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임종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임종현 전문가입니다.
임종현 전문가
청담해리슨송도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2024년 8월 22일 작성 됨
Q.
다리를 꼬고 있으면 건강에 안 좋아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다리를 꼬는것은 골반의 불균형을 초래할수있습니다. 이미 골반이 불균형한분들은 다리를 꼬는것이 더 편하게 느껴지실가능성이큽니다. 그래서 다리를 꼬고있으면 편하게 느껴지시겠지만 그만큼 골반의 비대칭이 계속되고 그 비대칭한 근육이 허리나 골반의 통증으로 이어질수있습니다. 근육이 틀어져도 바로 통증이 오지는않지만 틀어짐이 생기면 반드시 다른관절에 무리가 온다는것입니다. 고로 다리꼬는 습관을 고치기가 어렵다면 골반이 회전되어있어서 그런것이 아닌지 혹시라도 회전이 되어있는게맞다면 그에맞는 교정운동 및 치료를 받는것을 권해드립니다. 통증이 없는상태에서는 체형교정 운동센터에서 교정받으시고 통증이 동반된다면 병원에서 도수운동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정형외과
2024년 8월 22일 작성 됨
Q.
백팩이 무거우면 뭐가 안좋고 백팩은 앞으로 매는게 좋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백팩이 무거우면 하중이걸리기때문에 허리나 어깨의 긴장도가 올라가게됩니다. 고로 백팩은 가벼울수록 좋습니다. 그리고 백팩을 앞으로 매는것과 뒤로 매는것의 차이는 앞으로 매게되면 오히려 허리에 긴장도가 더 올라가게됩니다. 고로 뒤로 매는것이 낫습니다. 뒤로 맨다고 허리의 긴장도가 안올라가는것은아니지만 앞으로 무게가 늘어날수록 뒤에서 버티는힘때문에 배쪽으로맨 가방의 무게만큼 허리가 버티려는힘이 커져 허리가 피로해질수있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8월 22일 작성 됨
Q.
계단 내려갈때에 무릎 등에서 나는 딱딱 소리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무릎의 근육은 올라가는순간 수축되는것과 내려가면서 수축되는것의 차이가있습니다. 내려가면서 수축하게되면 근육길이가 늘어나는상태에서 수축하게되므로 무릎에서 딱 소리가 날수있습니다. 그런 방법은 무릎의 eccentric contraction exercise 로 좋아질수있습니다. 다만 이 동작은 계단에서 소리가 나기때문에 계단보다 더쉬운동작으로 연습해주시는것이 좋고 이것이 점점 높은난이도 까지 될때 계단에서도 무리없이 진행가능하십니다. 무릎에서 딱딱소리가 통증을 동반하지않는다면 크게문제될것이 없으나 반복적으로 사용했을때 무릎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무릎통증을 유발할수있기에 위에 말씀드린 무릎트레이닝을 같이 해주시는것이 좋습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8월 22일 작성 됨
Q.
스포츠 마사지 받고 통증이 심하게 오는 경우?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마사지를 받고 통증이있으시군요. 마사지의 원리는 근육에 자극을 주어 그 근육으로 충혈효과 (피가 몰리게만드는) 를 주어 근육의 빠른회복을 돕습니다. 고로 마사지를받는것은 근육에 자극을주는것이기때문에 자극이후에 통증이 올수있습니다. 고로 너무 강하게 마사지 받는것은 좋지않으시며 마사지를 받고 통증이왔을때는 다시자극을 주기보다 휴식을하시며 근육이 회복할시간을 가져주는것이 좋습니다. 마사지의 목적은 근육을 강하게누르는게아니라 결국엔 순환되게만드는것이 목적이라는점을 한번더 기억해주시면 도움될것같습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점있으시면 댓글주시면 빠른답드리겠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8월 22일 작성 됨
Q.
