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철학
철학 이미지
Q.  철학이라는 학문의 목적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철학은 무지함을 깨닫고 사고를 통해 진리에 다가가는 것이 목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듯 인간의 사고를 논리적으로 명료화해가는 과정을 통해 참된 삶의 가치를 깨달아 더 나은 삶을 살아가는 학문이 아닌가 합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한국재즈음악의 시작은 언제죠?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의 재즈는 한국에 대중음악이 싹트기 시작한 1920년대에 동시에 출현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당시 홍난파, 김해송, 손목인 등에 의해 연주된 기록이 있고 이후 한국 재즈는 화려한 조명을 받지는 못했지만 100년의 역사를 써나가며 오늘에 이르렀다고 합니다.미국에서 태동한 음악 장르인 재즈는 한국 대중음악의 여명기인 1920년대부터 국내에 도입돼 홍난파, 김해송, 손목인 등에 의해 연주되었고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는 미8군 무대를 통해 더 널리 전파되었습니다. 김인배, 맹원식, 엄토미, 이봉조 등이 당시 악단장으로 재즈음악을 활발하게 연주했던 인물들입니다.1970~80년대 대중가요계는 포크와 록음악이 중심을 이루면서 상대적으로 재즈는 국내 대중으로부터 외면받았으나 재즈클럽 올댓재즈와 야누스의 오픈과 함께 김준, 김수열, 신관웅, 이동기, 정성조 등의 전문연주자들이 한국 재즈의 명맥을 이어 나갔습니다.1990년대에는 봄여름가을겨울과 색소포니스트 이정식을 중심으로 퓨전재즈가 각광을 받으면서 가요팬들의 지지를 얻었습니다. 2000년대 들어서는 나윤선, 웅산, 말로 등 뛰어난 여성 재즈보컬리스트들이 활약하고 있습니다. 또한 2004년 시작된 자라섬 재즈페스티벌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음악축제 중 하나로 자리잡으며 매해 가을 성황을 이루고 있는 중입니다.대한민국 최초의 재즈밴드는 로 당시 참여했던 멤버는 최호영, 백명곤, 이철, 김성준, 홍난파, 이인선, 홍재유, 한욱동 등이었습니다. 그리고 최초의 재즈클럽은 1976년 이태원에 오픈한 입니다. [자료 참조 및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음악
음악 이미지
Q.  노래를 만들때 작곡 먼저? 작사 먼저?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크게 순서는 없지만, 먼저 작곡을 한 후 그 곡에 맞는 작사를 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습니다. 어떤 작곡가는 가사를 받은 후에 그 가사에 맞게 곡을 쓰는 것을 좋아하기도 합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노래가사에 나오는 영어 문장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해당 문장의 사전적 뜻은 "가서 총을 가지고 와라"는 뜻입니다. 말씀 주신 바와 같이 문맥상의 뜻을 본다면, 앞서 인생이 무섭냐고 물어봤고, 그 뒤에 저 내용이 있는 것이므로, 연결해서 생각하면"인생이 쉽지 않다는 것을 알기에 나는 포기하지 않는다. 인생이 두려운가? 그렇게 생각한다면 죽는게 낫다."라는 뜻으로 읽힙니다. 전체적으로 볼 때 내용은 인생은 어렵지만 두려워하지 말고 끝까지 노력하고 포기하지 말라는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세계 3대 영화제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 3대 영화제에는 프랑스 칸, 이탈리아 베니스, 독일 베를린 영화제로 유럽 3개국 주요 도시의 이름을 딴 영화제입니다. 칸 영화제의 경우 5월에 개최되며 영화감독의 재능과 창의적인 시도를 중점적으로 평가하며 작가주의 작품 선호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프랑스의 자존심, 칸 영화제는 이탈리아 파시스트 정권이 만든 영화제에 대응하기 위해 프랑스 정부가 영국, 미국의 도움을 받아 설립제 2차 세계 대전 발발로 1947년 첫 행사 개최되었습니다. 심사위원은 한 국가에서 최대 한 명이라는 원칙으로 객관성 부여하였습니다. 1951년 베니스 영화제를 견제하며 개최 시기를 가을로 하려고 했다가 봄으로 이전하였고, 최고상으로 황금종려상을 수여하는데 종려는 칸의 야자수를 상징합니다. 1990년부터 2등상인 심사위원특별상을 최고상이란 뜻의 ‘그랑프리’라고 명명하기도 하였습니다.베니스 영화제의 경우 8~9월에 개최되며 예술성 높은 작품을 주로 초청하였었고, 인기가 시들해지자 최근 ‘전통과 새로운 지평의 조화’라는 이름으로 재기 시도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초의 영화제, 1932년 베니스 비엔날레1의 한 부분으로 시작했다가 현재 분리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영화제 초기에는 심사위원 없이 최우수 작품상, 감독상을 관객 투표로 선정하였습니다. 1934~1943년에는 영화제 최고상 이름이 ‘무솔리니 컵’으로 파시스트 독재자 베니토 무솔리니의 파시즘 색채 투영되었었으나 제 2차 세계 대전 후 파시스트 시대의 얼룩을 지우기 위해1949년 최고상의 이름을 황금사자상으로 변경하였습니다. 그 상징인 날개 달린 황금사자는 베니스의 수호성인 ‘성 마르코’의 상징과 같습니다.베를린 영화제는 2월에 개최되며 비평가 중심의 예술성 높은 영화를 주로 초청하고, 영화의 가치, 철학, 시대성을 중시하여 실험적·진보적 작품에 중점을 많이 두고 있습니다. 연간 관객 약 50만 명으로 가장 인기있는 영화제입니다. 냉전이 한창이던 1951년 분단된 서베를린에서 설립하여 서독의 경제적·문화적 부흥을 보여주는 전시장 역할하였습니다. 영화제 초기에는 사회주의권 영화는 초청받지 못하다가 1974년이 되어서야 소련의 작품도 참가하였습니다. 최우수작품상은 황금곰상, 감독상에는 은곰상인데 이는 베를린의 상징이 곰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참조 : SERICEO - 글로벌 문화백서]
2862872882892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