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문학
문학 이미지
Q.  '공각기동대 SAC_2045'에서 ‘포스트 휴먼’이란 무엇을 의미하며, 어떤 역할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포스트휴먼은 쿠사나기와 인공지능 인형사의 융합에서 인간이 생물학적 한계를 넘어 기계와 융합하여 새로운 존재로 변화하는 과정을 거친 새로운 인간상입니다. 작품에세 제시된 것은 찰스 다원의 진화론을 확장판이라 볼 수 있습니다. 철학적으로는 니체의 초인 개념으로 인간이 기존의 가치와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한 것입니다. 즉, 인간성과 정체성에 기술적 진화가 더해진 미래를 성찰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다모클레스의 칼'이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의 긴장과 불안, 그 지위에 의한 행복에 따르는 위험을 뜻합니다.옛날 그리스의 도시 국가 시라쿠사에 다모클레스라는 사람이 살았는데 그는 디오니시우스 왕의 신하로 늘 왕의 자리를 부러워했습니다.어느 날, 디오니시우스 왕이 “오늘 하루 동안 왕의 자리에 앉을 수 있게 해 주겠다.”고 하여 그는 흔쾌히 왕의 자리에 앉아 눈앞에 진수성찬과 자기에게 굽신거리는신하들을 보는 것만으로도 좋았습니다.그러다 문득 자기의 머리 위를 보고는 심장이 쿵 멎는 것 같은 두려움을 느꼈습니다. 머리카락 한 올에 날카로운 칼이 매달려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의 행복했던 기분은 순식간에 공포에 질렸습니다. 그 모습을 본 디오니시우스 왕이 말했습니다.“나는 항상 내 자리가 위태롭다는 것을 잊지 않기 위해 머리 위에 칼을 매달아 놓는다.”그 이후로는 높은 자리라는 것이 겉으로 보이는 것처럼 편안하지 않으며, 항상 위기와 마주 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합니다. 그래서 '다모클레스의 검'이 높은 지위에 따르는 위험을 뜻하는 말이 되었다고 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문학 작품 속에서의 고독의 묘사와 현대 사회에서의 사람들이 느끼는 고독은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고전문학 속에서의 고독은 철학적 고뇌를 통한 자아를 깨닫는 과정을 통해 영웅적 면모를 각성하며 인간의 본성을 극복하는 서사를 많이 보입니다. 그에 반해 현대문학의 경우 사회의 구조적 문제 (자본주의 or 사회주의) 속에서 인간성의 소실, 소외 등을 비판하는 목적으로 고독이 묘사됩니다. 이것은 아마도 산업혁명과 냉전시대를 거친 급격한 사회변화에 따른 폐해를 제기하여 좀더 인본주의적 사회로 나아가고자하는 의도가 강해서라고 생각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카프카의 변신에서 주인공 그레고르 잠자의 변신은 그의 심리적 상태를 은유적으로 드러낸 것일까요? 아니면 단순히 초현실적인 설정일 뿐인걸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심리적 상태를 은유적으로 드러냈다기 보다는 작가가 이야기 속 등장인물들의 인간적 본성을 끌어내기 위해 설정한 장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집안의 가장 역할을 했던 그레고르가 벌레로 변신하여 경제활동을 할 수 없게 되면서 드러나는 본인 자신의 고뇌, 그리고 그에게 기댔던 가족들의 추악한 본성까지 발견할 수 있게 하는 것이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서 오디세우스가 반복적으로 지혜로운 영웅으로 묘사되는 것이 그의 도덕적 결함을 무마하기 위한 장치라고 생각 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오디세우스는 오랜 기간 이어진 트로이 전쟁을 트로이 목마 작전으로 그리스군이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도록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만약 오디세우스가 없었더라면 그리스군은 계속 정면공격을 시도하여 막대한 피해를 입고 전쟁에서 패했을 것입니다. 