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장세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세영 전문가입니다.

장세영 전문가
강원대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이성계는 친명파였다고 하는데 창왕을 폐위시킨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위화도회군 이후 우왕은 궁에서 강화도로 쫓겨났고, 아들 창이 왕위에 올랐습니다. 그러나 창은 이성계 일파의 후보 대상은 아니었습니다. 조민수와 이색의 합작이었죠.아무튼 그런 가운데 우왕이 사람을 시켜 이성계를 암살하려다 실패합니다. 이성계 일파는 우왕을 가만히 두어선 안 된다고 판단합니다. 그렇게 해서 폐위를 위해 만들어 낸 논리가 "폐가입진"입니다.즉, 지금 우왕과 창왕은 신돈의 핏줄로 가짜 왕씨이니 폐하고, 진짜 왕씨를 왕으로 세워야 한다는 거죠. 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핑계일 뿐, 실제론 우왕과 우왕의 자식인 창왕이 아비의 복수를 할까 우려하여 가짜 논리를 내세워 폐위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솔로몬이 죽고난 뒤 이스라엘 민족은 왜 분열하게 된 건가요?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경에 따르면 솔로몬은 신전 건축에 7년 6개월, 자신의 왕궁을 건축하는데 13년의 시간을 사용하였습니다. 이는 솔로몬 통치 기간의 절반입니다.그전부터 이스라엘의 열 부족들은 다윗과 솔로몬이 속한 유다 부족의 독단에 불만이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불만은 솔로몬의 폭정으로 더욱 심해집니다.그리하여 솔로몬이 죽은 뒤 그의 뒤를 이은 르호보암 왕에게 부역의 경감을 요구합니다. 그러나 르호보암이 이를 거부하자 공역 감독관 아도니람을 돌로 쳐죽입니다. 그리고 에브라임 부족의 여로보암을 중심으로 새로이 왕국을 세웠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 이괄은 왜 반란을 일으켰나요?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괄의 아들 이전이 반역을 꾀한다는 고변이 있었고, 그에 따라 이괄을 소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옵니다.그러나 인조는 이러한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대신 그 아들인 이전은 소환하여 조사하도록 했지요.이괄은 아들을 잡으러 온 사람들을 보고, 아들이 끌려가 반역죄에 연루되면 결국 자신도 위태롭게 되리라 판단합니다. 그래서 사자를 죽이고 반란을 일으킨 겁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선덕여왕 시절 비담에 관한 이야기는 드라마와 같은가요?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드라마 선덕여왕에 나오는 내용은 각색입니다.비담은 미실의 아들도 아니고, 선덕여왕을 사랑했다는 기록도 나오지 않습니다. 그저 여왕의 통치에 불만을 느끼고 반란을 일으켰다고만 나오죠.실제 비담은 김씨 진골귀족으로 보이며, 선덕여왕을 이어 왕위에 오를 수 있던 상대등이었습니다.비담은 "여주불능선리", 즉 여자 임금은 좋은 통치를 할 수 없다라고 주장하며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그리고 이 반란은 김유신과 김춘추가 진압하였죠.그렇기 때문에 일각에서는 김춘추가 여왕이 사망할 시점에 군사를 일으켜 상대등 비담 세력을 제거한 것이 아닌가 보기도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하륜이 경주로 발령받은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여러 신료들의 일대기를 정리한 «국조인물고»에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정축년(丁丑年, 1397년 태조 6년) 정월에 정도전이 군사를 출동시켜 국경을 나가려고 논의하면서, 공을 꺼려 계림 부윤(鷄林府尹)으로 내보냈다."하륜이 표전문 사건을 해결하긴 했으나 그 과정에서 핵심 인물인 정도전이 함께 명나라에 가서 해명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럴 경우 정도전은 명에서 죽을 게 분명한 일이었죠.아무튼 이 일 때문에 하륜은 정도전에게 견제받았고, 그래서 계림부윤으로 좌천된 것으로 보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의 문벌귀족과 권문세족, 신진사대부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실 큰 차이는 없습니다.고려 초에 문벌을 이룬 유력한 가문들이 무신집권기에도 살아남아 권문세족이 되기도 합니다. 또 신진사대부에도 권문세가 출신의 자제들이 포함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공화국은 무엇을 뜻하는 것인지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공화국은 나라의 주권이 국민에게 있으며, 국민이 선출한 지도자가 권한을 위임받아 통치하는 국가를 말합니다.본래 공화라는 단어는 고대 중국 주나라에서 유래한 것으로, 주나라 여왕(여자 임금이 아님)이 폭정을 가하자 국인(국인은 나라의 유력한 지배층을 말합니다)들이 그를 쫓아내고 빈자리를 제후들이 함께 다스리며 채웠습니다. 그래서 함께 화합한다는 의미로 "공화(共和)"라 한 거죠.