컴퓨터할때나 책상에앉아있을때 모니터가 눈높이보다 조금 아래있는데 이걸로인해서 피로감이올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네 맞습니다. 모니터가 눈높이보다 낮게있으면 고개를 숙이고 장시간 버텨야하기때문에 피로도가 훨씬 많이오게됩니다. 조금 더 쉽게 표현해보겠습니다. 허리를펴고 앞을보고 서있는거랑 서서머리감는것처럼 허리를 살짝 굽히고 있는상태를 계속 유지하는거랑 당연히 후자가 허리가 빨리 지치게됩니다. 목또한 마찬가지 입니다. 눈높이가 맞다면 최대한 목의 정상커브를 유지할수있고 근육의 에너지도 적게소비되지만 모니터가 너무 높거나 낮은경우 목의 힘을 더 많이써야하기때문에 근육피로도 및 통증이 더쉽게증가할수있습니다. 모니터가 낮다면 모니터 받침대를 사용하여 눈높이까지 올려주시는것을 권해드립니다. 추가적인 질문있으시면 댓글주시면 순차적으로 답변드리겠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8월 22일 작성 됨
Q.
주로 의자에 앉아 작업을 하는데 양반자세가 편합니다 ㆍ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양반다리를 하고 앉고계시군요. 그 자세는 허리를 후방경사시키는 힘이 들어가기때문에 허리를 구부정하게 앉거나 강제로 허리를 폈을때 허리에 무리를 주게됩니다. 혹시라도 허리를 구부정하게 앉고 계시다면 근육은 크게피료하지않지만 허리 디스크가 압박을 많이받고있어서 추후에 문제가 생길수있습니다. 다만 골반의 유연성이 좋고 양반다리로 앉은자세에서도 허리가 많이 구부정해지지않는다면 허리의 힘이 과하게 들어가지않을뿐만아니라 디스크의 압박도 적기때문에 양반다리로 앉는것에 크게무리가없습니다. 고로 양반다리시에 어떤상황인지를 먼저 체크하시고 첫번째 상황이시라면 나빠지기전에 자세를 고치는것이 낫고 두번째라면 골반유연성이 좋기때문에 양반다리를 오래하셔도무방하다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추가적인 질문은 댓글주시면 순차적으로 답변드리겠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8월 22일 작성 됨
Q.
종아리 앞부분이 울퉁불퉁해요 저 부분이 약간 아프기도 하고요. 발목 주변이 부은 것 같기도 해요 옆다리에 비해 두꺼운데..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안쓰다가 운동을 시작하시면 붓기가 올라올수있습니다. 보통은 큰문제 없이 휴식하면서 얼음찜질을 15분~20분정도 4시간주기로 해주시면 좋습니다. 충분히 해낼수있는 운동도 몸에서 얼마나 소화해내느냐가 중요합니다. 고로 운동 난이도를 조금낮추셔서 몸에서 적응할시간을 주시면서 늘려가시면 더 건강한 운동 될수있을것같습니다. 너무 걱정않으셔도 될것같습니다. 추가적인 문의사항은 댓글주시면 순차적 답변드리겠습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8월 22일 작성 됨
Q.
저주파(ems) 마사지기 사용 주기 질문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네 반대쪽에 사용할경우 문제될것이 없습니다. 왜 시간텀을두고 하는이유는 근육에 계속 자극을주는것이기때문에 근피로를 유발할수있어서 텀과 적정시간을 두는것입니다. 고로 같은근육이 아니라 반대쪽 근육이라면 안심하고 하셔도됩니다.
정형외과
2024년 8월 22일 작성 됨
Q.
