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경력입사자의 연차보상 제도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임홍순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연차유급휴가는 1년 미만의 경우 매월 만근 시 1개, 1년 이상인 경우 15개가 지급됩니다.# 예시#21년 1월 17일 입사21년 2월 17일 : 1개 발생21년 3월 17일 : 1개 발생(총 2개) 21년 4월 17일 : 1개 발생(총 3개)~ (1년 미만 매달 만근 시, 총 11개)22년 1월 : 15개 발생23년 1월 : 15개 발생24년 1월 : 16개 발생~ 최대 25개 발생 근로기준법 제60조(연차 유급휴가)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④ 사용자는 3년 이상 계속하여 근로한 근로자에게는 제1항에 따른 휴가에 최초 1년을 초과하는 계속 근로 연수 매 2년에 대하여 1일을 가산한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이 경우 가산휴가를 포함한 총 휴가 일수는 25일을 한도로 한다.연차유급휴가는 입사일을 기준으로 한달 만근 시 한개가 발생합니다. 현재 귀하의 경우 3월17일 이후에는 총 2개의 연차유급휴가가 발생합니다. 연차휴가는 법적으로 보장된 것이기 때문에 회사에서 의무적으로 부여하여야 하며, 이를 하회하는 기준으로 부여할 수 없습니다. 연차휴가를 부여하지 아니할 시 미사용 연차유급휴가에 대해 수당으로 지급하여야 합니다.감사합니다.
Q. 법인회사 연차 없는 경우 신고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임홍순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연차유급휴가는 1년 미만의 경우 매월 만근 시 1개, 1년 이상인 경우 15개가 지급됩니다.# 예시#20년 2월 입사21년 2월 : 15개 발생 (+ 1년 미만 한달 만근 시, 11개)22년 2월 : 15개 발생23년 2월 : 16개 발생~ 최대 25개 발생 근로기준법 제60조(연차 유급휴가)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④ 사용자는 3년 이상 계속하여 근로한 근로자에게는 제1항에 따른 휴가에 최초 1년을 초과하는 계속 근로 연수 매 2년에 대하여 1일을 가산한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이 경우 가산휴가를 포함한 총 휴가 일수는 25일을 한도로 한다.연차유급휴가는 "소정근로일"에 부여하여야 하므로, 토요일/일요일과 같이 근로의무가 아닌 날에는 연차휴가를 소진할 수 없습니다.연차휴가는 법적으로 보장된 것이기 때문에 회사의 규정이 없다 하더라도 연차휴가를 부여하여야 하며, 이를 부여하지 아니할 시 미사용 연차유급휴가에 대해 수당으로 지급하여야 합니다.다만, 임금채권은 3년의 소멸시효가 적용되므로, 최근 3년간의 미사용연차유급휴가에 대해서만 청구가 가능합니다.따라서 시간이 지날 수록 미사용연차유급휴가수당이 감소하기 때문에 빠른시일 내에 조치를 취하셔야 하며, 이는 노동청에 체불 진정 등을 통해 구제가 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