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이 시의 지은이의 나이를 유추해보면 몇살일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빛의 속도로 6.4초를 걸어온 거리는 300,000km/초 × 6.4초 = 1,920,000km사람의 속도로 그 거리를 걷는데 걸리는 시간은 1,920,000km ÷ 4km/시간 = 480,000시간하루는 24시간이니까, 480,000시간 ÷ 24시간 = 20,000일1년은 365일이니20,000일 ÷ 365일 = 54.79...약 55세입니다.
Q. 문학에서 비극적 영웅의 역할은 무엇이며, 이러한 인물이 독자에게 주는 교훈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셰익스피어의 비극을 예로 들면 영웅은 단순한 등장인물이 아니라 인간 경험의 극단적인 사례를 구현하며, 그들의 삶과 죽음을 통해 인간 본성의 깊이와 복잡함에 대한 시인의 통찰력을 나타냅니다. 셰익스피어의 비극 속 영웅들은 결국 결함과 운명의 힘에 굴복하여 파멸하게 됩니다.영웅들은 자기 권력이나 사회적 지위의 정점에 올라 있음에도 자만심, 야망, 질투와 같은 약점 때문에 몰락하게 됩니다.셰익스피어는 비극에서 영웅의 파멸을 통해 인간 본성의 한계와 운명의 힘에 대한 인식을 명확히 합니다. 이에 되자나 청중들은 영웅의 실수로부터 교훈을 얻고, 자신의 삶에서 비슷한 경우를 대비할 수있게 합니다.
Q. 시라는 건 도대체 언제 정의가 된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시가의 기원은 원시 고대적 공동체 사회의 제천 의식 때 사용되던 기도사나 송축사 같은 것에서 발전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고대 신이나 영웅에 대한 서사를 칭송하고 기록하는데서 기원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제천의식이나 칭송 또는 찬송은 보통 음악과 무용 등과 함께 하면서 그 시가가 음악적인 요소를 띠게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누가 그것을 처음 시라고 불렀는가는 알 수 없습니다. 시가가 발전해오면서 그 시대와 형태에 맞는 이름을 덧붙여 가요, 시조, 서사시, 서정시, 자유시, 정형시, 현대시 등등의 분류가 생겨났다고 봅니다.
Q. 소설에서 의식의 흐름이란 무엇을 뜻하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소설에 있어서 의식의 흐름이란 모더니즘 문학에 자주 등장하는 기법입니다. 등장인물의 생각, 기억, 자유 연상, 마음에 스치는 느낌을 그대로 적는 기법입니다. 정신분석학자인 프로이트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하는데 이는 인간의 정신 세계를 의식과 무의식으로 나눠서 무의식에서 일어나는 정신작용을 통해 사람들이 평소에 자기 스스로 억눌러 온 감정이나 기억을 자연스럽게 풀어헤치도록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이상의 와 같은 소설이 그러한 기법을 사용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사실 이러한 기법은 근대에 적응하지 못하는 지식인들의 혼란 등을 표현하기 위해 쓰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