역사
역사 이미지
Q.  이방원은 세재가 아니고 세자가 된 건가요?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에 따른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습니다.«정종실록»을 보면 정종 즉위부터 이방원을 세자로 책봉해야 한다는 이방원 측 세력의 움직임이 엿보입니다. 그리고 마침내 하륜의 주도로 이방원을 세자로 책봉하라는 요청이 들어왔고, 정종이 이를 받아 들입니다.세자 책봉 날 일부 대신이 용어를 문제 삼아 동생을 후사로 정했으니 "왕태제"로 해야 한다 지적합니다. 그러나 정종은 방원을 아들로 삼았다며 넘어가죠.혹자는 이방원이 자신보다 승계 서열이 높은 경쟁자 회안공 이방간을 견제하려 세제보다 세자를 내세웠다 보기도 합니다.또 다른 견해로는 이방원이 태조의 뒤를 잇는 정식 후계자로서 정종을 인정하지 않고, 표면상 정종의 세자가 되었으나 실상은 창업군주인 태조 이성계의 세자로서 자신을 드러내려 이런 퍼포먼스를 보인게 아닌가 추정하기도 합니다.그러나 어느 것이 맞다고 단정하긴 어렵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태종의 처남들은 사사될 정도로죄를지었나요?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들이 죽을 만한 죄는 딱히 없었습니다.여흥 민씨 가문은 고려 말에 왕실과 혼인할 수 있었던 재상지종 가문 중 하나입니다. 이성계도 이를 알았기에 사돈관계를 맺은 것이겠죠.더욱이 민무구ᆞ민무질은 왕자의 난 때도 참여한 공신들인 만큼 공이 컸다면 몰라도 죄를 지은 바는 없습니다.하지만 태종은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즉위하여 정통성 측면에서 다소 하자가 있었습니다. 이에 왕위를 세자에게 넘기겠다는 선위 퍼포먼스를 자주 선보였죠. 이를 통해 자신에 대항하는 역신들을 색출해내려 함이었습니다.민씨 형제의 경우 분명하게 태종의 선위를 반대했으나, 태종의 농간에 걸려 태종의 선위를 희망하는 불충한 무리들로 낙인찍힙니다.게다가 그들이 유배를 갔음에도 그 주변의 수령들이 민씨 형제를 찾아와 인사를 할 정도였으니 태종의 눈에는 아니꼬왔을 게 분명합니다.따라서 태종의 정통성을 거슬러 세자에 줄을 대고 그리하여 나중을 도모하였다는 괘씸죄에 걸려 민씨 일문이 도륙난 겁니다. 어디까지나 일어나지도 않은 일을 미리 짐작하여 처리한 케이스이지, 민씨 형제들의 잘못은 딱히 없습니다. 있다 쳐도 죽을 만큼인지는 의문이고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광해군은 폐위된 근본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실록을 보면 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된 이후에 선조의 왕비였던 인목왕후 김씨[소성대비]가 내린 폐위 교서가 나옵니다.교서에 제시된 광해군의 잘못은 아래와 같습니다.- 형제를 죽이고 대비를 궁에 가둠 * 임해군ㆍ영창대군 살해 / 인목대비 유폐- 죄없는 사람들을 잡아다 심문하고 죽임 * 북인의 정치권력 독점- 궁궐을 복구하여 백성들을 괴롭게 함- 명나라를 저버리고 오랑캐와 가까이 지냄따라서 위와 같은 이유로 광해군이 폐위되었습니다.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