슬개골 수술 하면 연골은 무조건 닳나요? 제발 답변 부탁드려요 ㅜㅜ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한달전 슬개골 탈골 이후 안쪽은 실로 묶고 바깥쪽은 찢는 재건술을 했는데, 원장님이 진료를 너무너무 대충 봐주셔서 불안한게 많습니다>>많이 불안하셨겠습니다. 하지만 원장님들께서는 상당히 많은 치료 경험과 케이스가 있으신분들이 많기때문에 아마 수술시점부터 재활하고 추후 관리하는것까지 다 계획에 있을겁니다.해당 수술을 하면 슬개골이 연골하고 부딯히면서 연골이 닳을수 밖에 없나요? 원장님께서 이 수술을 하면 연골이 닳을거라고 나이 들어서 또 수술하라 하셨습니다.. 그게 맞나요..?>>아무래도 연골이 압박이 되어서 무릎을 과하게 썼을때 연골이 더 쉽게 닳는부분을 염두해두시고 하는말씀인것같습니다. 마냥 연골이 쉽게 닳지않으니 최대한 연골의 무리가 덜가게끔 무릎 재활을 잘해주시면 됩니다수술하고 무릎에 힘이 빠져 자꾸 휘청 하는데 원래 그런가요?>> 수술이후 무릎에 힘이 잘안들어가고 휘청거리는것은 충분히 그럴수있습니다. 수술 이후 무릎에서 적응하고 제대로 힘을 받기 까지 기간이 필요합니다. 겉으로 피부가 붙은것만 보고 다나은것같은데 라고생각들수있지만 속에있는부분이 아물고 적응하는데까지는 기간이 꽤 걸립니다.무릎을 접었다 폈다 할때 무릎에서 드득 하면서 맞물리는 느낌이 듭니다 ㅜㅜ 회복이 안 되어서 그런가요? 앉아있다가 일어났을때 무릎 통증도 심합니다>> 네 이 부분도 마찬가지로 무릎안에서 아직 마찰이나 충돌이있을수있습니다. 왜냐하면 근육이 제대로 기능도 못하는상황이고 이상황에서 앉은자세에서 일어날때는 허벅지 근육의 힘이 크게작용하기때문에 무릎의 압박력이 증가될수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은 시간이 지나면서 재활을받으시면 크게문제없습니다.수술 하고 한달차에 무릎을 접은채로 엑스레이를 찍었는데, 한쪽으로 많이 기울어져 있었습니다 제가 정상은 양쪽이 비슷해야 하지 않냐고 하니까 안쪽인대를 단단히 묶어서 기울어 있을 수 밖에 없다고 했습니다.>>원장님말씀대로 지금 할수있는것에서 최선의 상황인것같습니다. 물론 질문자님 말씀대로 균형이맞으면 좋겠지만 균형을 맞추는것보다 지금 더 중요한것 위주로 진행을 하신것같습니다.이게 맞는건지 젊은 나이라서 너무 무섭고 불안해요 ... 제가 아무리 여쭤봐도 아픈거든 뭐든 지켜보자고만 하고 엑스레이 찍어도 2초 띄우고 바로 꺼버리시고 금방 다른 환자보러 일어나니까 불안해요...>> 아직 재활 초기단계라 걱정이 많이 되시겠습니다. 보통 의사선생님들은 많은 수술경험이 있으시기 때문에 꾸준히 잘 맞춰서 따라가시면 크게문제없을거라 봅니다. 수술이 잘되었으면 그 이후는 재활이 가장중요합니다. 재활부분에서 무릎의 기능을 최대한 살리고 건강한 무릎 되찾길 바라겠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8월 22일 작성 됨
Q.
습한 계절에 무릎이 저리고 통증이 심해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습한 날씨에는 기압이 낮아져서 관절 내의 압력이 달라져서 통증을 평소보다 더 심하게 느낄수있습니다. 이는 비가 오기전에 무릎이 쑤시다는것도 비슷한 맥락입니다. 그리고 그런날은 신체활동 또한 현저히 줄어서 더욱 그렇게 느끼실수있습니다. 기압의 차이는 미세한데 그 미세함이 무릎의 컨디션에 영향을 끼칠수있다는것은 평상시에도 관절이 상당히 예민한 상태에 있다는것이 더 큰문제인것같습니다. 고로 기압을 조절하기보다 평상시에 무릎의 압력을 잘버틸수있도록 무릎강화운동 및 벨런스 운동이 필요할것같습니다. 추가적인 질문사항은 댓글주시면 순차적으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41
142
143
144
1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