책을 살 때 양장본으로 사는 편이고 오래 볼 책을 사서는 여러번 읽기도 합니다. 특히 고전들의 경우는 몇 년이 지나서 읽으면 또 새로운 느낌입니다.더이상 읽지 않을 책이면 도서관에 기증하는 것도 좋은 일이니 추천드립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뮤지컬 작품 추천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가 수도권에 있는 관계로 서울 중심으로 현재 공연 중인 뮤지컬을 소개합니다.마타하리 - 샤롯데시어터웃는 남자 - 세종문화회관 아이다 - 블루스퀘어킹기부츠 - 충무아트센터데스노트 - 예술의전당 그리고 8/25부터 공연이 시작되는 '엘리자벳 - 블루스퀘어'도 괜찮은 작품입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달리트는 왜 카스트 제도 계급에 포함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도의 불가촉천민을 일컫는 말로 10억여 명의 인도 인구 중 약 20%를 차지합니다. 카스트에 따른 인도인의 신분은 브라만(승려), 크샤트리아(왕이나 귀족), 바이샤(상인), 수드라(피정복민 및 노예, 천민) 등 4개로 구분되는데, 달리트는 최하층인 수드라에도 속하지 않습니다.불가촉천민이란 단어는, '이들과 닿기만 해도 부정해 진다'는 인도인들의 생각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불가촉천민은 계급(카스트)제도 밖의 구성원으로 인간사회의 한 부분이 아니라 그 아래 있는 무엇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가장 비천하다고 여기는 직업에 종사해왔습니다. 오물 수거, 시체 처리, 가죽 가공, 세탁, 도기 제조 등이 주로 그들의 몫이었죠.일반인들은 그들과 접촉하거나 심지어는 그림자가 스치기만 해도 오염된다고 생각했고 일부 남부지방에서는 그들을 보기만 해도 오염된다고 생각했기에 불가촉천민은 밤에만 활동해야 했습니다. 또한 그들에겐 사원 출입이 금지되고, 마을 공동우물의 물을 긷는 것도 허락되지 않았으며, 신발을 신을 수도 없었고, 버스나 기차에 빈 자리가 있어도 앉을 수 없었습니다. 이러한 극단적 차별은 19세기 말까지 성행했습니다. 20세기 들어서면서 불가촉천민의 인권운동과 카스트 철폐운동이 시작되었는데 1930년대 마하트마 간디는 그들에게 신의 자녀라는 의미의 하리잔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그 이름에 숨어 있는 동정적 의미에 반발하며 스스로를 핍박받는 자라는 뜻의 달리트라 부르기 시작했으며 오늘날 달리트는 불가촉천민의 대표적 명칭이 된 것입니다.[출처 - 한국희망재단 블로그]
역사
역사 이미지
Q.  '아리랑'에 뜻 이나 단어의 어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리랑은 작가 미상의 우리나라 민요로 남녀노소 누구나 잘 알고 부르는 노래로 사랑에 버림받은 어느 한 맺힌 여인의 슬픔을 표현한 노래라고 일반적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아리랑의 어원은 정말 여러가지 가설이 있었지만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신용하 교수의 가설입니다. 신용하 교수는 아리랑에서 '아리랑'의 '아리'의 첫째 뜻은 '고운'의 뜻이고, '랑'의 뜻은 '님'이라는 의견입니다. '아리'가 고대 한국에서 '고운' '곱다' '아름다운' '아름답다'의 뜻으로 쓰인 흔적은 현대 한국어에서 '아리따운'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몽골어에서도 '아리'는 아직도 '고운' '곱다'의 뜻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아리랑'의 첫째 뜻은 '고운님'이다. ''아리다'의 동사는 마음의 상처를 받았을 때의 표현이기에 아리'의 둘째 뜻은 '그리운'의 뜻을 담고 있다고 보고 있기도 합니다. 또다른 것으로 양주동 박사는 전국의 지명에 나타난 것을 연구하여 국어학적으로 아리랑은 아리령을 뜻한다고 하며, 아리는 '밝은'이라는 뜻이고 령은 '고개'이니 세상이 훤히 내려다 보이는 고개라는 뜻으로 북방 민족이던 우리 조상들이 이주해오며 지은 고개이름이 이후 아리랑으로 바뀌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님을 버리고 간다는 노래의 내용으로만 본다면, 설득력이 없는 것 같습니다. 또 아리랑의 아(我)는 참된 나(眞我)를 의미하고, 리(理)는 알다, 다스리다, 통하다는 뜻이며,랑(朗)은 즐겁다, 밝다는 뜻이라고 하며, "아리랑 고개를 넘어 간다"는 것은 나를 찾기 위해 깨달음의 언덕을 넘어간다는 의미이고, 고개를 넘어간다는 것은 피안의 언덕을 넘어간다는 뜻이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아리랑의 어원에 대해서는 분석과 가설이 100가지도 넘는다고 합니다. 그 유래가 밝혀지지 않고 구전되어오는 노래이다보니 각자 자신들의 생각에 맞는 근거를 제시하면서 의견을 밝히고 있습니다. 변하지 않는 사실은 아리랑은 우리 민족 고유의 노래이며, 가장 아름다운 노래라는 점인 것 같습니다.
28128228328428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