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헤르만 헤세의 작품에는 동양사상가 서양의 신비주의적 사상이 엿 보이는데요? 작가가 이런 사상에 심취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헤르만 헤세는 인간의 내면세계와 자아탐구에 대해 고민했던 작가입니다 그래서인지 동양철학, 특히 불교, 도교 사상을 많이 공부한 것 같습니다. 대표작인 는 불교의 부처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고, 최고 유명작인 의 경우도 주인공이 사회적 자아와 내면의 자아의 갈등을 묘사하여 그 통합을 추구하는 도교의 음양사상이 들어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것들을 통해서 인간 존재를 찾는 여정을 함에 있어서 동서양의 사상을 조화롭게 통합하여 더 나은 세상을 위한 비전을 제시하였습니다.
Q. 시가 가지는 소설과의 차별화된 특징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시는 시가에서 발전되다보니 음악적 요소가 들어가 있습니다. 그것을 운율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시는 소설과는 달리 장황하게 묘사하지 않기 때문에 비유법, 상징을 많이 사용하여 최대한 함축적으로 표현하고자 합니다. 노래가 3분~5분 정도의 시간에 메세지를 전달하는 것처럼 말입니다. 소설 한 권의 이야기를 한편의 시로 압축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유명한 시인들은 아주 많지만, 제가 좋아하는 현대시인들 중 가장 유명한 시인과 그 작품이라고 하면천상병 , 기형도 , , 나태주 을 추천드립니다.
Q. 서정시에서 ‘자연’은 오래된 주제입니다. 현대 한국 서정시에서 자연이 어떻게 다르게 묘사되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현대시의 생태주의 경향에 대한 질문인 것 같습니다. 자연의 아름다움과 신비로움은 인간 삶에 있어서 인간의 파괴성, 폭력성, 오만함에 대해 경고를 주고 있습니다. 자연은 곧 삶의 균형을 가르치는 지표가 되는 것이지요. 최근 현대시에 있어서 서정시의 경우 단순히 자연의 아름다움만을 표현하지 않고, 환경과 생태계의 파괴에 대한 경고를 직설적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문학계에서는 생태시라고 합니다. 최승호의 , 안도현의 등에서 과거 자연이 자리하고 있는 곳에 산업화가 들어서면서 인간의 욕망에 의해 자연과 사람 모두가 망가지고 있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Q. 문학에서 시간 여행이라는 소재가 가지는 서사적 의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문학에서의 시간 여행이라는 소재는 후회, 변화, 희망 등에 기인하는 중요한 연결고리입니다. 현재에 존재하는 등장인물들이 현재를 개선하고 희망찬 미래를 만들기 위해서는 변화가 필요한 것입니다 모든 것은 인과관계가 있고, 그것은 시간이라는 개념과 연결되어있다고 보고 과거에 잘못되었던 일을 올바르게 바꾸게 되면 현재와 미래가 긍정적으로 바뀔 것이라는 희망의 존재를 확인하려 하는 것입니다. 인간에게 있어서 시간이라고 하는 것은 절대적인 것입니다. 삶을 시작할 때부터 끝날 때까지 인간에게 주어진 것은 시간입니다. 지나온 시간은 회상하고 추억하고, 반성할 수 있으나 바꿀 수는 없는 것인데 시간 여행이라고 하는 것은 이러한 고정관념을 깨버리는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주요한 사건이 됩니다. 따라서 시간과 공간에 따라 흐르던 사건의 전개를 역행하거나 선행하여 새롭게 서사를 만들어나갈 수 있는 극적인 전환적이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