그러니 그리스 입장에서는 위대한 전쟁 영웅인 것입니다. ​그리고 많은 서사시의 영웅들은 고난을 겪고 그것을 이겨내는데, 오디세이아에서 오디세우스는 포세이돈의 방해와 부하들의 배신, 괴수들의 공격 등 각종 고난에도 불구하고 고난과 역경을 모두 이겨내고 마침내 고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기에 그에 대한 영웅적 서사시가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트로이전쟁 귀환중 오디세우스가 폴리페모스에게서 탈출한 방법은?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포도주를 먹여 잠들게 한 후 오디세우스와 그의 부하들이 올리브나무로 뾰족하게 말뚝을 만들어 하나밖에 없는 눈에 말뚝을 박아버립니다. 오디세우스는 자신의 이름을 '노바디'라고 하였고, 폴리페모스가 이웃 키클롭스에게 고뇌에 찬 외침을 하자 누가 그랬냐고 물었고, 폴리페모스는 '노바디'라고 답하여 주변 이웃들도 그를 다치게 한 사람이 없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이에 기회를 틈타 오디세우스와 그의 남은 부하들이 탈출하게 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헤라클레스가 헤스페리데스의 황금사과를 얻은 방법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황금사과가 있는 곳을 몰랐던 헤라클레스는 프로메테우스의 간을 쪼아먹는 독수리를 물리쳐준 것에 대한 보답으로 조언을 받고는 황금사과의 위치를 알고 있는 아틀라스를 찾아갑니다. 아틀라스는 올림포스 신들에게 대항했던 티탄족의 하나로 전쟁에서 패한 후 하늘을 떠받치고 있으라는 벌을 받고 있었습니다. 이에 헤라클레스가 자신이 잠시 하늘을 떠받치고 있을테니 황금사과를 가져다 달라고 부탁했고, 이에 아틀라스가 수락하여 황금사과를 가져다 주었습니다. 하지만 아틀라스는 다시는 벌을 받고 싶지 않았는데 헤라클레스가 머리가 너무 아프니 잠시만 받치고 있으라고 꾀를 내었고, 아둔했던 아틀라스는 황금사과를 건네 주고는 다시 하늘을 떠받치고 헤라클레스는 그 자리를 빠져나오게 된 것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에서 제시된 여성의 독립과 창작 조건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여성이 글을 쓰기 위해서는 자기 방과 돈이 있어야 한다는 말에서 삶에 있어서의 공간과 시간과 금전적 독립이 있어야지만 여성이 제대로 역량을 펼칠 수 있다는 것을 내재하고 있습니다. 오늘 날은 글을 쓰는 수단이 휴대용 전자기기를 통해서도 가능하기 때문에 공간에의 제약은 없을 듯 합니다. 하지만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에서의 독립성은 당시 가부장적인 사회적 분위기에 있어서 여성의 사회활동의 제약이 있던 터라 그리 말하였지만, 현대에 있어서는 조금 다른 듯 합니다. 자기 방은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글)에 대한 열정과 추진하고자 하는 바를 뜻하고, 돈이란 당연히 글에만 열중할 수 있도록 금전적인 부담이 없는 것은 도움이 되는 것은 남녀 할 것 없이 같습니다. 어느 정도 현대의 조건과도 비교해서 보면 통용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제우스의 선물이었던 탈로스가 무너진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탈로스의 발 뒤꿈치에 고정되어있던 못이 있었는데 이것은 머리부터 발뒤꿈치까지 연결되어있던 혈관(또는 연료)의 밸브로 유일한 약점이었습니다. 이에 아르고호 원정대가 찾아와 메데이아의 마법으로 잠들게 한 후 그 못을 뽑자 과다 출혈 또는 연료 부족으로 인해 가동이 멈추었다고 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역대 여러 영화들이 있는데 화폐가치를 고려했을 때 억사상 가장 큰 흥행을 이룬 작품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관객수만을 기준으로 제임스 카메론 감독의 아바타가 1위로 29억달러가 넘는 수익을 냈다고 합니다.
31323334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